諱辯1
韓愈
愈與李賀書 勸賀擧進士 賀擧進士有名 與賀爭名者毁之 曰 賀父名晉肅 賀不擧進士爲是 勸之擧者爲非 聽者不察也 和而倡之 同然一辭 皇甫湜曰 若不明白 子與賀且得罪 愈曰 然
내가 이하에게 글을 주어 이하가 진사시험에 응시하도록 권하였다. 이하가 진사시험에 응시하여 명예가 있었는데 이하와 함께 명예를 다투던 자가 그것을 비방하여 말하기를 “이하의 아버지 이름은 진숙인데 이하가 진사시험에 응시하지 않는 것이 옳음이 되고, 그를 권하여 응시하게 한자도 잘못”이라 하니 듣는 자들이 살펴보지도 않고 응하여 그것을 외쳐서(맞장구치니) 함께 하기를 한말로 하였다. 황보식이 말하기를 “만약 명백히 하지 않으면 그대와 이하가 또한 죄를 얻을 것이다.” 했다. 내가 말하기를 “그렇다” 했다.
律(『禮記』 曲禮)에 “두 글자 이름은 한 글자씩 쓰는 것을 忌諱하지 않는다.” 하였는데 (이것을) 해석한 자가 말하기를 “徵을 말하면 在를 일컳지 않고, 在를 말하면 徵 일컳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 했다.2 律(『禮記』 曲禮)에 “혼동하기 쉬운 이름을 忌諱하지 않는다.(글자의 음이 비슷하다 해서 忌諱할 필요는 없다.)” 하니 해석하는 자가 말하기를 “禹(우 임금의 이름)와 雨, 丘(공자의 이름)와 蓲의 종류와 같은 것이 이것이다.” 했다. 지금 이하의 아버지 이름이 진숙이고 이하가 진사 시험을 본 것이 두 글자 이름은 한 글자씩 쓰는 것을 忌諱하지 않는다. 는 律을 범한 것이 되겠는가? 글자의 음이 비슷하다 해서 忌諱할 필요는 없다.는 律을 범한 것이 되겠는가? 아버지의 이름이 진숙이어서 자식이 진사시험을 보지 못한다고 한다면 만약 아버지의 이름이 仁이면 자식은 사람이 될 수 없는 것인가?
아버지를 忌諱하는 것이 어느 때 시작하였는가? 법과 제도를 만들어서 천하를 가르친 자는 주공과 공자가 아니겠는가? 주공이 시를 짓되 忌諱하지 않았고, 공자는 두 글자 이름에 대해 한 글자를 忌諱하지 않았고, 『春秋』에서도 이름자와 발음이 비슷한 글자를 忌諱하지 않는 것을 나무라지 않았다. 강왕 釗(쇠)의 손자는 실제 소왕이 되었고, 증삼(증자)의 아버지 이름은 晳인데 증자가 昔자를 忌諱하지 않았다. 주나라 때에 騏期라는 사람이 있었고, 한나라 때는 杜度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에 그 아들이 어떻게 忌諱하겠는가? 장차 그 음이 비슷하다하여 忌諱한다면 마침내 그 姓을 忌諱(쓰지 말아야)하겠는가? 장차 그 음이 비슷하여도 忌諱하지 말아야 하는가?
漢諱武帝名徹爲通 不聞又諱車轍之轍爲某字也 諱呂后名雉爲野雞 不聞又諱治天下之治 爲某字也 今上章及詔 不聞諱滸勢秉機也 惟宦官宮妾 乃不敢言諭及機 以爲觸犯 士君子言語行事 宜何所法守也
한 나라 무제의 이름인 澈을 忌諱하여 (뜻이 같은)通을 썼지만 또 車轍의 轍을 忌諱하여(轍이 澈과 음이 같다하여) 다른 字를 쓴다는 것을 듣지 못하였다. 呂后의 이름 雉를 忌諱하여 野雞라 썼으나, 또 治를 忌諱하여 天下之治(천하를 다스린다.)의 治를 (雉와 음이 같다하여)다른 글자로 썼다는 것을 듣지 못하였다. 지금 신하가 천자에게 올리는 글과 황제가 신하에게 내리는 글에 滸, 勢, 秉, 機6를 忌諱하는 것을 듣지 못하였다. 오직 환관과 궁첩만이 이에 감히 喩와 機를 말하지 않았으며7 (말하는 것을) 諱法에 저촉되고 범하는 것으로 여겼다. 선비와 군자의 언어와 행사가 어느 것을 법으로 삼아 지키는 것이 마땅하겠는가?
今考之於經 質之於律 稽之以國家之典 賀擧進士 爲可耶 爲不可耶 凡事父母得如曾參 可以無譏矣 作人得如周公孔子 亦可以止矣 今世之士 不務行曾參周公孔子之行 而諱親之名 則務勝於曾參周公孔子 亦見其惑也 夫周公孔子曾參 卒不可勝 勝周公孔子曾參 乃比於宦者宮妾 則是宦者宮妾之孝於其親 賢於周公孔子曾參者耶
지금 경전(춘추, 시경 등 공자가 수정 비판한 책)을 상고하고, 율(당률의 두 글자 이름인 경우 한 글자를 쓸 경우 피휘하지 않는다는 법과 음이 비슷한 글자를 피휘하지 않는다는 법)에 질문하여 따져보고, 국가의 典(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과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글 등)으로 상고해 보면 이하가 진사 시험에 응시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옳지 않은 것인가? 무릇 부모를 섬기는 것을 증삼(증자)처럼 할 수 있다면 나무람이 없을 것이다. 사람 됨됨이가 주공과 공자처럼 할 수 있다면 또한 그칠만하다.(더 바랄 것이 없다.) 지금 세상의 선비들이 증삼(증자), 주공, 공자의 행실을 행하는 것을 힘쓰지 않고 어버이의 이름을 피휘하는 것으로 곧 증삼, 주공, 공자보다 낫도록 힘쓰니 또한 迷惑함을 볼 수 있다. 대저 주공, 공자, 증삼은 끝내 이길 수 없고, 주공과 공자, 증삼을 이기고 곧 환관과 궁첩에 견주니 곧 이는 환관과 궁첩의 그 어버이에 대한 孝가 주공, 공자, 증삼보다 어질다는 것인가?
- 諱는 죽은 조상 또는 임금, 부모의 이름자 쓰기를 꺼려하여 피하는 것. 이 글은 李賀가 進士에 급제하여 명성이 자자하였는데 이 때 이하와 명성을 다투던 元稹(빽빽할 진)이 李賀와 이하로 하여금 과거에 응시하도록 권하였던 한유를 비방한 일이 있었는데, 이 글은 원진의 비난에 대한 변명의 글이다. [본문으로]
- 孔子의 어머니의 이름이 微在이다. [본문으로]
- 주공의 아버지 문왕의 이름은 昌이고, 그의 형인 무왕의 이름은 發인데 주공이 문왕의 사당에 제사지낼 때 쓸 악가를 지으면서 昌과 發자를 사용한 것을 말함 [본문으로]
- 강왕의 이름이 釗이고, 그의 아들은 昭王이니 釗와 昭는 음이 같음에도 기휘하지 않음을 말함 [본문으로]
- 증자의 아버지 이름은 點이고 晳은 字이다. 『논어』 태백 편 참조 [본문으로]
- 당 태조의 이름이 李虎, 태종의 이름이 世民, 태조의 아버지 이름이 昺, 현종의 이름이 隆基인데 虎, 世, 昺, 基와 음이 같다고 해서 滸, 勢, 秉, 機를 피하여 쓰지 않았다는 것을 듣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본문으로]
- 대종의 이름인 豫는 喩와 음이 비슷하고 현종의 이름인 융기의 基는 機와 음이 같으므로 오직 환관과 궁녀들만 말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여겼다는 말이다.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