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관3

삼국사기 권40, 잡지9, 직관 하 三國史記卷第四十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雜志 第九 職官 下 잡지 제9 작관 하 武官 무관 侍衛府 有三徒 眞德王五年置 將軍六人 神文王元年 罷監置將軍 位自級湌至阿湌爲之 大監六人 位自奈麻至阿湌爲之 隊頭十五人 位自舍知至沙湌爲之 項三十六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卒百十七人 位自先沮知至大舍爲之 시위부 3도가 있다. 진덕왕 5년(651) 설치하였다. 장군은 6인이다. 신문왕 1년(681) 감을 없애고 장군을 두었는데 관등은 급찬에서 아찬에 이르기까지 임명하였다. 대감은 .. 2024. 1. 5.
삼국사기 권39, 잡지8, 직관 중 三國史記卷第三十九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雜志 第八 職官 中 잡지 제8 직관 중 內省 景德王十八年 改爲殿中省 後復故 私臣一人 眞平王七年 三宮各置私臣 大宮和文大阿湌 梁宮首肹夫阿湌 沙梁宮弩知伊湌 至四十四年 以一員兼掌三宮 位自衿荷至太大角干 惟其人則授之 亦無年限 景德王又改爲殿中令 後復稱私臣 卿二人 位自奈麻至阿湌爲之 監二人 位自奈麻至沙湌爲之 大舍一人 舍知一人 내성 경덕왕 18년(759) 고쳐 전중성이라 하였다가 후에 옛 것으로 회복하였다. 사신은 1인이다. 진평왕.. 2024. 1. 5.
삼국사기 권38, 잡지7, 직관 상 三國史記卷第三十八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雜志 第七 職官 上 잡지 제7 직관 상 新羅官號 因時沿革 不同其名言 唐夷相雜 其曰侍中·郞中等者 皆唐官名 其義若可考 曰伊伐湌·伊湌等者 皆夷言 不知所以言之之意 當初之施設 必也職有常守 位有定員 所以辨其尊卑 待其人才之大小 世久文記缺落 不可得覈考而周詳 觀其第二南解王 以國事委任大臣 謂之大輔 第三儒理王設位十七等 自是之後 其名目繁多 今採其可考者 以著于篇 신라 관직의 이름은 때에 따라 바뀌어 그 이름과 말이 같지 않아 당나라와 우.. 2024.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