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전69

삼국사기 권46, 열전 6 三國史記卷第四十六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列傳 第六 强首·崔致遠·薛聰 崔承祐·崔彦撝·金大問·朴仁範·元傑·巨仁·金雲卿·金垂訓 附 强首 中原京沙梁人也 父昔諦奈麻 其母夢見人有角 而妊身及生 頭後有高骨 昔諦以兒就當時所謂賢者 問曰 “此兒頭骨如此 何也” 答曰 “吾聞之 伏羲虎形 女媧蛇身 神農牛頭 皐 陶馬口 則聖賢同類 而其相亦有不凡者 又觀兒首有黶子 於相法 面媧無好 頭媧無惡 則此必奇物乎” 父還謂其妻曰 “爾子非常兒也 好養育之 當作將來之國士也” 及壯 自知讀書 通曉義理 父欲觀其.. 2024. 1. 5.
삼국사기 권45, 열전 5 三國史記卷第四十五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列傳 第五 乙巴素·金后稷·祿眞·密友·紐由·明臨荅夫·昔于老 朴堤上·貴山·溫達 열전 제5, 을파소, 김후직, 녹진, 밀우, 유유, 명임답부, 석우로, 박제상, 귀산, 온달 乙巴素 高句麗人也 國川王時 沛者於畀留·評者左可慮等 皆以外戚擅權 多行不義 國人怨憤 王怒欲誅之 左可慮等謀反 王誅竄之 遂下令曰 “近者 官以寵授 位非德進 毒流百姓 動我王家 此寡人不明所致也 今汝四部 各擧賢良在下者” 於是四部共擧東部晏留 王徵之 委以國政 晏留言於.. 2024. 1. 5.
삼국사기 권44, 열전 4 三國史記卷第四十四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列傳 第四 乙支文德·居柒夫·居道·異斯夫·金仁問 良圖 附 金陽 金昕附 ·黑齒常之·張保皐 鄭年附 ·斯多含 열전 제4 을지문덕, 거칠부, 거도, 이사부, 김인문 양도 붙임, 김양 김흔 붙임, 흑치상지, 장보고 정년 붙임, 사다함 乙支文德 未詳其世系 資沈鷙有智數 兼解屬文 隋開皇中 煬帝下詔征高句麗 於是左翊衛大將軍宇文述 出扶餘道 右翊衛大將軍于仲文 出樂浪道 與九軍至鴨淥水 文德受王命 詣其營詐降 實欲觀其虛實 述與仲文 先奉密旨 若遇.. 2024. 1. 5.
삼국사기 권43, 열전 3 三國史記卷第四十三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列傳 第三 金庾信 下 열전 제3 김유신 하 子三光·元述·孫允中·允文·玄孫巖附 아들 삼광, 원술, 손자 윤중, 윤문, 현손 암을 붙였다. 麟德元年甲子三月 百濟餘衆 又聚泗沘城反叛 熊州都督發所管兵士攻之 累日霧塞 不辨人物 是故不能戰 使伯山來告之 庾信授之陰謀 以克之 인덕1년 갑자(문무왕4년, 664) 3월 백제의 남은 무리가 또 사비성에 모여 반라을 일으켰다. 웅천주 도독이 관할하는 바의 군대를 내어 공격하였는데 여러 날 .. 2024.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