送李愿歸盤谷序
(반곡에 돌아가는 이원을 전송하는 서문)
韓愈
太行之陽有盤谷 盤谷之間 泉甘而土肥 草木藂(叢)茂 居民鮮少 或曰 謂其環兩山之間 故曰盤 或曰 是谷也 宅幽而勢阻 隱者之所盤旋 友人李愿居之
태행산의 남쪽에 반곡이 있고, 반곡의 사이에는 샘이 달고 땅이 비옥하며, 초목이 무성하지만 사는 백성들은 적습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두 산이 둘러싸인 사이를 일러 ‘盤’이라 한다.”하고,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이 골짜기는 터가 그윽하고 형세가 험하여 숨어 사는 자들이 배회하기(거닐기) 좋다.”고 하였는데 (이 곳에)벗인 이원이 살고 있다.
愿之言曰 人之稱大丈夫者 我知之矣 利澤施于人 名聲昭于時 坐于廟朝 進退百官而佐天子出令 其在外則樹旗旄羅弓矢 武夫前呵 從者塞塗 供給之人 各執其物 夾道而疾馳 喜有賞 怒有刑 才畯滿前 道古今而譽盛德 入耳而不煩 曲眉豊頰 淸聲而便體 秀外而惠中 飄輕裾 翳長袖 粉白黛綠者 列屋而閑居 妬寵而負恃 爭姸而取憐
이원이 말하기를 “사람들이 말하는 대장부라고 하는 것을 내가 알고 있다. 이익과 은택이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지고 명성이 당대에 밝아지고 조정에 앉아 백관의 나아가고 물러남을 정하고 천자를 도와 명령을 내린다. 그 조정 밖에 있으면 곧 깃발을 세우고 활과 화살을 나열하며 무부가 앞에서 소리치며 따르는 자가 길을 막으며, 시종이 각기 그 물건을 잡아 길을 끼고 빨리 치닫는다. 기쁘게 하면 상이 있고, 성내게 하면 형벌이 있으며 재주가 뛰어난 이가 앞에 가득하여 고금을 말하고 성대한 덕을 기려 (소문이)귀에 들리되 번거롭게 여기지 않습니다. 눈썹이 둥글고 뺨이 풍성한 여인이 소리를 맑게 하고 날씬한 몸매 밖은 빼어나고(수려하고) 마음속은 은혜로우며 옷자락을 가벼이 하며, 긴 소매를 끌며, 흰 분을 바르고 푸른 눈썹을 그린 자가 집안에 열 지어 한가로이 살면서 총애를 질투하고 의지하고 믿으며 예쁨을 다투어 어여쁨을 취하였습니다.
大丈夫之遇知於天子 用力於當世者之爲也 吾非惡此而逃之 是有命焉 不可幸而致也 窮居而野處 升高而望遠 坐茂樹以終日 濯淸泉以自潔 採於山 美可茹 釣於水 鮮可食 起居無時 惟適之安 與其譽於前 孰若無毁於其後 與其樂於身 孰若無憂於其心 車服不維 刀鋸不加 理亂不知 黜陟不聞 大丈夫不遇於時者之所爲也 我則行之
대장부가 천자에게 (일을)맡김을 만나 當世에 힘을 쓰는 자의 행함이다. 내가 이를 싫어하여 달아난 것이 아니라 이는 운명이 있었기 때문이요 요행으로 이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가난하게 살면서 재야에 처하여 높이 올라 멀리 바라보고, 무성한 나무에 종일토록 앉아 있기도 하고 맑은 샘에 씻어 스스로를 깨끗하게 합니다. 산에서 나물을 캐면 맛있게 먹을 수 있으며, 물에서 낚시하면 신선한 것을 먹을 수 있습니다. 일어나고 머무름에 때가 없어 오직 편안한대로 따를 뿐이니 앞에서 칭찬 들음이 뒤에서 비방함이 없는 것만 같으며(없는 것 보다 못하고), 그 한 몸을 즐겁게 하는 것이 어찌 그 마음에 근심함이 없는 것과 같겠는가?(없는 것 보다 못하다.) 수레와 의복에 메이지 않고 칼과 톱으로 행하는 형벌을 받지 않고, 다스려짐과 어지러움을 알지 못하며, 내쳐지고 오름(승진)을 듣지 않으니 대장부로 때를 만나지 못한 자의 할 바인데 내가 곧 그것을 행합니다.
伺候於公卿之門 奔走於刑勢之途 足將進而趑趄 口將言而囁嚅 處穢汚而不羞 觸刑辟而誅戮 僥倖於萬一 老死而後止者 其於爲人賢不肖何如也 昌黎韓愈聞其言而壯之 與之酒而爲之歌曰
“공경(고관대작)의 문에서 엿보고 권세의 길에 분주하여 발은 장차 나아가려다 머뭇거리고 입은 장차 말하려다 머뭇거리며 입만 벙긋거리고 더럽고 물든 곳에 머물러도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형벌에 저촉되어 죽임을 당하거나 만에 하나 요행히도 늙어죽은 후에야 그치는 자는 그 사람됨이 어짐과 불초함이 어떠한가?” 창려 한유가 그 말을 듣고 그것을 씩씩하게 여겨 술을 주면서 그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盤之中 維子之宮 盤之土 維子之稼 盤之泉 可濯可沿 盤之阻 誰爭子所 窈而深 廓其有容 繚而曲 如往而復 嗟盤之樂兮 樂且無央 虎豹遠跡兮 蛟龍遁藏 鬼神守護兮 呵禁不祥 飮且食兮 壽而康 無不足兮 奚所望 膏吾車兮 秣吾馬 從子于盤兮 終吾生以徜徉
반곡의 안은 그대의 집이요. 반곡의 땅은 그대의 채전 밭이요. 반곡의 샘은 씻을 수 있고, 따라 거닐 수 있고, 반곡의 험함을 누가 그대의 자리 다투겠는가? 그윽하고 깊어 그 포용함이 넓고, 돌고 굽어 가는 듯 돌아오는 듯하다. 아! 반곡의 즐거움이여, 즐겁고 또한 다함이 없도다. 호랑이, 표범은 자취를 멀리하고, 교룡은 도망하여 숨네. 귀신이 지키고 보호함이여 상서롭지 않은 것은 꾸짖어 금하네, 마시고 또한 먹음이여 장수하고 편안하니 부족함이 없으니 무슨 바랄 바가 있겠는가? 내 수레에 기름치고 내 말에 꼴 먹여 반곡에서 그대를 따라 내 생을 마칠 때까지 한가로이 거닐겠노라
出典:『古文眞寶』 後集
'한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祭十二郞文 (韓愈) (0) | 2018.11.05 |
---|---|
送孟東野序(韓愈) (0) | 2018.10.31 |
答陳商書(韓愈)-진상에게 답하는 글 (0) | 2018.10.17 |
上張僕射書(韓愈) (0) | 2018.10.16 |
諱辯(韓愈) (0) | 2018.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