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본기8 삼국사기 권17, 고구려본기5 三國史記 卷第十七 高句麗本紀第五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高句麗本紀 第五 東川王·中川王·西川王·烽上王·美川王 고구려본기 제5 동천왕·중천왕·서천왕·봉상왕·미천왕 東川王 (或云東襄) 諱憂位居 少名郊彘 山上王之子 母酒桶村人 入爲山上小后 史失其族姓 前王十七年 立爲太子 至是嗣位 王性寬仁 王后欲試王心 候王出遊 使人截王路馬鬣 王還曰 “馬無鬣可憐” 又令侍者進食時 陽覆羹於王衣 亦不怒 동천왕(혹은 동양) 이름은 우위거인데 어렷을 적 이름은 교체로 산상왕의 아들이다. 어머니.. 2024. 1. 4. 삼국사기 권16, 고구려본기4 三國史記 卷第十六 高句麗本紀第四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新大王·故國川王·山上王 신대왕·고국천왕·산상왕 新大王 諱伯固(固一作句) 太祖大王之季弟 儀表英特 性仁恕 初次大王無道 臣民不親附 恐有禍亂 害及於己 遂遯於山谷 及次大王被弑 左輔菸支留與羣公議 遣人迎致 及至 菸支留跪獻國璽曰 “先君不幸棄國 雖有子 不克有國家 夫人之心 歸于至仁 謹拜稽首 請卽尊位” 於是 俯伏三讓而後卽位 時年七十七歲 신대왕은 이름이 백고(固는 句라고도 쓴다.) 태조대왕의 막내동생이다. 몸가짐이 영특하.. 2024. 1. 4. 삼국사기 권15, 고구려본기3 三國史記 卷第十五 高句麗本紀第三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太祖大王·次大王 태조대왕·차대왕 太祖大王 (或云國祖王) 諱宮 小名於漱 琉璃王子古鄒加再思之子也 母太后扶餘人也 慕本王薨 太子不肖 不足以主社稷 國人迎宮繼立 王生而開目能視 幼而岐嶷 以年七歲 太后垂簾聽政 태조대왕(또는 국조왕)은 이름이 궁으로 어렸을 때 이름은 어수이다. 유리왕의 아들 고추가 재사의 아들이다. 어머니 태후는 부여 사람이다. 모본왕이 돌아가셨을 때 태자가 불초(현명하지 못하여)하여 사직을 주관하.. 2024. 1. 4. 삼국사기 권14, 고구려본기2 三國史記 卷第十四 高句麗本紀第二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守太保 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 集賢殿大學士 監修國史 上柱國 致仕 臣 金富軾 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예부사 집현전대학사 감수국사 상주국으로 퇴직한 신하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大武神王·閔中王·慕本王 대무신왕·민중왕·모본왕 大武神王 立(或云大解朱留王) 諱無恤 琉璃王第三子 生而聰慧 壯而雄傑 有大略 琉璃王在位三十三年甲戌 立爲太子 時年十一歲 至是卽位 母松氏 多勿國王松讓女也 대무신왕이 즉위하였다.(또는 대해주유왕이라 한다.) 이름은 무휼이니 유리왕의 셋째 아들이다. 나면서 총명하고 지혜로웠으며, 장성해서는 영웅다운 호걸로 큰 지략이 있었다. 유리왕 33년(14) 갑술에 세워 태자로.. 2024. 1.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