본문 바로가기

장송2

제62회 부관을 취하고 양화와 고패의 머리를 베고, 낙성을 공격하는 황충과 위연은 공을 다투다. 第六十二回:取涪關楊高授首,攻雒城黃魏爭功 제62회 부관을 취하고 양화와 고패의 머리를 베고, 낙성을 공격하는 황충과 위연은 공을 다투다. 卻說張昭獻計曰:「且休要動兵。若一興師,曹操必復至。不如修書二封:一封與劉璋,言劉備結連東吳,共取西川,使劉璋心疑而攻劉備,一封與張魯,教進兵向荊州來,著劉備首尾不能救應。我然後起兵取之,事可諧矣。」權從之,即發使二處去訖。 각설하고 장소가 계책을 올려 말하기를 “또 군대를 움직이지 마십시오. 만약 한 번 군대를 일으키면 조조는 반드시 다시 올 것입니다. 글 두 통을 써서 한통은 유장에게 주어 유비(유현덕)가 동오와 결연하여 함께 서천을 취하려 한다고 말하여 유장으로 하여금 의심하게 하여 유비(유현덕)를 공격하게 하고, 한 통은 장노에게 주어 군대를 진군하여 형주를 향하게 하면 유비(유현덕은).. 2020. 12. 24.
제60회 장영년(장송)은 도리어 양수를 어렵게 하고, 방사원(방통)은 서천을 취할 것을 건의하다 第六十回:張永年反難楊脩,龐士元議取西蜀 제60회 장영년(장송)은 도리어 양수를 어렵게 하고, 방사원(방통)은 서천을 취할 것을 건의하다 卻說那進計於劉璋者,乃益州別駕,姓張,名松,字永年。其人生得額钁頭尖,鼻偃齒露,身短不滿五尺,言語有若銅鐘。劉璋問曰:「別駕有何高見,可解張魯之危?」松曰:「某聞許都曹操,掃蕩中原。呂布,二袁,皆為所滅;近又破馬超;天下無敵矣。主公可備進獻之物,松親往許都,說曹操興兵取漢中,以圖張魯。則魯拒敵不暇,何敢復窺蜀中耶?」 각설하고 유장에게 계책을 올린 자는 곧 익주별가인 성은 장이고, 이름은 송이며, 자는 영년이었다. 그 사람은 나면서 이마는 괭이 같고, 머리는 뾰족하며, 코는 납작하고 이빨은 드러났으며 키는 작아 오 척을 채우지 못하였으며 말하는 것은 구리종을 치는 것과 같음이 있었다. 유장이 물어 말하기를.. 2020.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