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기열전

사기권128 귀책열전제68

by 최인표 2019. 12. 10.

史記卷一百二十八

  龜策列傳第六十八 

 

索隱龜策傳有錄無書褚先生所補其敘事煩蕪陋略無可取正義史記至元成閒十篇有錄無書而褚少孫補景武紀將相年表禮書樂書律書三王世家蒯成侯日者龜策列傳日者龜策言辭最鄙陋非太史公之本意也

索隱귀책전은 기록은 있으나 글은 없고, 저선생이 보충하였다. 그 일을 서술한 것은 번잡하고 거칠며, 비루하고 소략하여 취할만 한 것이 없다. 正義】 『사기는 원제와 성제 사이에 이르기까지는 10편의 기록은 있으나 글이 없어 저소손이 경제와 무제본기와 장상 연표, 예서, 악서, 율서, 삼왕세가, 괴성후, 일자, 귀책열전을 보완하였다. 일자와 귀책은 말이 가장 비루하니 태사공의 본래 뜻이 아니다.

 

太史公曰自古聖王將建國受命興動事業何嘗不寶卜筮以助善唐虞以上不可記已自三代之興各據禎祥塗山之兆從而夏啟世飛燕之卜順故殷興百穀之筮吉故周王王者決定諸疑參以卜筮斷以蓍龜不易之道也蠻夷氐羌雖無君臣之序亦有決疑之卜或以金石或以草[]國不同俗然皆可以戰伐攻擊推兵求勝各信其神以知來事

태사공이 말하기를 옛날부터 성스러운 왕이 장차 나라를 세우고 천명을 받아 사업을 떨쳐 일으켜 움직임에 복서()을 보배로 여겨 돕게 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당의 요임금과 우이 순임금 이전은 기록할 수 없었다. 삼대가 흥기함으로부터 각각 상서로운 조짐에 근거하였다. 도산의 징조를 하가 세상에 열렸고, 제비의 점을 따랐기 때문에 은이 흥기하였고, 후직이 백곡을 길러낸 점의 길함으로 주왕이 연유하였다. 왕 노릇하는 자가 여러 의심스러운 것을 결정할 때는 점을 참고하고, 시초점과 거북점으로서 결단하는 것은 바꿀 수 없는 도이다. , , , 강족은 비록 군신의 서열은 없으나 또한 의심을 결단하는 점은 있었다. 혹은 금석으로 하고, 혹은 초목으로 하여 나라마다 풍속이 같지는 않다. 그러나 모두 전쟁으로 정벌하고, 공격하거나 군대를 밀고나가 이김을 구할 때 각기 그 신을 믿고 미래의 일을 알았다.


[] 集解徐廣曰:「一作』。」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한편으로 이라 쓴다.” 했다.

 

略聞夏殷欲卜者乃取蓍龜已則棄去之以為龜藏則不靈蓍久則不神至周室之卜官常寶藏蓍龜又其大小先後各有所尚要其歸等耳或以為聖王遭事無不定決疑無不見其設稽神求問之道者以為後世衰微愚不師智人各自安化分為百室道散而無垠故推歸之至微要絜於精神也或以為昆蟲之所長聖人不能與爭其處吉凶別然否多中於人至高祖時因秦太卜官天下始定兵革未息及孝惠享國日少呂后女主孝文孝景因襲掌故未遑講試雖父子疇官世世相傳其精微深妙多所遺失至今上即位博開藝能之路悉延百端之學通一伎之士咸得自效絕倫超奇者為右無所阿私數年之閒太卜大集會上欲擊匈奴西攘大宛[]南收百越卜筮至預見表象先圖其利及猛將推鋒執節獲勝於彼而蓍龜時日亦有力於此上尤加意賞賜至或數千萬如丘子明之屬富溢貴寵傾於朝廷至以卜筮射蠱道巫蠱時或頗中素有眥睚不快因公行誅恣意所傷以破族滅門者不可勝數百僚蕩恐皆曰龜策能言後事覺姦窮亦誅三族

대략 들으니 하, 은나라 때 점을 치고자 하는 자는 시초와 거북의 등껍질을 취하고, 점치기를 마치면 곧 버렸는데 거북의 등껍질을 보관해 두면 신령스럽지 않고, 시초가 오래되면 신묘하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주나라에 이르러서는 점치는 관리가 항상 시초와 거북 등껍질을 보배로 보관하였다. 또 그 (거북 등껍질의)크고 작음과 (사용의)선후가 각기 숭상하는 바가 있었으나 요약하면 그 돌아가는(목적으로 삼는) 것은 같았다. 혹 성스러운 왕이 일을 만나면 정하지 않음이 없고, 의심나는 것을 결단할 때 나타나지 않음이 없었는데 신령함을 상고하여 물음을 구하는 방법을 베푼 것은 후세에 쇠미해져서 어리석은 자가 지혜를 본받을 수 없어 사람들은 각각 스스로 편안하게 여겨 변화하고 나뉘어져 백실(百家)이 되니 방법이 흩어져 끝이 없어졌으므로 귀결되는 것의 지극히 미미한 것을 미루어 요점을 정신에서 헤아리려 한 것이다. 혹은 곤충(거북)의 장점인 바는 성인이라도 함께 다툴 수 없다. 그 길흉에 처하고, 그러함과 그렇지 않음을 분별함에 사람들에게 많이 적중하였다. 고조 때 이르러 진나라 태복관을 따랐다. 천하가 정해졌지만 전쟁은 멎지 않았다. 효혜제는 나라를 누린 날이 적었고(황제의 지위에 있은 날이 적고) 여후가 여주로 있을 때, 효문제와 효경제 때는 전례를 잇고, 강론하고 시험할 겨를이 없어 비록 부자가 주관을 대대로 서로 전하여 정미함이 깊고 오묘하나 빠트리고 잃은 바가 많았다. 지금의 천자가 즉위함에 이르러 넓게 재능의 길을 열고 백가지 단서의 학문을 모두 이어 한 가지 기예에 능통한 선비는 모두 스스로 본받음을 얻게하여 절윤한 기예를 지닌 자를 중시하여 편애함이 없게 하기를 여러 해를 하니 태복이 크게 모였다. 마침 천자가 흉노를 치고자 하여 서쪽으로 대완을 물리치고, 남쪽으로 백월을 거두니 점쟁이들이 이르러 미리 표상을 나타내어 먼저 그 이로움을 도모하였다. 용맹한 장군들이 부절을 지니고 적진으로 돌격하여 들어가 그들에게서 이김을 얻음에 시일을 시초 점과 거북점을 쳐서 또한 여기에서 힘씀이 있었다. 천자가 더욱 뜻을 더하여 상을 내림이 혹은 수천만에 이르렀다. 구자명의 등속과 같이 부는 넘치고, 귀하며, 총애를 받아 조정에서 압도하였다. 복서로서 남을 속이는 미신을 맞힘에 이르고 무고 때에는 혹 자못 알아맞히었다. 평소 노려보거나 불쾌함이 있으면 점을 인하여 공적으로 죽임을 행하고 멋대로 상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족을 깨트리고 가문을 멸하는 자가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 모든 관리들이 당황하고 두려워하여 모두 말하기를 거북점과 시초점이 말을 할 줄 안다.’ 했다. 후에 일이 간사한 음모가 발각되어 또한 삼족이 죽음을 당하였다.

 

[] 集解徐廣曰:「一作』。除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물리칠 양)’ 한편으로 (물리칠 양)’이라 쓴다. ‘은 제거함이다.

 

夫摓策定數[]灼龜觀兆變化無窮是以擇賢而用占焉可謂聖人重事者乎周公卜三龜而武王有瘳紂為暴虐而元龜不占晉文將定襄王之位卜得黃帝之兆[]卒受彤弓之命獻公貪驪姬之色卜而兆有口象其禍竟流五世楚靈將背周室卜而龜逆[]終被乾谿之敗兆應信誠於內而時人明察見之於外可不謂兩合者哉君子謂夫輕卜筮無神明者[]人道信禎祥者鬼神不得其正故書建稽疑五謀而卜筮居其二五占從其多明有而不專之道也

대저 시초를 나누어 잡아 손가락 사이에 끼워 수를 정하고 거북 등껍질을 지져 조짐을 보는데 변화가 다함이 없어 이 때문에 현명한 이를 가려서 점을 치는 것은 성인이 일을 중시했다고 말할 만하다! 주공이 太王, 季歷, 文王에게 기도하는 세 번의 거북점을 쳐서 무왕의 병이 나음이 있었다. 주왕은 포학하여 큰 거북점을 쳤으나 길한 점괘가 나오지 않았다. 나라 문공이 장차 주나라 양왕의 지위를 안정시키려 할 때 점을 쳐서 황제의 조짐을 얻어 마침내 단궁의 천명을 받았다. 헌공은 여희의 미색을 탐하여 점을 쳤으되 조짐에 입 모양의 상징이 있었는데 그 재앙이 마침내 다섯 세대를 흘렀다. 초나라 영공이 장차 주나라 왕실을 배반하려할 때 점을 쳐서 거북점에 거슬러짐이 나타났는데 마침내 건계에서 패하였다. 조짐은 마땅히 안에서 진실되게 나타나는데, 당시의 사람들이 밝게 살펴서 밖에서 드러났으니 둘이 합한 것이라 말할 수 있지 않겠는가! 군자가 말하기를 저 점치는 것을 가벼이 하고, 신령스러운 밝음이 없다고 여기는 자는 (이치에)어그러지고, 인도를 배반하고 상서로움만을 믿는 자는 귀신이 그 바르게 함을 얻지 못한다.’ 했다. 그러므로 서경홍범에 의심나는 것을 상고하는 5가지 방법에 시초점과 거북점이 그 두 자리를 차지하고, 다섯 번 점을 쳐서 그 많음을 따르라 한 것은 있는 것을 가지고 있되 오로지 해서는 안됨을 밝힌 말이다.

 

[] 集解徐廣曰:「摓音逢一作』。」 索隱按徐廣摓音逢摓謂兩手執蓍分而扐故云摓策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꿰멜 봉)’의 음은 이다. 한편으로 이라 쓴다.” 했다. 索隱살펴보니 서광은 의 음이 이라 했다. ‘은 두 손으로 시초를 나누어 잡고 그것을 손가락 사이에 끼우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摓策이라 한 것이다.


[] 集解左傳曰遇黃帝戰于阪泉之兆

[] 集解】 『좌전황제가 판천에서 싸우는 징조를 만났다.” 했다.

 

[集解左傳曰:「靈王卜余尚得天下』,不吉投龜詬天而呼曰:『是區區者而不余畀余必自取之。』」索隱詬音火候反

[] 集解】 『좌전에 말하기를 영왕이 점을 쳐보고 말하기를 내가 거의 천하를 얻었다.’하였는데 길하지 않았다. 거북 등껍질을 던져버리고 하늘을 꾸짖으며 소리쳐 말하기를 이 구구한(구질구질한) 것아 나에게 주지 않느냐 나는 반드시 스스로 취할 것이다.’ 索隱의 음은 이다.

 

[] 索隱上音倍下音佩

[] 索隱위의 음은 이고 아래 음은 (찰 패)’이다.

 

余至江南觀其行事問其長老云龜千歲乃遊蓮葉之上[]蓍百莖共一根[]又其所生獸無虎狼草無毒螫江傍家人常畜龜飲食之以為能導引致氣有益於助衰養老豈不信哉

내가 강남에 이르러 그 행사를 보고 그 장노에게 물으니 말하기를 거북은 천년을 연잎 위에서 놀고, 시초는 한 뿌리에 백개의 줄기가 납니다. 또 그 나는 곳은 짐승으로는 범과 이리가 없고, 풀로는 독초가 없습니다. 강 옆에 사는 家人들은 항상 거북을 기르며, 고기를 먹고 피를 마셔서 양생하여 기에 이르는데 쇠퇴함을 돕고 늙은이를 봉양하는데 이익이 있으니 어찌 믿지 않겠는가!” 했다.


[] 集解徐廣曰:「一作』。領與蓮聲相近或假借字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은 한편으로 이라 쓴다. ‘은 소리가 서로 비슷하니 혹 글자를 빌려 슨 것일 것이다.” 했다.

 

[] 集解徐廣曰:「劉向云龜千歲而靈蓍百年而一本生百莖。」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유향이 말하기를 거북이 천년을 살면 신령스러워지고, 시초는 백년이 지나면 한 부리에 백개 줄기가 난다.” 했다.

 

褚先生曰臣以通經術受業博士治春秋以高第為郎幸得宿衛出入宮殿中十有餘年

저선생이 말하기를 신이 經術에 통하여 박사에게 학문을 받았으며 춘추를 익혀 뛰어난 제자로서 낭이 되어 요행히 숙위할 수 있게 되어 궁전을 출입한 것이 10여년 이었었습니다.

 

竊好太史公傳太史公之傳曰:「三王不同龜四夷各異卜然各以決吉凶略闚其要故作龜策列傳。」臣往來長安中求龜策列傳不能得故之大卜官問掌故文學長老習事者寫取龜策卜事編于下方

가만히 태사공전을 좋아하였습니다. 태사공의 전에 말하기를 , , 주가 거북점을 같이하지 않았고, 사방의 오랑캐가 각기 점치는 것을 다르게 하지만 그러나 각기 길흉을 결단하는 것으로서 대략 그 요점을 살펴보려는 이유로 귀책열전을 지었다,” 했습니다. 신이 장안을 왕래하면서 귀책열전을 찾았으나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태복관에게 가서 옛 제도와 문학에 능통한 장로들을 찿아가 일을 익히는 것을 묻고, 귀책과 점치는 일을 베껴 취하여 아래에 엮었습니다.

 

聞古五帝三王發動舉事必先決蓍龜傳曰[]下有伏靈上有兔絲上有擣[]下有神龜。」所謂伏靈者在兔絲之下狀似飛鳥之形新雨已天清靜無風以夜捎兔絲去之既以篝燭此地[]燭之火滅即記其處以新布四丈環置之明即掘取之入四尺至七尺得矣過七尺不可得伏靈者千歲松根也食之不死聞蓍生滿百莖者其下必有神龜守之其上常有青雲覆之傳曰:「天下和平王道得而蓍莖長丈其叢生滿百莖。」

옛날 오제와 삼왕이 움직여 일을 일으키려 할 때는 반드시 먼저 시초점과 거북점으로 결단하였습니다. 전에 말하기를 아래는 복령이 있고, 위에는 토사가 있고, 위에는 도시(시초의 떨기)가 있고, 아래에는 신구가 있다.”했습니다. 이른 바 복령이라는 것은 토사의 아래에 있는데 형상이 나는 새의 형상과 비슷하였다. 새로 비가 내린 후 하늘이 맑고 깨끗하며 바람이 없으면 밤에 토사를 베어 제거하고, 바구니를 덮고 촛불로 이 땅을 비추어보고 불이 꺼지면 곧 그 자리를 기억하였다가 새로운 포 4장을 둘러싸 놓았다가 날이 밝으면 캐서 취하는데 4자를 들어가고, 7자에 이르면 얻는데 7자를 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다. ‘복령은 천년 묵은 소나무 뿌리인데 그것을 먹으면 죽지 않는다. 들으니 시초는 백개가 넘는 줄기가 난 것은 그 아래에 반드시 신령스러운 거북이 그 것을 지키고, 그 위에는 항상 푸른 구름이 덮인다고 합니다. 전에 말하기를 천하가 화평하면 왕도가 이루어져서 시초의 줄기가 1장을 자라고, 떨기가 백개를 채우는 줄기가 난다.” 했습니다.


方今世取蓍者不能中古法度不能得滿百莖長丈者取八十莖已上蓍長八尺即難得也人民好用卦者取滿六十莖已上長滿六尺者既可用矣記曰:「能得名龜者財物歸之家必大富至千萬。」一曰北斗龜」,二曰南辰龜」,三曰五星龜」,四曰八風龜」,五曰二十八宿龜」,六曰日月龜」,七曰九州龜」,八曰玉龜」:凡八名龜龜圖各有文在腹下文云云者此某之龜也略記其大指不寫其圖

바야흐로 지금의 세상에서 시초를 취하는 자는 옛 법도에 맞출 수 없어 백개의 줄기를 채우고 길이가 1장을 자라는 것은 얻지 못하고, 80줄기 이상과 시초 길이가 8자되는 것을 취하는 것도 곧 얻기 어렵다. 백성으로 괘를 쓰기를 좋아하는 자는 60줄기 이상을 채우고 길이가 6척을 채운 것을 취하여 쓸 수 있습니다. 기록에 명귀를 얻을 수 있는 자는 재물이 돌아가 집에 반드시 큰 인 천만이 이를 것이다.” 했습니다. 하나는 북두귀’, 둘째 남진귀’, 셋째 오성귀’, 넷째 팔풍귀’, 다섯째 이십팔숙귀’, 여섯째 일월귀’, 일곱째 구주귀’, 여덟째 옥귀가 무릇 팔 명구입니다. 거북의 그림에는 각각 글이 배 아래에 있는데 글에 말할 것은 이것은 어느 거북이다. 대략적으로 그 큰 뜻을 기록하나 그 그림을 베끼지는 않았습니다.


取此龜不必滿尺二寸民人得長七八寸可寶矣今夫珠玉寶器雖有所深藏必見其光必出其神明其此之謂乎故玉處於山而木潤淵生珠而岸不枯者[]潤澤之所加也明月之珠出於江海藏於蚌中龍伏之[]王者得之長有天下四夷賓服能得百莖蓍并得其下龜以卜者百言百當足以決吉凶

취한 이 거북이 반드시 한 자 한 치를 채운 것은 아니며, 백성들이 길이 7, 8치를 얻으면 보배로 여길 만하다. 지금 저 주옥과 보배로운 기물은 비록 깊이 숨겨져도 반드시 그 빛을 나타내고, 반드시 그 신명을 낸다는 것이 이것을 말하는가! 그러므로 옥이 산에 있으면 나무가 윤이 나고, 연못에서 구슬이 나면 언덕이 마르지 않는 것은 윤택함이 더해진 것이다. 명월의 구슬은 강과 바다에서 나는데 조개 안에 감추어져 있고, 교룡이 그것을 덮고 있다. 왕노릇 하려는 자가 그것을 얻으면 길이 천하를 소유하고 사방의 오랑캐가 복종한다. 백 줄기의 시초를 얻을 수 있으면 아울러 그 아래 거북을 얻어 점치는 자는 모든 말 하는 것이 모두 마땅하고, 길흉을 결단하기에 충분하다.


[] 索隱此傳即太卜所得古占龜之說也

[] 索隱은 곧 태복이 얻었던 옛날 점치는 거북의 말이다.


[] 索隱擣音逐留反即稠也擣蓍即藂蓍擣是古字也

[] 索隱(찧을 도, 모일 주)’의 음은 이다. 살펴보니 곧 (빽빽할 조)’이다. ‘擣蓍는 곧 (잔풀 총)(시초 더미)’이다. ‘는 옛 자 이다.

 

[] 集解徐廣曰:「籠也蓋然火而籠罩其上也音溝陳涉世家曰夜簼火。」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배롱 구)’(대그릇 롱)’이다. 대개 불을 피우고 그 위를 대바구니로 덮는다. 음은 (봇도랑 구)’ 진섭세가밤에 불을 대바구니로 덮는다.’” 했다.

 

[] 集解徐廣曰:「一無許氏說淮南以為滋潤鍾於明珠致令岸枯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어떤 본에는 자가 없다. 허씨는 회남자에서 명주에 축축함이 모여 언덕의 마름에 이르게 한다.”고 말했다.


[] 集解徐廣曰:「許氏說淮南云蚗龍龍屬也音決。」 索隱蚗蠪伏之蚗當為」。蠪音龍注音決誤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허씨는 회남자에서 결룡이라 했는데 음은 이다.” 했다. 索隱蚗蠪伏之는 살펴보니 (스르라미 결)’은 마땅히 (교룡 교)’가 되어야 한다. ‘(개미 롱)’의 음은 이고, 주석에 음은 이라 하였는데 잘못이다.

 

神龜出於江水中廬江郡常歲時生龜長尺二寸者二十枚輸太卜官太卜官因以吉日剔取其腹下甲龜千歲乃滿尺二寸王者發軍行將必鑽龜廟堂之上以決吉凶今高廟中有龜室藏內以為神寶

신구는 강물에서 나오는데 여강군에서 평소 길이 한자 두치 되는 거북이 나오면 20개를 태복관에게 보내는데 태복관은 길일에 그 배아래 껍질을 베고 취합니다. 거북은 천년이 지나면 곧 한 자 두치를 채운다. 왕 노릇 하는 자가 군대를 징발하여 행군하려할 때는 반드시 거북을 사당의 위에서 뚫어 길흉을 결단한다. 지금 고조의 사당 안에 구실이 있고, 안에 보관한 것을 신령스러운 보배로 여긴다.


傳曰:「取前足臑[]穿佩之取龜置室西北隅懸之以入深山大林中不惑。」臣為郎時見萬畢石朱方傳曰:「有神龜在江南嘉林中[]嘉林者獸無虎狼鳥無鴟梟草無毒螫野火不及斧斤不至是為嘉林龜在其中常巢於芳蓮之上左脅書文曰:『甲子重光[]得我者匹夫為人君有土正[]諸侯得我為帝王。』求之於白蛇蟠[]林中者[]齋戒以待[]狀如有人來告之因以醮酒佗髮[]求之三宿而得。」由是觀之豈不偉哉故龜可不敬與

전에 말하기를 앞 발 발꿈치 뼈를 취하여 그것을 뚫어 차며, 거북을 취하여 방 서북쪽 모퉁이에 걸어두는데 깊은 산, 큰 숲에 들어가도 길을 잃지 않는다.” 합니다. 신이 낭이 되었을 때 만필술 안의 석주방을 보았는데 전에 말하기를 신구는 강남 가림 안에 있다. 가림은 동물로는 범과 이리 같은 맹수가 없고, 새로는 부엉이와 올빼미 같은 사나운 새가 없으며, 풀에는 독초와 쏘는 것이 없으며 산불이 미치지 않으며 도끼가 이르지 않으니 이를 가림이라 한다, 거북은 그 안에 있는데 항상 무성한 연 위에 둥지를 튼다. 왼쪽 옆구리에 있는 글에 갑자일에 나를 얻은 자는 필부는 임금이 되어 유사의 장이 되고 제후가 나를 얻으면 제왕이 된다.’하였습니다. 백사우림 안에서 그것을 구하는 자는 재계하고 기다리는데 삼가는 모습이 마치 사람이 와서 알리는 듯이 하고, 술로 머리를 풀어헤치고 제사하여 그것을 찾아 3일을 묵어야 얻을 수 있다.” 했습니다. 이로부터 살펴보면 어찌 위대하지 않다 하겠는가! 그러므로 거북을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 集解徐廣曰:「臑音乃毛反。」 索隱臑音乃高反臂也一音乃導反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동물의 앞다리 노)’의 음은 이다. ‘는 팔이다.” 했다. 索隱의 음은 이다. ‘는 팔이다. 한 음은 이다.

 

[] 索隱按萬畢術中有石朱方方中說嘉林中故云傳曰

[] 索隱살펴보니 만필술안에 석주방이 있고, ‘방중은 가림 안을 말하기 때문에 傳曰이라 한 것이다.

 

[] 集解徐廣曰:「一作』。」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는 한편으로 라 쓴다.” 했다.

 

[] 集解徐廣曰:「長也為有土之官長。」

[] 集解서광이말하기를 “‘이다. 有士의 관장이 되는 것이다.” 했다.


[] 集解徐廣曰:「一孤反。」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이다.

 

[] 索隱按林名白蛇蟠杅林龜藏其中杅音烏謂白蛇嘗蟠杅此林中也

[] 索隱살펴보니 숲 이름이 백사반우림이며 거북이 그 안에 숨어 있다. ‘의 음은 이다. 백사가 일찍이 인 숲 안에 서려 있었음을 말하였다.

 

[] 索隱音嶷言求龜者齋戒以待常譺然也

[] 索隱음은 (산이름 의)’이다. 거북을 찾는 자는 재계하고 기다리는데 항상 삼가는 모습을 보여야 함을 말한다.


[] 集解徐廣曰:「一作』。」 索隱佗音徒我反謂被髮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다를 타)’는 한편으로 라고 쓴다.” 했다. 索隱의 음은 이다. 살펴보니 머리를 풀어헤침을 말한다.

 

南方老人用龜支床足行二十餘歲老人死移床龜尚生不死龜能行氣導引問者曰:「龜至神若此然太卜官得生龜何為輒殺取其甲乎?」近世江上人有得名龜畜置之家因大富與人議欲遣去人教殺之勿遣遣之破人家龜見夢曰:「送我水中無殺吾也。」其家終殺之殺之後身死家不利人民與君王者異道人民得名龜其狀類不宜殺也以往古故事言之古明王聖主皆殺而用之

남쪽 지방의 한 노인이 거북을 써서 침대의 발로 삼았는데 20여년을 쓰다가 노인이 죽었는데 침대를 옮기고 보니 거북이 아직도 살아 죽지 않았습니다. 거북은 기를 운행하여 호흡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묻기를 거북의 신령스러움이 이 같음에 이르러 태복관이 산 거북을 얻었으면서도 어찌하여 문득 죽여서 그 껍질을 취합니까?” 했습니다. 최근에 강가에 사는 사람들이 명구를 얻음이 있으면 길러 두었는데 집이 이로 인하여 크게 부유해졌습니다. 사람들과 논의하여 보내버리고자 하였습니다. 사람들이 죽이고 보내지 말라 하면서 그것을 보내면 집이 부서질 것이라 했습니다. 거북이 꿈에 나타나 말하기를 나를 물속으로 보내고 나를 죽이지 마시오.”했는데 그 집이 끝내 거북을 죽였습니다. 거북을 죽인 후 자신은 죽고 집이 이롭지 않았습니다. 백성과 임금을 방법을 달리합니다. 백성이 명구를 얻으면 그 형상이 비슷하므로 마땅히 죽이지 말아야 하는 것입니다. 옛날의 고사로서 말하면 옛날의 현명한 왕과 성스러운 임금은 모두 죽여서 그것을 사용하였습니다.

 

宋元王時得龜亦殺而用之謹連其事於左方令好事者觀擇其中焉

송 원왕 대 거북을 얻어 또한 죽여서 사용하였다. 삼가 그 일을 아래에 이어놓았으니 일을 좋아하는 자들로 하여금 그 안에서 관찰하고 택하게 한다.


宋元王二年江使神龜使於河至於泉陽漁者豫且[]舉網得而囚之置之籠中夜半龜來見夢於宋元王曰:「我為江使於河而幕網當吾路泉陽豫且得我我不能去身在患中莫可告語王有德義故來告訴。」元王惕然而悟乃召博士衛平[]而問之曰:「今寡人夢見一丈夫延頸而長頭衣玄繡之衣而乘輜車來見夢於寡人曰:『我為江使於河而幕網當吾路泉陽豫且得我我不能去身在患中莫可告語王有德義故來告訴。』是何物也?」衛平乃援式而起[]仰天而視月之光觀斗所指定日處鄉規矩為輔副以權衡四維已定八卦相望視其吉凶介蟲先見乃對元王曰:「今昔壬子[]宿在牽牛河水大會鬼神相謀漢正南北[]江河固期南風新至江使先來白雲壅漢萬物盡留斗柄指日使者當囚玄服而乘輜車其名為龜王急使人問而求之。」王曰:「。」

송 원왕 2년 강의 신이 신구로 하여금 하의 신에게 사신으로 가게 하여 천양에 이르렀는데 물고기 잡는 자인 예저가 그물을 쳐서 잡아 가두어 (거북을) 조롱 안에 두었다. 한 밤 중에 거북이 송 원왕 꿈에 나타나 말하기를 나는 강의 신을 위하여 하의 신에게 사신을 가다가 그물이 내 길을 막았습니다. 천양의 예저가 나를 잡아서 내가 갈 수 없습니다. 몸이 근심 중에 있으나 알려 말할 수가 없습니다. 왕께서 덕과 의가 있기 때문에 와서 알리고 하소연합니다.” 했다. 원왕이 놀라 잠에서 깨어났다. 이에 박사 위평을 불러 그것을 물어 말하기를 지금 과인의 꿈에 한 장부가 나타났는데 목은 길게 뻗었고, 머리는 길었으며, 검은 수놓은 옷을 입고 짐수레를 타고 꿈에 과인에게 와서 나타나 말하기를 내가 강의 신을 위하여 하의 신에게 사신을 가다가 그물이 내 길을 막았습니다. 천양의 예저가 나를 잡아 내가 갈수 없습니다. 몸이 근 심 가운데 있어 알리는 말을 할 수 없습니다. 왕께서 덕과 의가 있으시기 때문에 와서 알리고 하소연하는 것입니다. 하니 이것은 어떠한 물건인가? 했다. 위평이 이에 (점치는)식을 잡고 일어나 하늘을 우러러 달의 빛을 보고 북두의 자루가 가리키는 것을 관찰하여 해가 있는 쪽을 정하였습니다. 規矩를 도움 삼고, 권형으로 도와 4방이 정해지고, 팔괘가 서로 바라보입니다. 그 길흉을 보니 개충이 먼저 보였다. 이에 원왕에게 대답하여 말하기를 지난 밤 임자에 별은 견우에 있었습니다. 은하수가 크게 모이고 귀신이 서로 모의하였습니다. 은하가 정남북이고, 강과 하의 신이 기약하여 남풍이 새로 이르고 강의 사신이 먼저 왔습니다. 흰구름이 은하수를 막으니 만물이 모구 머물렀습니다. 북두칠성의 자루가 해를 가리키니 사자가 갖히는 것이 마땅합니다. 검은 옷을 입고 치거를 탔으니 그 이름은 거북입니다. 왕께서는 급히 사람을 시켜 물어 구하게 하십시오.” 했다. 왕이 말하기를 좋다했다.

 

[] 索隱下音子余切泉陽人網元龜者

[] 索隱아래 음은 이다. 천양인은 원구를 그물질한 자이다.

 

[] 索隱宋元君之臣也

[] 索隱송 원군의 신하이다.

 

[] 集解徐廣曰:「式音敕。」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의 음은 이다.” 했다.

 

[] 索隱今昔猶昨夜也以今日言之謂昨夜為今昔

[] 索隱今昔은 지난밤이다. 오늘로서 말하면 지난밤이 今昔이 됨을 말한 것이다.


[] 正義漢天河

[] 正義天河(銀河:은하수)이다.

 

於是王乃使人馳而往問泉陽令曰:「漁者幾何家名誰為豫且豫且得龜見夢於王王故使我求之。」泉陽令乃使吏案籍視圖水上漁者五十五家上流之廬名為豫且泉陽令曰:「。」乃與使者馳而問豫且曰:「今昔汝漁何得?」豫且曰:「夜半時舉網得龜。」[]使者曰:「今龜安在?」:「在籠中。」使者曰:「王知子得龜故使我求之。」豫且曰:「。」即系龜而出之籠中獻使者

이에 왕이 곧 사람을 시켜 달려가 천양현 령에게 물어 말하기를 어부는 몇 집인가? 이름은 누구를 예저라 하는가? 예저가 또한 거북을 잡아 꿈에 왕에게 보였고, 왕이 그런 이유로 나로하여금 거북을 구하게 하시었다.” 했다. 천양현 령이 관리를 시켜 호적을 살펴보고 지도를 살피게 하였더니 물가에 고기잡이하는 집이 50집인데 상류의 띠집이 이름을 예저라 하였다. 천양현 령이 말하기를 하고는 이에 자자와 함께 달려가 예저에게 물어 말하기를 지난밤에 네가 고기를 잡다가 무엇을 잡았는가?”했다. 예저가 말하기를 한밤 중에 그물을 들어서 거북을 잡았습니다.” 했다. 사자가 말하기를 지금 거북은 어디에 있는가?”하니 (어부가)말하기를 조롱에 있습니다.”했다. 사자가 말하기를 왕께서 그대가 거북을 잡은 것을 알았기 때문에 나로 하여금 거북을 구하게 한 것이다.” 했다. 예저가 말하기를 하고는 곧 묶은 거북을 조롱 안에서 꺼내 사자에게 바쳤다.


[] 集解莊子曰得白龜圓五尺

[] 集解】 『장자흰 거북을 잡았는데 둘레가 다섯 자였다.” 했다.

 

使者載行出於泉陽之門正晝無見風雨晦冥雲蓋其上五采青黃雷雨並起風將而行入於端門見於東箱身如流水潤澤有光望見元王延頸而前三步而止縮頸而卻復其故處元王見而怪之問衛平曰:「龜見寡人延頸而前以何望也縮頸而復是何當也?」衛平對曰:「龜在患中而終昔囚王有德義使人活之今延頸而前以當謝也縮頸而卻欲亟去也。」元王曰:「善哉神至如此乎不可久留趣駕送龜勿令失期。」

사자가 싣고 가서 천양의 문을 나섰다. 한낮에 보이지 않고, 비바람으로 어두웠다. 구름이 그 위를 덮었는데 5색으로 푸르고 누르며, 우레와 비가 함께 일어나고 바람이 일어났다. 궁전에 들어가 동상전에 나타났다. 몸은 흐르는 물과 같고, 윤택으로 빛이 있었다. 원왕을 바라보는데 목을 늘이고 앞으로 나아가 세 걸음을 가서 멈추고는 목을 움츠리고 물러났다가 다시 옛 자리로 돌아갔다. 원왕이 보고 괴이하게 여겨 위평에게 물어 말하기를 거북이 과인을 보고 목을 늘이고 앞으로 나와서는 무엇을 바라보았는가? 목을 움츠리고 돌아간 것은 어찌 된 것인가?” 위평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거북이 근심 중에 마침내 지난번처럼 갇혀 있다가 왕이 덕과 의가 있어 사람으로 하여금 살려주게 하였습니다. 지금 목을 늘이고 나아간 것은 감사를 드린 것이고, 목을 움츠리고 물러난 것은 빨리 떠나가고자 해서입니다.” 했다. 원왕이 말하기를 훌륭하도다! 신령스러움의 지극함이 이 같아 오래 잡아둘 수 없으니 수레를 나아가게 하여 거북을 보내어 기일을 잃음이 없게 하라.” 했다.


衛平對曰:「龜者是天下之寶也先得此龜者為天子且十言十當十戰十勝生於深淵長於黃土知天之道明於上古游三千歲不出其域安平靜正動不用力壽蔽天地莫知其極與物變化四時變色居而自匿伏而不食春倉夏黃秋白冬黑明於陰陽審於刑德先知利害察於禍福以言而當以戰而勝王能寶之諸侯盡服王勿遣也以安社稷。」

위평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거북은 이는 천하의 보배인데 먼저 이 거북을 얻은 자는 천자가 되고, 또한 열 번 말하면 열 번이 마땅하고, 열 번 싸우면 열 번을 이깁니다. 깊은 못에서 태어나 황토에서 자랍니다. 하늘의 도를 알아 사고에 밝습니다. 삼천년을 노닐면서도 그 영역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편안하고 조용하고 발라서 움직여도 힘을 쓰지 않습니다. 수명은 천지를 가려 그 끝을 알지 못합니다. 사물과 더불어 변화하여 때에 따라 색이 변합니다. 살면서 스스로를 숨겨 엎드려서 먹지 않습니다. 본에는 푸르고 여름에는 누르며, 가음에는 희고 겨울에는 검다. 음양에 밝고 형벌과 덕을 자세히 살폈습니다. 먼저 이해를 알고 화와 복을 살피며 말을 하면 마땅하고, 싸우면 이기니 왕께서는 보배로 여기시고, 제후는 모두 복종합니다. 왕께서는 보내지 마시고 사직을 편안하게 하십시오.” 했다.

 

元王曰:「龜甚神靈降于上天陷於深淵在患難中以我為賢德厚而忠信故來告寡人寡人若不遣也是漁者也漁者利其肉寡人貪其力下為不仁上為無德君臣無禮何從有福寡人不忍柰何勿遣!」

원왕이 말하기를 거북은 매우 신령스러워 상천에서 내려와 깊은 못에서 함정에 빠져 환란의 가운데 있으면서도 나를 어질고, 덕이 두터우며 忠信하다 여기고 과인에게 와서 알렸다. 과인이 만약 보내지 않는다면 이는 물고기를 잡는 자이다. 물고기를 잡는 자는 그 고기를 이롭게 여기고, 과인은 그 힘을 탐하니 아래로는 하지 않고, 위로는 덕이 없으며 군신 간에 예가 없으니 어찌 무엇을 따라 복이 있겠는가? 과인은 차마 할 수 없는데 어찌 보내지 말라 하는가?” 했다.

 

衛平對曰:「不然臣聞盛德不報重寄不歸天與不受天奪之寶今龜周流天下還復其所上至蒼天下薄泥塗還遍九州未嘗愧辱無所稽留今至泉陽漁者辱而囚之王雖遣之江河必怒務求報仇自以為侵因神與謀淫雨不霽水不可治若為枯旱風而揚埃蝗蟲暴生百姓失時王行仁義其罰必來此無佗故其祟在龜後雖悔之豈有及哉王勿遣也。」

위평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그렇지 않습니다. 신이 들으니 성대한 덕은 갚지 않고 중요하고 기이한 물건은 돌려보내지 않는다 하고, 하늘이 주는데도 받지 않으면 하늘이 보배를 빼앗아 갑니다. 지금 거북이 천하를 두루 흐르다 그 자리에 돌아와 위로는 푸른 하늘에 이르고 아래로는 진흙 길을 가까이 합니다. 두루 구주를 돌아와 일찍이 부끄럽거나 욕되지 않았고 머무는 바가 없었습니다. 지금 천양에 이르러 물고기 잡는 자가 욕을 보이고 그들을 가두었습니다. 왕께서 비록 거북을 보낼지라도 강과 하의 신은 반드시 노하여 원수를 갚는데 힘쓸 것입니다. 스스로 침략 당했다 여기고 신과 도모하여 장마 비는 개지 않고, 홍수는 다스려지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마르고 가뭄이 든다면 바람이 불고 먼지가 날릴 것이며, 메뚜기 떼가 사납게 일어 백성들이 농사의 때를 잃을 것입니다. 왕께서 인과 의를 행하셔도 그 벌은 반드시 올 것입니다.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니라 그 높임이 거북에게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후에 비록 뉘우침이 있을 지라도 어찌 미칠 수 있으리오! 왕께서는 보내지 마십시오.” 했다.

 

元王慨然而歎曰:「夫逆人之使絕人之謀是不暴乎取人之有以自為寶是不彊乎寡人聞之暴得者必暴亡彊取者必後無功桀紂暴彊身死國亡今我聽子是無仁義之名而有暴彊之道江河為湯武我為桀紂未見其利恐離其咎寡人狐疑安事此寶趣駕送龜勿令久留。」

원왕이 개연히 탄식하며 말하기를 대저 다른 사람의 부림을 거스르고, 다른 사람의 도모함을 끊어 놓는다면 이는 사납게하는 것이 아닌가? 다른 사람이 소유한 것을 취하여 스스로 보배로 삼는다면 이것이 또한 억지로 하게 하는 것 아닌가? 과인이 들으니 사납게 얻은 자는 반드시 사납게 망함을 얻고, 억지로 취한 자는 반드시 후에 공이 없다. 걸과 주임금은 사납고 억지로 하여 자신은 죽고 나라는 망하였다.’ 한다. 내가 그대의 말을 들으면 이는 인과 의의 명예는 없고, 사납고 억지로 함의 도만 있는 것이어서 강과 하의 신은 탕왕과 무왕이 되고, 나는 걸과 주왕이 되는 것이다. 미처 그 이로움을 보지 못하고 그 허물을 이어지게 할까 두렵다. 과인이 여우의 의심으로 어찌 이 보배를 일삼으리오. 수레를 나아가게 하여 거북을 보내 오래 동안 머물게 함이 없게 하시오.” 했다.

 

衛平對曰:「不然王其無患天地之閒累石為山高而不壞地得為安故云物或危而顧安或輕而不可遷人或忠信而不如誕謾[]或醜惡而宜大官或美好佳麗而為眾人患非神聖人莫能盡言春秋冬夏或暑或寒寒暑不和賊氣相奸同歲異節其時使然故令春生夏長秋收冬藏或為仁義或為暴彊暴彊有鄉仁義有時萬物盡然不可勝治大王聽臣臣請悉言之天出五色以辨白黑地生五穀以知善惡人民莫知辨與禽獸相若谷居而穴處不知田作天下禍亂陰陽相錯怱怱疾疾[]通而不相擇(+)數見[]傳為單薄聖人別其生使無相獲禽獸有牝牡置之山原鳥有雌雄布之林澤有介之蟲置之谿谷故牧人民為之城郭內經閭術外為阡陌夫妻男女賦之田宅列其室屋為之圖籍別其名族立官置吏勸以爵祿衣以桑麻養以五穀耕之耰[]之耨之[]口得所嗜目得所美身受其利以是觀之非彊不至故曰田者不彊囷倉不盈[]商賈不彊不得其贏婦女不彊布帛不精官御不彊其勢不成大將不彊卒不使令侯王不彊沒世無名故云彊者事之始也分之理也物之紀也所求於彊無不有也王以為不然王獨不聞玉櫝[]出於昆山明月之珠出於四海石拌[]傳賣於市聖人得之以為大寶大寶所在乃為天子今王自以為暴不如拌蚌於海也自以為彊不過鐫石於昆山也取者無咎寶者無患今龜使來抵網而遭漁者得之見夢自言是國之寶也王何憂焉。」

위평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그렇지 않습니다. 왕께서는 근심하지 마십시오. 하늘과 땅 사이에 돌이 쌓여 산이 됩니다. 높되 무너지지 않아 땅이 안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물은 혹 위태하면 안정됨을 돌아보고, 혹은 가볍지만 옮길 수 없습니다. 사람이 혹 忠信하나 속이는 것보다 못하고, 혹은 추악하지만 큰 벼슬에 마당하며, 혹은 아름답고 예쁘더라도 여러 사람의 근심이 됩니다. 신인이나 성인이 아니면 다 말할 수 없습니다. 봄과 가을, 겨울과 여름은 혹은 덥고, 혹은 춥습니다. 추위와 더위는 조화롭지 못하여 기운을 해치고 서로 범합니다. 같은 해이지만 계절이 다른 것은 그 때가 그렇게 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봄은 나게하고 여름은 자라게 하며 가을은 거두고 겨울은 감추게 합니다. 혹은 仁義하고 혹은 사납고 억지로 합니다. 사납고 억지로 함은 방향이 있고, 인의로 함은 때가 있습니다. 모든 사물이 그러하여 이루 다 다스릴 수 없습니다. 대왕께서 신의 말을 들으신다면 신이 모두 말할 것을 청합니다. 하늘은 오색을 내는 것으로서 흰색과 검은 색을 판별합니다. 땅은 오곡을 내는 것으로서 나쁜 것과 좋은 것을 압니다. 인민이 분별함을 알지 못하면 금수와 서로 같아서 골짜기에 머물고 굴에 살며 농사짓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천하에 화란이 일어나고 음양이 서로 섞이며, 바쁘게 하고 빠르게 할뿐 통하여 서로 가리지 못한다. 요사한 재앙이 자주 나타나고 전함이 부족하여 성인이 그 삶을 구별하여 서로 잡음이 없게 하였습니다. 금수는 암수가 있어 그것을 산과 들에 두었고, 새는 암수가 있어 숲과 늪에 풀어주었다. 껍질있는 벌레는 골짜기에 두었다. 그러므로 인민을 기르기 위해 성곽을 만들고, 안으로는 집집마다 경계를 두고 도로를 만들고, 밖으로는 밭 사이로 길을 만들었습니다. 남녀에게 부부를 맺게 하고 토지와 집을 주어 그 집들을 그 집을 열지어 서게 하였습니다.

지도와 호적을 만들어 그 이름있는 씨족을 구별하고 관칙을 세워 관리를 두고 작록을 가지고 권면합니다. 비단과 삼베로 옷을 만들어 입게 하고, 오곡을 가지고 기릅니다. 밭을 갈고 씨를 뿌려 덮게 하고 호미로 김을 매게 하며, 입으로는 맛있는 바를 먹게 하고, 눈으로는 아름다운 것을 보게 하여 몸으로 그 이로운 것을 받게 합니다. 이를 가지고 관찰하면 억지로 하게 하지 않으면 이르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농사짓는 것은 억지로 하게하지 않으면 창고를 채울 수 없고, 장사를 억지로 하게하지 않으면 그 남는 것을 얻을 수 없으며, 부녀를 억지로 하게 하지 않으면 베와 비단이 정밀하지 않습니다. 관직 다스리기를 강하게 하지 않으면 그 형세가 이루어지 않고, 대장이 강하지 않으면 병졸이 영을 듣지 않습니다. 후왕들이 강하지 않으면 죽어서도 이름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억지로 하게하는 것은 일의 시작이고 구분하는 이치이며 사물의 벼리입니다. 구하는 것을 억지로 하여 소유하지 못함이 없습니다. 왕께서 그렇지 않다 여기는데 왕께서는 어찌 조각한 옥함과 산꿩이 곤산에서 나오고, 명월주가 사방의 바다에서 나오며, 돌에 새기고 조개를 쪼개 시장에 내다 팔면 성인이 그것을 얻어 큰 보배로 삼는 다는 것을 듣지 않으셨습니까. 큰 보물을 가진 것으로 곧 천자가 됩니다. 지금 왕께서 스스로 사납다 여기시는 것은 바다에서 조개를 쪼개는 것만 못하고, 스스로 억지로 한다고 여기시지만 곤산에서 돌을 조각하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취하는 자는 허물이 없고, 보배는 근심될 것이 없습니다. 지금 거북이 사신으로 오다 그물에 걸렸고, 어부를 만나 잡혔지만 꿈에 나타나 스스로 말을 하였으니 이는 나라의 보배입니다. 왕께서 무엇을 근심하십니까? 했다.


[] 集解徐廣曰:「一作』,音吐和反。」 索隱誕田爛反謾音漫一音並如字訑音吐禾反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태어날 탄)’은 한편으로 (으쓱거릴 이)’로 썼다. 음은 이다.” 했다. 索隱(문드러질 란)’이다. ‘(속일 만)’의 음은 (질펀할 만)’이고, 한 음은 모두 같은 자이다. ‘의 음은 이다.

 

[] 集解徐廣曰:「一作』。」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한편으로 이라 쓴다.

 

[] 正義說文云衣服歌謠草木之怪謂之妖禽獸蟲蝗之怪謂之(+)

[] 正義】 『설문의복과 가요, 초목의 괴이한 것을 라 하고, 금수, 벌레, 메뚜기의 괴이한 것을 ‘(+)’이다.” 했다.

 

[] 集解徐廣曰:「音憂。」 正義耰覆種也說文云:「摩田器。」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음은 이다.” 했다. 正義(씨를 덮을 우)’는 씨를 덮는 것이다. 설문“‘는 밭을 가는 기구이다.” 했다.

 

[] 集解徐廣曰:「除草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김맬 누)’는 풀을 제거하는 것이다.” 했다.

 

[] 正義說文云:「圓者謂之囷方者謂之廩。」

[] 正義】 『설문둥근 것을 (곳집 균)’이라 하고, 네모 난 것을 (곳집 름)’이라 한다.” 했다.

 

[] 集解徐廣曰:「一作』。」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새 한 마리 척)’은 한편으로 이라 쓴다.” 했다.

 

[] 集解徐廣曰:「鐫音子旋反拌音判。」 索隱拌音判割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새길 전)’의 음은 이다. ‘(버릴 반)’의 음은 이니 가름이다.

 

元王曰:「不然寡人聞之諫者福也諛者賊也人主聽諛是愚惑也雖然禍不妄至福不徒來天地合氣以生百財陰陽有分不離四時十有二月日至為期聖人徹身乃無災明王用之人莫敢欺故云福之至也人自生之禍之至也人自成之禍與福同刑與德雙聖人察之以知吉凶桀紂之時與天爭功擁遏鬼神使不得通是固已無道矣諛臣有眾桀有諛臣名曰趙梁教為無道勸以貪狼繫湯夏臺殺關龍逢左右恐死偷諛於傍國危於累卵皆曰無傷稱樂萬歲或曰未央蔽其耳目與之詐狂湯卒伐桀身死國亡聽其諛臣身獨受殃春秋著之至今不忘紂有諛臣名為左彊誇而目巧教為象郎[]將至於天又有玉床犀玉之器象箸而羹[]聖人剖其心壯士斬其胻[]箕子恐死被髮佯狂殺周太子歷[]囚文王昌投之石室將以昔至明陰兢活之[]與之俱亡入於周地得太公望興卒聚兵與紂相攻文王病死載尸以行太子發代將號為武王戰於牧野破之華山之陽紂不勝敗而還走圍之象郎自殺宣室[]身死不葬頭懸車軫四馬曳行寡人念其如此腸如涫[]是人皆富有天下而貴至天子然而大傲欲無猒舉事而喜高貪很而驕不用忠信聽其諛臣而為天下笑今寡人之邦居諸侯之閒曾不如秋毫舉事不當又安亡逃!」

원왕이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과인이 들으니 간쟁하는 자는 복이고 아첨하는 자는 적이다. 임금이 아첨을 들으면 이는 어리석고 미혹한 것이다.’ 한다. 비록 그러하나 화는 망녕되게 이르지 않고, 복은 공연히 오지 않는다. 천지의 기운을 합하는 것으로서 온갖 재물이 생겨난다. 음양은 구분이 있어 4시를 떠나지 않고, 12달이 있고, 날이 이르러 주기가 된다. 성인은 이에 통하였기 때문에 몸에 재앙이 없었다. 현명한 왕은 그것을 섰기 때문에 사람들이 감히 속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복이 이른다고 말하는 것은 사람들이 스스로 그것을 나게하고, 화의 이름은 사람이 스스로 그것을 이룬다. 화와 복은 같고, 형벌과 덕은 한상이다. 성인이 그것을 살피는 것으로서 길흉을 아는 것이다. 주와 걸왕의 때는 하늘과 공을 다투었기 때문에 귀신을 꽉 막아 통할 수 없게 하였으니 이는 진실로 이미 도가 없는 것이고, 아첨하는 신하가 많이 있었다. 걸왕에게는 아첨하는 신하가 있었는데 이름은 조양이다. 무도함을 가르쳤고, 이리의 탐욕스러움을 권하였다. 탕을 하대에 가두고, 관룡봉을 죽이게 했다. 좌우가 죽음을 두려워하여 옆에서 틈을 보아 아첨하였다. 나라가 알을 쌓아 놓은 듯 위태하여도 모두 해 될 것이 없다.’ 하고, ‘즐거움이 만년일 것이라 말하면서 혹은 아직 반에도 이르지 않았다.’ 하여 그 눈과 귀를 가리고 함께 속였다. 탕이 마침내 걸을 치니 자신은 죽고 나라는 망하였다. 그 아첨하는 신하의 말을 듣다가 자신이 홀로 재앙을 받았다. 춘추에 그것이 드러나 있어 지금까지 잊지 않고 있다. 주도 아첨하는 신하가 있었는데 이름은 좌강이다. 한 두 번 본 것을 그대로 할 수 있는 재주를 자랑하고 상아로 장식한 건물을 짓도록 가르쳐 장차 하늘에 이르게 하고 또한 옥으로 만든 침상이 있으며, 코뿔소 뿔과 옥으로 그릇을 만들고 상아로 만든 수저로 국을 먹게 하였다. 성인은 그 심장을 가르고 장사는 그 정강이뼈를 잘랐다. 기자는 죽음을 두려워하여 머리를 풀고 거짓으로 미친척하였다. 주나라 태자 역을 죽이고 문왕 창을 가두어 석실에 던져두고 저녁부터 아침에 이르렀다. 음긍이 그를 살려 함께 도망하여 주 땅에 들어가 태공망을 얻었다. 군대를 일으키고 병기를 모아 주와 서로 공격하였다. 문왕이 병으로 죽자 시체를 수레에 싣고 갔다. 태자 발이 장군을 대신하였는데 무왕이라 불렀다. 목야에서 싸우고 화산의 남쪽에서 깨트렸다. 주가 이기지 못하고 무너지자 달아나 돌아 왔으나 상랑에서 포위하니 선실에서 자살하였는데 자신은 죽고 장례하지 못하였다. 머리는 수레 뒤턱나무에 달고 4마리 말이 끌고 갔다. 과인이 이 같은 사실을 생각하니 창자가 끓는 것 같다. 이 사람들은 모두 부유함은 천하를 소유하였고, 귀하기로는 천자에 이르렀으나 크게 오만하였다. 욕심은 싫증나는 때가 없고 일을 들면 고상함을 기뻐하고, 매우 탐욕스러우며 교만하였다. 충신한 신하를 쓰지 않고 그 아첨하는 신하의 말을 듣다가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지금 과인의 나라는 제후들의 사이에 있어 일찍이 가을 터럭보다 못하였다. 일을 일으켰다가 감당하지 못하면 또한 어디로 도망할 수 있겠는가!” 했다.


[] 集解禮記曰:「目巧之室。」鄭玄曰:「但用目巧善意作室不由法度。」許慎曰:「象牙郎。」

[] 集解】 『예기목교의 방이다.” 했다. 정현이 말하기를 다만 눈으로 한 두 번 보고 뜻에 좋다하고 방을 만들어 법도를 따르지 않았다.” 했다. 허신이 상아로 만든 회랑이다.” 했다.


[] 索隱箸音持慮反則箸是筯為與羹連則或非箸樽也記曰羹之有菜者用梜」。梜者箸也

[] 索隱(젓가락 저)’의 음은 인데 곧 는 젓가락으로 국과 이어지니 곧 혹 가 아니라 (술통 준)’일 것이다. 예기국에 나물이 있는 것은 (젓가락 협)’을 쓴다.”하니 이다.

 

[] 集解胻音衡腳脛也索隱劭音衡即腳脛

[] 集解(배 행)’은 음이 이니 脚脛(정강이뼈)’이다. 索隱(힘슬 소)’의 음은 이니 곧 정강이뼈이다.

 

[] 索隱按:「殺周太子歷文在囚文王昌之上則近是季歷季歷不被紂誅則其言近妄無容周更別有太子名歷也

[] 索隱살펴보니 殺周太子歷은 글이 囚文王昌의 위에 있어야 하니 곧 이는 계력과 가깝다. 계력은 주에게 죽음을 당한 것이 아니니 곧 그 말이 망년됨에 가깝고, 주나라가 다시 별도로 태자의 력이 있는 것을 받아들이지 수 없다.


[] 集解徐廣曰:「一作』。」 索隱陰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은 한편으로 이라 쓴다.” 했다. 索隱은 성이고, ‘은 이름이다.

 

[] 集解徐廣曰:「天子之居名曰宣室。」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천자가 사는 곳을 宣室이라 이름한다.” 했다.

 

[] 集解徐廣曰:「涫音館一作』。」 索隱上音館沸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끓을 관)’의 음은 인데 한편으로 라 쓴다.” 했다. 索隱위의 음은 이다. ‘은 끓음이다.

 

衛平對曰:「不然河雖神賢不如崑崙之山江之源理不如四海而人尚奪取其寶諸侯爭之兵革為起小國見亡大國危殆殺人父兄虜人妻子殘國滅廟以爭此寶戰攻分爭是暴彊也故云取之以暴彊而治以文理無逆四時必親賢士與陰陽化鬼神為使通於天地與之為友諸侯賓服民眾殷喜邦家安寧與世更始湯武行之乃取天子春秋著之以為經紀王不自稱湯武而自比桀紂桀紂為暴彊也固以為常桀為瓦室[]紂為象郎徵絲灼之[]務以費[]賦斂無度殺戮無方殺人六畜以韋為囊囊盛其血與人縣而射之與天帝爭彊逆亂四時先百鬼嘗諫者輒死諛者在傍聖人伏匿百姓莫行天數枯旱國多妖祥螟蟲歲生五穀不成民不安其處鬼神不享飄風日起正晝晦冥日月並蝕滅息無光列星奔亂皆絕紀綱以是觀之安得久長雖無湯武時固當亡故湯伐桀武王剋紂其時使然乃為天子子孫續世終身無咎後世稱之至今不已是皆當時而行見事而彊乃能成其帝王今龜大寶也為聖人使傳之賢[]不用手足雷電將之風雨送之流水行之侯王有德乃得當之今王有德而當此寶恐不敢受王若遣之宋必有咎後雖悔之亦無及已。」

위평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그렇지 않습니다. 하의 신이 비록 신이하고 현명하다하나 곤륜산보다는 못하고, 강의 근원과 이치는 4해와 같지 못한데도 사람들은 오히려 그 보배를 빼앗아 취하려 제후들이 다투고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작은 나라는 멸망당하고 큰 나라는 위태로우며 다른 사람의 부형을 죽이고 다른 사람의 처자를 사로잡고, 국가를 해치고 사당을 없애는 것으로서 이 보배를 다투었습니다. 전쟁하고 나누어 다투는 이것이 강폭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강폭함으로 취하되 법과 이치로 다스려 四時를 거스름이 없고, 반드시 어진 선비를 가까이하며 음양의 조화에 참여하고 귀신을 사신으로 삼아 천지에 통하고 그들과 함께 벗이 됩니다. 제후들은 복종하고 민중은 부유하게 되어 기뻐합니다. 나라는 편안하고 세상과 함께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탕왕과 무왕이 그것을 행하였기 때문에 천자의 자리를 취하였고, 춘추에서 드러내어 법으로 삼았습니다. 왕께서는 스스로 탕왕과 무왕을 잃컬지 않으시고 스스로 걸과 주왕에 견주십니다. 걸과 주왕은 강폭을 행한 것을 진실로 떳떳하게 여겼습니다. 걸은 기와집을 지었고, 주는 상아로 꾸민 회랑을 만들었습니다. 실을 거두고 그것을 태워 백성들을 허비하는데 힘섰습니다. 세금을 거두는 것은 한도가 없고, 죽이는 것은 방향이 없었습니다. 사람의 여섯가지 가축을 죽여 가죽으로 주머니를 만들고, 주머니에 그 피를 채우고 사람과 함께 걸어 놓고 그것을 쏘아 천제와 강함을 다투었습니다. 四時를 거스르고 어지럽히고 온갖 귀신에 앞서 제물을 맛보았습니다. 간쟁하는 자는 문득 죽이고 아첨하는 자를 옆에 두었습니다. 성인은 엎드려 숨고 백성은 나갈 수 없었습니다. 하늘의 운수는 가뭄이 들고 나라에는 괴이한 일이 많았습니다. 해충은 해마다 생겨나고 오곡은 익지 않았습니다. 백성들은 그 자리가 편안하지 못하였고 귀신은 제물을 받아 흠향하지 못했습니다. 회오리바람이 날로 일어 한낮에도 어두웠고, 일식과 월식이 같이 일어나 없어지면서 빛이 없어졌습니다. 늘어선 별들은 분주하게 어지러워져 모두 법칙이 끊어졌습니다. 이로서 관찰하면 어찌 오랠 수 있으리오! 비록 탕왕과 무왕이 없었을 지라도 때는 진실로 망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러므로 탕이 걸을 치고, 무왕이 주를 이긴 것은 그 때가 그렇게 시킨 것입니다. 이에 천자가 되어 자손이 세대를 이어 죽을 때까지 허물이 없었고, 후세에 칭찬을 받아 지금까지 그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모두 때에 맞게 행해졌기 때문이니 일에 맞게 강하게 한다면 곧 그 제왕을 이룰 수 있습니다. 지금 거북은 큰 보배인데 성인의 사신이 되어 어진 왕에게 전한 것입니다. 거북은 수족을 쓰지 않아도 천둥과 번개가 가게하고 바람과 비가 보내주어 흐르는 물을 따라 가게 해 주었습니다. 후왕은 덕이 있었기 때문에 이에 감당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 왕께서 덕이 있어 이 보배를 감당할 수 있는데도 두려워하여 감히 받지 않고, 왕께서 만약 거북을 보내준다면 송에는 반드시 허물이 있을 것입니다. 후에 비록 뉘우침이 있을 지라도 미칠 수 없습니다.” 했다.

 

[] 集解世本曰:「昆吾作陶。」張華博物記亦云桀作瓦」。蓋是昆吾為桀作也

[] 集解】 「세본昆吾作陶(모두 내가 질 그릇을 만들었다.)” 했다. 장화의 박물기에 도한 걸이 기와집을 지었다.” 했다. 대개 이는 모두 내가 걸을 위해 지었다. 이다.

 

[] 索隱按灼謂燔也燒絲以當薪務費人也

[] 索隱살펴보니 (사를 작)’(구울 번)’을 말한다. 실을 사르는 것으로서 섶을 감당하게 한 것이다. 사람들에게 비용을 지운 것이다.


元王大悅而喜於是元王向日而謝[]再拜而受擇日齋戒甲乙最良乃刑白雉及與驪羊以血灌龜於壇中央以刀剝之身全不傷脯酒禮之橫其腹腸荊支卜之必制其創[]理達於理文相錯迎使工占之所言盡當邦福重寶[]聞于傍鄉殺牛取革被鄭之桐[]草木畢分化為甲兵戰勝攻取莫如元王元王之時衛平相宋宋國最彊龜之力也

원왕이 크기 기뻐하였다. 이에 원왕이 해를 향해 감사하고 두 번 절하고 받았다. 날을 가려 재계하니 갑일과 을일이 가장 좋았다. 이에 흰 꿩과 검은 색 양을 잡아 그 피를 거북에 뿌리고 단의 가운데에 놓았다. 칼로 껍질을 벗겼는데 전신이 상하지 않게 하였다. 육포와 술로 예를 올리고 그 배와 창자를 갈랐다. 가시나무 가지를 태워 점을 치는데 반드시 그 갈라짐을 만들었다. 결이 이치에 통달하여 무늬가 서로 섞이고, 맞이하였다. 장인으로 하여금 점을 치게 하니 말하는 바가 모두 마땅하였다. 나라의 복과 중한 보배로 여겼는데 옆의 나라에서 들었다. 소를 죽여 가죽을 취하고 정나라의 오동나무로 사서 북을 만들었다. 풀과 나무를 모두 나누니 변화하여 갑병이 되었다. 싸우면 이기고 치면 취하는 것이 원왕 만한 이가 없었다. 원왕의 때 위평은 송나라의 재상이 되었으며 송나라가 가장 강하였던 것은 거북의 힘이었다.

 

[] 索隱蓋欲神之以謝天也天之質闇日者天之光明著見者莫過也

[] 索隱신령함에 대하여 하늘에 감사하고자 한 것이다. 하늘의 바탕은 어두운데 해는 하늘의 광명이니 드러나 보이는 것이 이보다 더한 것이 없다.

 

[] 正義音瘡

[] 正義음은 (부스럼 창)’이다.

 

[] 集解徐廣曰:「福音副藏也。」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의 음은 이니 감춤이다.” 했다.

 

[] 集解徐廣曰:「牛革桐為鼓也。」 索隱徐氏云:「牛革桐為鼓。」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소가죽과 오동나무로 북을 만든 것이다.” 했다. 索隱서씨가 말하기를 소가죽과 오동나무로 북을 만든 것이다.” 했다.

 

故云神至能見夢於元王而不能自出漁者之籠身能十言盡當不能通使於河還報於江賢能令人戰勝攻取不能自解於刀鋒免剝刺之患聖能先知亟見而不能令衛平無言言事百全至身而攣當時不利又焉事賢賢者有恆常士有適然是故明有所不見聽有所不聞人雖賢不能左畫方右畫圓日月之明而時蔽於浮雲羿名善射不如雄渠蜂門[]禹名為辯智而不能勝鬼神地柱折天故毋椽又柰何責人於全孔子聞之曰:「神龜知吉凶而骨直空枯[]日為德而君於天下辱於三足之烏月為刑而相佐見食於蝦蟆辱於鵲[]騰蛇之神而殆於即且[]竹外有節理中直空虛松柏為百木長而守門閭日辰不全故有孤虛[]黃金有疵白玉有瑕事有所疾亦有所徐物有所拘亦有所據罔有所數亦有所疏人有所貴亦有所不如何可而適乎物安可全乎天尚不全故世為屋不成三瓦而陳之[]以應之天天下有階物不全[]乃生也。」

그러므로 말하기를 신령스러움이 지극하여 원왕의 꿈에 나타날 수 있었으되 스스로 어부의 조롱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자신은 10번 말하여 모두 마땅하였으나 하의 신에게 사신을 통하였으되 강의 신에게 돌아가 보고할 수 없었고, 현명함은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싸우면 이기고 공격하면 취하게 하였지만 스스로는 칼끝에서 풀려나 등껍질이 벗겨지는 우환을 면할 수 없었다. 성스러움은 먼저 알고 빨리 꿈에 나타났지만 위평으로 하여금 말을 하지 못하게 할 수 없었다. 일을 말함에는 모두 온전하게 하였으나 자신에 이르러서는 걸리고 말았다. 때가 이롭지 않음을 당한다면 또한 어찌 현명함을 일삼겠는가? 현명한 자는 한결 같음이 있고, 선비는 알맞음이 있다. 이 때문에 눈 밝은 이도 보지 못하는 것이 있고, 귀 밝은 이도 듣지 못하는 바가 있다. 사람이 비록 현명하여도 왼쪽으로 네모를 그리면서 오른 쪽으로 원을 그릴 수 없고, 해와 달이 밝다 해도 때로 뜬 구름에 가려진다. 예는 활을 잘 쏜다는 이름이 있지만 웅거와 봉문보다는 못하고, 우는 말 잘하고 지혜가 있는 이름이 있으나 귀신을 이길 수 없다. 땅의 기둥이 부러지면 하늘은 때문에 서까래가 없어지니 또한 어떻게 다른 사람을 온전함으로 꾸짖을 수 있겠는가?” 했다. 공자가 그것을 듣고 말하기를 신령스러운 거북은 길흉을 알지만 뼈는 곧 바로 비고 말랐다. 해는 덕이 되어 천하에 임금노릇 하지만 세 발의 까마귀에게 욕을 당하였다. 달은 법이 되어 서로 돕지만 두꺼비에게 먹힘을 당한다. 고슴도치는 까치에게 욕을 당하고 등사의 신령스러움으로도 즉차에게 위태로움을 당한다. 대나무 밖은 마디와 결이 있지만 안은 바로 비어있다. 소나무와 잣나무는 온갖 나무의 우두머리이지만 마을 입구를 지킨다. 일진이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六甲孤虛法이 있다. 황금은 흠이 있고, 백옥은 티가 있다. 일은 빠름이 있고 또한 느림이 있다. 사물은 잡힘이 있고, 또한 근거로 삼는 바가 있다. 그물은 촘촘한 것이 있고, 또한 성긴 것이 있다. 사람은 귀한 것이 있고, 또한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무엇이 옳고 알맞은 것인가? 사물이 어찌 완전할 수 있는가? 하늘이 오히려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세상의 집이 되고 세장의 기와를 모자라게 하여 진열하는 것으로서 하늘에 응한다. 천하에는 층계가 있고 사물은 완전하지 않고 이에 살아간다.” 했다.


[] 集解新序曰:「楚雄渠子夜行見伏石當道以為虎而射之應弦沒羽。」淮南子曰:「射者重以逢門子之巧。」劉歆七略有蜂門射法也

[] 集解】 「신서초나라 웅거자가 밤에 가는데 엎드린 돌이 길을 막고 있었는데 호랑이로 여겨 그것을 쏘았는데 활시위에 응하듯 깃까지 박혔다.” 했다. 회남자활쏘기를 봉문자의 공교로움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했고, 유흠의 칠략봉문사법이 있다.

 

[] 正義凡龜其骨空中而枯也語發聲也今河東亦然

[] 正義무릇 거북은 그 뼈 안이 비어 말랐다. ‘은 소리를 내는 말이니 지금 하동이 또한 그러하다.

 

[] 集解郭璞曰:「蝟能制虎見鵲仰地。」淮南萬畢曰:「鵲令蝟反腹者蝟憎其意而心惡之也。」

[] 集解곽박이 말하기를 “‘(고슴도치 위)’는 범을 제압할 수 있고, 까치를 보면 고개를 숙인다.” 했다. 회남만필까치가 고슴도치로 하여금 배를 뒤집게 하는 것은 고슴도치가 그 뜻을 싫어하여 마음속으로 그를 미워한 것이다.” 했다.

 

[] 集解郭璞曰:「騰蛇龍屬也蝍蛆似蝗大腹食蛇腦也。」 正義即津日反則餘反即吳公也狀如蚰蜒而大黑色

[] 集解곽박이 말하기를 “‘등사는 용의 등속이다. ‘(지네 즉)(구더기 저)’(누리 황)’과 비슷한데 배가 크고 뱀의 머리를 먹는다.” 했다. 正義이다. ‘인데 곧 지네이다. 형상은 蚰蜒(유연)과 비슷하지만 크고 검은 색이다.


[] 集解甲乙謂之日子丑謂之辰六甲孤虛法甲子旬中無戌亥戌亥即為孤辰巳即為虛甲戌旬中無申酉申酉為孤寅卯即為虛甲申旬中無午未午未為孤子丑即為虛甲午旬中無辰巳辰巳為孤戌亥即為虛甲辰旬中無寅卯寅卯為孤申酉即為虛甲寅旬中無子丑子丑為孤午未即為虛劉歆七略有風后孤虛二十卷正義按歲月日時孤虛並得上法也

[] 集解甲乙이라 하고, ‘子丑이라 한다. 육갑고허법은 갑자순 안에 술과 해가 없는데 술과 해는 곧 가 되고 진과 사는 곧 가 된다. 갑술순 안에는 신과 유가 없는데 신과 유는 가 되고 인과 묘는 곧 가 된다. 갑신순 안에는 가 없는데 가 되고 은 곧 가 된다. 갑오순 안에는 가 없는데 가 되고, ‘는 곧 가 된다. 갑진순 안에는 가 없는데 가 되고, ‘가 된다. ‘갑인순 안에는 ’ ‘이 없는데 가 되고 는 곧 가 된다. 유흠의 칠략에는 풍후고허20권이 있다. 正義살펴보니 세, , , 시의 고허는 모두 위의 법을 따른다.


[] 集解徐廣曰:「一云為屋成欠三瓦而棟之也。」 索隱劉氏云:「陳猶居也。」注作」,音都貢反正義言為屋不成欠三瓦以應天猶陳列而居之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한편으로 집을 완성하면서 3개의 기와를 빼고 용마루를 만든다.” 했다. 索隱유씨가 말하기를 “‘(차지하다)’와 같다.” 했다. 주에는 이라 썼는데 음은 이다. 正義집을 완성하지 않고 3개의 기와를 빼는 것은 하늘에 대응하는 것이니 늘어놓아 자리를 차지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正義言萬物及日月天地皆不能全喻龜之不全也

[] 正義만물과 일월과 천지가 모두 완전할 수 없다고 말한 것은 거북이 완전하지 않음을 비유한 것이다.

 

褚先生曰漁者舉網而得神龜龜自見夢宋元王元王召博士衛平告以夢龜狀平運式定日月分衡度視吉凶占龜與物色同平諫王留神龜以為國重寶美矣古者筮必稱龜者以其令名所從來久矣余述而為傳

저선생이 말하기를 물고기 잡는 이가 그물을 들어 신령스러운 거북을 잡자 거북이 스스로 송나라 원왕의 꿈에 나타났고, 원왕은 박사 위평을 불러 꿈에 나타난 거북의 형상을 알려주었으며 위평이 식(점판)을 움직여 해와 달의 위치를 정하고 형도를 나누어 길흉을 보고 점을 치니 거북과 사물이 같은 색이었습니다. 위평이 왕에게 신령스러운 거북을 머물게하여 나라의 소중한 보배로 삼을 것을 간쟁하였으니 아름답다. 옛날에 점을 치면서 반드시 거북을 칭탁한 것은 그 유래가 오래 되었기 때문이다. 내가 서술하여 전한다.

 

三月二月正月[]十二月十一月 中關內高外下[] 四月 首仰[] 足開 [] 首俛[] 五月 橫吉 首俛大[] 六月 七月 八月 九月 十月

3, 4, 정월, 12, 11월은 가운데는 빗장 지워지고, 안은 높고 밖은 낮다. 4월은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기도 하고, 거두기도 하며, 머리를 숙이고 커진다. 5월은 횡길하고, 머리를 숙이고 커는 달은 6, 7, 8, 9, 10월이다.

 

[] 正義言正月二月三月右轉周環終十二月者日月之龜腹下十二黑點為十二月若二十八宿龜也

[] 正義정월과 2, 3월은 우로 한 바퀴 돌아 12월에 마치고, 일월의 거북은 배 아래 12개의 검은 점이 12월이 되니 28수거북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 正義此等下至首俛大皆卜兆之狀也

[] 正義이런 것들은 아래 首俛大에 이르기가지가 모두 점치는 조짐의 형상이다.

 

[] 索隱音魚兩反正義謂兆首仰起

[] 索隱음은 이다. 正義조짐이 머리를 들고 일어남을 말한다.

 

[] 索隱音琴肣謂兆足斂也

[] 索隱음은 이다. ‘(거둘 금)’은 조집이 발을 거두는 것을 말한다.

 

[] 索隱俛音免兆首伏也

[] 索隱(힘쓸 면)’의 음은 이니 조심은 머리를 숙임이다.

 

[] 正義俛音免謂兆首伏而大

[] 正義의 음은 이니 조짐은 머리를 숙이고 커짐을 말한다.

 

卜禁曰子亥戌不可以卜及殺龜日中如食已卜暮昏龜之徼[]不可以卜庚辛可以殺及以鑽常以月旦祓龜[]先以清水澡以卵祓之[]乃持龜而遂之若常以為祖[]人若已卜不中皆祓之以卵東向立灼以荊若剛木[]卵指之者三[]持龜以卵周環之祝曰:「今日吉謹以粱卵焍[]去玉靈之不祥。」玉靈必信以誠知萬事之情辯兆皆可占不信不誠則燒玉靈揚其灰以徵後龜其卜必北向龜甲必尺二寸

점치기를 금지하여 말하기를 , , 술은 점을 치는 것으로서 거북을 죽임에 이르러서는 안 된다. 해가 하늘 가운데 있어 일식과 같을 때는 점치기를 멈춘다. 해질 무렵에 거북은 밝지 않으므로 점을 쳐서는 안 된다. 경과 신일에는 죽일 수 있고, 구멍을 뚫음에 미칠 수 있다. 평소 매월 초하루에 거북을 씻기는데 먼저 맑은 물로 씻고, 계란으로 어루만지며 축원한 후 이에 거북을 잡고 그것을 이루는데 마치 평소에 법으로 여기는 것과 같다. 사람이 만약 점을 친 뒤 맞지 않으면 모두 계란으로 문질러 씻고 동쪽을 향해 서서 가시나무 또는 굳은 나무 같은 것으로 태운다. 흙으로 알을 만들어 거북 껍질을 세 번 가리키고 거북을 잡아 계란으로 한 바퀴 굴리고 축원하여 말하기를 오늘은 길하니 삼가 기장, , 거북을 지지는 나무, 누런 비단으로 옥령의 상서롭지 못함을 푸닥거리하여 없앱니다.’ 합니다. 옥령은 반드시 정성을 믿고 모든 일의 실정을 알아 조짐을 말하니 점을 칠만 합니다. 믿지 않고 정성스럽게 하지 않으면 곧 옥령을 불살라도 그 재가 날리는 것으로서 뒤의 거북을 구합니다. 그 점치는 것은 반드시 북쪽을 향해서하고 거북의 껍질은 반드시 한 자 두 치가 되어야 합니다.

 

[] 索隱徼音叫謂徼繞不明也

[] 索隱(구할 요)’의 음은 (부르짖을 규)’이다. ‘徼繞는 밝지 않음을 말한다.

 

[] 索隱上音廢又音拂拂洗之以水雞卵摩之而呪

[] 索隱위의 음은 이고, 또 음은 (떨 불)’이다. 물로 떨어내고 씻고, 계란으로 그것을 어루만지며 비는 것이다.

 

[] 正義以常月朝清水洗之以雞卵摩而祝之

[] 正義평상의 달 아침에 불로 씻고 게란으로 어루만지며 축원한다.

 

[] 集解徐廣曰:「一作』。」 索隱祖法也言以為常法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한편으로 라 쓴다.” 했다. 索隱는 법이다. 통상적이 법으로 함을 말한다.

 

[] 集解徐廣曰:「一作十一』。」 索隱按古之灼龜取生荊枝及生堅木燒之斬斷以灼龜:「字合依劉氏說當連下句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한편으로 十一이라 쓴다.” 했다. 索隱살펴보니 옛날에 거북을 태우는 것은 살아있는 가시나무 가지와 살아있고 굳은 나무를 취하여 그것을 태우는데 (나무를)자르는 것으로서 거북을 태운다. 살펴보니 자는 유씨의 말에 의하여 마땅히 아래 구에 잇는 것이 부합한다.

 

[] 正義言卜不中以土為卵三度指之三周繞之用厭不祥也

[] 正義점이 맞지 않으면 흙으로 알을 만들고 세 번 그것을 가리키고, 세 번 두릉 것을 말함이니 상서롭니 못함을 방비하고 누르는 것이다.

 

[] 索隱粱米也雞子也灼龜木也次第」。言燒荊枝更遞而灼故有焍名一音梯言灼之以漸如有階梯也黃者以黃絹裹粱卵以祓龜也必以黃者中之色主土而信故用雞也正義焍音題言以粱米雞卵祓去龜之不祥令灼之不焦不黃若色焦及黃卜之不中也

[] 索隱(기장 량)’은 쌀이다. ‘은 계란이다, ‘(거북지지는 나무 제)’는 거북을 굽는 나무이니 음은 次第이다. 가시나무 가지를 사르고 다시 둘러 굽기 때문에 의 이름이 있다. 한 음은 (사다리 제)’인데 잘라서 굽는 것을 점진적으로 하는 것이 마치 사다리가 있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은 누른 비단으로 기장과 알을 싸서 거북에게 부정을 떨어내는 것을 말한 것이다. 반드시 누런색으로 하는 것은 중간색으로 땅을 주관하여 믿기 때문에 닭을 쓴다. 正義의 음은 이다. ‘는 불사름이다. 기장쌀과 계란으로서 거북의 상서롭지 않음을 푸닥거리하여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태우지지 않은 것과 누렇지 않은 것을 굽게하는 것이다. 만약 색이 태워서 누렇게 됨에 이르면 점을 쳐도 적중되지 않는다.


卜先以造[]鑽中已又灼龜首各三又復灼所鑽中曰正身灼首曰正足[]各三即以造三周祝曰:「假之玉靈夫子[]夫子玉靈荊灼而心令而先知而上行於天下行於淵諸靈數?[]莫如汝信今日良日行一良貞[]某欲卜某即得而喜不得而悔即得發鄉我身長大首足收人皆上偶不得發鄉我身挫折中外不相應首足滅去。」

점칠 때는 먼저 가시나무를 불사르는 곳에서 거북껍질을 불살라 구멍을 뚫는데 구멍 뚫기를 마치면 또한 거북의 머리를 사르기를 각각 세 번 한다. 또 가운데 구멍 뚫은 곳을 다시 사르는 것을 정신이라 하고, 머리를 사르는 것을 정족이라 하는데 각각 세 번 한다. 곧 가시나무로 불태우는 곳을 세 번 돌리면서 축원하여 말하기를 옥령선생을 빌리고자 합니다. 선생 옥령을 가시나무로 심장을 살라 먼저 알게 합니다. 위로는 하늘에 가고 아래로는 못에 가며 여러 신령스러운 책을 헤아리니 당신을 믿는 것 만한 것이 없습니다. 오늘은 좋은 날이니 행하는 것이 한결같이 좋고 선합니다. 아무개가 아무개 일을 점치려하는데 곧 얻으면 기뻐하고 얻지 못하면 뉘우칩니다. 곧 얻으면 일어나 나를 향해 몸을 길게 하고 크게 하고, 머리와 발을 사람들에게 거두어들여 모두 위를 향해주십시오. 얻지 못하면 일어나 내 몸을 향해 굽히고, 안과 밖이 서로 응하지 않도록 머리와 발을 없애십시오.” 합니다.


[] 集解徐廣曰:「音灶也。」 索隱造音灶造謂燒荊之處。(荊若木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음은 (부얶 조)’이다.” 했다. 索隱의 음은 이고, ‘는 가시나무로 태우는 곳을 말한다.(‘은 나무와 같다.)

 

[] 集解徐廣曰:「一作』。」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한편으로 라 쓴다.” 했다.

 

[] 索隱尊神龜而為之作號

[] 索隱신령스러운 거북을 높여서 그를 위해 이름을 지은 것이다.

 

[] 集解徐廣曰:「音策。」 索隱數??所具反?音近策或?是策之別名此卜筮之書其字亦無可覈皆放此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음은 이다.” 했다. 索隱數??이다. ‘?의 음은 에 가깝고, 혹은 ?은 이 의 별명이다. 이는 점치는 글에서도 그 글자가 또한 실상할 만한 것이 없고, 모두 이와 같다.

 

[] 集解徐廣曰:「一作』。」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은 한편으로 이라 쓴다.” 했다.

 

靈龜卜祝曰:「假之靈龜五巫五靈不如神龜之靈知人死知人生某身良貞某欲求某物即得也頭見足發內外相應即不得也頭仰足肣內外自垂可得占。」

신령스러운 거북을 점치면서 축원하여 말하기를 신령스러운 거북을 빌려서 다섯 무당과 다섯 신령스러움도 신령스러운 거북의 신령스러움보다 못하고, 사람이 죽는 것과 사람이 사는 것을 알려주십시오. 아무개 몸은 선하고, 아무개가 아무 물건을 구하고자 합니다. 곧 얻으면 머리를 보이고발은 펴서 내외가 서로 응하게 하십시오. 곧 얻지 못하면 머리는 쳐들고 발을 오므리고, 안과 밖을 스스로 드리우십시오. 점을 얻을 수 있게 하십시오.” 합니다.


卜占病者祝曰:「今某病困首上開內外交駭身節折不死首仰足肣。」

병을 점치는 자는 축원하여 말하기를 지금 아부개가 병으로 곤궁합니다. 죽을 것이면 머리를 위로 열고, 안과 밖이 서로 놀라고 몸의 마디는 꺽어주십시오. 죽지 않으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거두어 주십시오.” 합니다.


卜病者祟:「今病有祟無呈無祟有呈兆有中祟有內外祟有外。」

병든 자가 재앙을 입음을 점치면서 말하기를 지금 병든 자가 재앙이 있있다면 드러내 보임이 없게하고, 재앙이 없다면 드러내 보임이 있게 하십시오. 조짐이 안에 있으면 안에 드러냄이 있게하고, 재앙이 밖에 있으면 밖에 드러내십시오.” 합니다.


卜繫者出不出不出橫吉安若出足開首仰有外

죄에 매인 자가 나오는지 나오지 못하는지를 점칩니다. 나오지 못한다면 횡길안을 보여주시고 만약 나올 수 있다면 발은 벌리고 머리는 쳐들며 조짐이 밖에 있게 하십시오.

 

卜求財物其所當得首仰足開內外相應即不得呈兆首仰足肣

재물을 구하여 그 마땅히 얻을 수 있는가를 점칩니다. 얻는다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며 안과 밖이 서로 응하십시오. 곧 얻지 못한다면 징조로 머리는 쳐들고 발은 오므리는 것으로 나타내십시오.


卜有賣若買臣妾馬牛得之首仰足開內外相應不得首仰足肣呈兆若橫吉安

팔거나 만약 신첩과 말, 소를 사는 것을 점칩니다. 얻을 수 있으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며 안과 밖이 서로 응하게 하십시오, 얻지 못한다면 머리는 쳐들고 발은 오므리고 조짐을 나타내기를 횡길안으로 하십시오.

 

卜擊盜聚若干人在某所今某將卒若干人往擊之當勝首仰足開身正內自橋外下不勝足肣首仰身首[]內下外高

도적을 치러 약간의 사람을 모으고, 도적이 어떤 자리에 있는지 지금 아무개가 병졸 약간 사람을 거느리고 가서 그들을 치는 것을 점을 칩니다. 마땅히 이긴다면 모라는 쳐들고 발은 열며 몸은 바로하고, 안을 높게 하고 밖은 낮게 하십시오. 이기지 못한다면 발을 오므리고 머리를 쳐들며 몸과 머리는 안은 낮게하고 밖은 높게 하십시오.

 

[] 集解徐廣曰:「一作』。」

[] 集解서광이 말하기를 한편으로 이라 쓴다.” 했다.

 

卜求當行不行首足開不行足肣首仰若橫吉安安不行

가고 가지 않는 것의 마땅함을 구하는 점을 칩니다. 간다면 머리와 발을 벌리고, 가지 않는 다면 발은 오므리고 머리는 쳐들고, 만약 횡길안이면 그대로 가지 않을 것입니다.

 

卜往擊盜當見不見首仰足肣有外不見足開首仰

가서 도적을 치는데 마땅히 나타나고 나타나지 않음을 점칩니다. 나타난다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오므리며 조짐이 밖에 있게 하고, 나타나지 않는다면 발을 벌리고 머리를 쳐드십시오.


卜往候盜見不見首仰足肣肣勝有外不見足開首仰

가서 도적을 정찰할 때 만나고, 만나지 못하는 것을 점칩니다. 만나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오므리고, 오무림이 밖에 있게 하십시오. 만나지 못한다면 발을 벌리고 모리를 쳐드십시오.


卜聞盜來不來外高內下足肣首仰不來足開首仰若橫吉安期之自次

도적이 올지 안 올지를 듣는 것을 점칩니다. 온다면 밖은 높이고, 안은 낮추고 발은 오므리고 머리는 쳐드십시오. 오지 않는다면 발은 벌리고 머리는 쳐들며 만약 횡길안이면 다음번에 하기를 기약합니다.


卜遷徙去官不去足開有肣外首仰不去自去即足肣呈兆若橫吉安

관직을 옮겨 관직을 떠나고 떠나지 않음을 점칩니다. 떠난다면 발을 벌여 움추려 밖으로 머리를 쳐들고, 떠나지 않거나 스스로 떠난다면 곧 발을 오므리는 조짐을 보이거나 횡길안과 같이 하십시오


卜居官尚吉不呈兆身正若橫吉安不吉身節折首仰足開

관직에 머무는 것이 오래 길하거나 길하지 않음을 점칩니다. 길하면 조짐은 몸을 바로함을 보이거나 횡길안과 같이하고, 길하지 않으면 몸의 마디를 꺽고 머리를 쳐들며 발은 벌리십시오.


卜居室家吉不吉呈兆身正若橫吉安不吉身節折首仰足開

집에 머무는 것이 길한지 길하지 않은지 점칩니다. 길하면 조짐으로 몸을 바로한을 보이고 횡길안과 같이하고, 길하지 않으면 몸의 마디를 꺽고 머리를 쳐들며 발을 벌리십시오.


卜歲中禾稼孰不孰首仰足開內外自橋外自垂不孰足肣首仰有外

그 해에 곡식이 잘 익는지 익지 않는지를 점칩니다. 익으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고 안과 밖을 스스로 높이고 밖으로 스스로 드리우고, 익지 않으면 발을 오므리고 머리를 쳐들어 밖에 있게 하십시오.


卜歲中民疫不疫首仰足肣身節有彊外不疫身正首仰足開

그 해에 백성들에게 역병이 있는 지 역병이 없는지를 점칩니다. 역병이 있으면 모리를 쳐들고 발은 오므리며 몸의 마디는 굳셈이 밖에 있게 하고, 역병이 없으면 몸을 바로하고 모리는 쳐들며 발은 벌리십시오.

 

卜歲中有兵無兵無兵呈兆若橫吉安有兵首仰足開身作外彊情

1년 중에 전쟁이 있는지 전쟁이 없는지를 점칩니다. 전쟁이 없으면 조짐으로 횡길안과 같음을 보이고, 전쟁이 있으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며 몸은 밖으로 굳센 정을 지으십시오.

 

卜見貴人吉不吉足開首仰身正內自橋不吉首仰身節折足肣有外若無漁

귀인을 만나는 것이 길한지 길하지 않은지 점칩니다. 길하면 발은 벌리고 머리는 쳐들며 몸은 바로하고 안을 스스로 높이고, 길하지 않으면 머리를 쳐들고 몸의 마디는 꺽으며 발은 벌리고 밖에 있게하며 無漁와 같이 하십시오.

 

卜請謁於人得不得首仰足開內自橋不得首仰足肣有外

사람에게 뵙기를 청하여 뵙거나 뵙지 못함을 점칩니다. 뵐 수 있으면 모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고 안을 스스로 높게 하고, 뵙지 못하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오무려 밖에 있게 하십시오.


卜追亡人當得不得首仰足肣內外相應不得首仰足開若橫吉安

도망한 사람을 뒤쫓아 잡고 잡지 못함을 점칩니다. 잡을 수 있으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오므리며 안과 밖이 서로 응하고, 잡지 못한다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며 횡길안과 같이 하십시오.

 

卜漁獵得不得首仰足開內外相應不得足肣首仰若橫吉安

물고기를 잡는데 잡을 수 있음과 잡을 수 없음을 점칩니다. 잡을 수 있으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며 안과 밖이 서로 응하고, 잡지 못한다면 발은 오므리고 머리는 쳐들며, 횡길안과 같이 하십시오.

 

卜行遇盜不遇首仰足開身節折外高內下不遇呈兆

길을 가다 도적을 만날지 만나지 않을 지를 점칩니다. 만난다면 머리를 쳐들고 발은 벌리며 몸의 마디를 꺽고 밖은 높이며 안은 낮추고 만나지 못한다면 조짐을 나타내십시오.

 

卜天雨不雨首仰有外外高內下不雨首仰足開若橫吉安

비가 내릴지 내리지 않을지 점을 칩니다. 비가 내린다면 머리를 쳐들고 밖에 있고, 밖은 높이며 안은 낮추고, 비가 오지 않는다면 머리를 쳐들고 발을 벌리며 횡길안과 같이 하십시오.


卜天雨霽不霽呈兆足開首仰不霽橫吉

비가 개일지 개지 않을 지를 점칩니다. 갠다면 조짐을 나타내어 발은 벌리고 머리를 쳐들며, 개지 않는다면 횡길하십시오.

 

命曰橫吉安以占病病甚者一日不死不甚者卜日瘳不死繫者重罪不出輕罪環出過一日不出久毋傷也求財物買臣妾馬牛一日環得過一日不得。(不得行者不行來者環至過食時不至不來擊盜不行行不遇聞盜不來徙官不徙居官家室皆吉歲稼不孰民疾疫無疾歲中無兵見人行不行不喜請謁人不行不得追亡人漁獵不得行不遇盜雨不雨霽不霽

에 말하기를 횡길안 점괘는 병을 점치는데 병이 심한 자는 그날에 죽지 않고 병이 심하지 않는 자는 점치는 날에 나아 죽지 않는다. 죄에 매인 자로 무거운 죄를 지은 자는 나오지 못하고, 가벼운 죄를 지은 자는 물러나 나온다. 하루가 지나 나오지 않아 오래하여도 해침이 없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소, 말을 살 때 하루를 돌아 얻고, 하루를 지나면 얻지 못한다. 가는 자는 가지 못한다. 오는 자는 돌아 이르고 밥 먹을 때를 지나면 이르지 못하여 오지 않는다. 도적을 쳐서 가지 말고 가도 만나지 못한다. 도적에 대한 소문을 들어도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는 것에 대해서는 옮기지 않는다, 관직과 집에 머무는 것은 모두 길하다. 그해 농사는 익지 않는다. 백성이 역병에 걸리는 것은 병이 었다. 그 해 중에는 전쟁이 없다. 사람을 만나러 가는 것은 가지 않으면 기쁨이 없다. 다른 사람을 알현하기를 청하는 것은 가지 않으면 얻지 못한다. 도망한 사람을 쫓거나 물고기를 잡는 것은 얻지 못한다. 가서 도적을 만나지 못한다. 비는 내리지 않는다. 날이 개는 것은 날이 개지 않는다.” 했다.


命曰呈兆病者不死繫者出行者行來者來市買得追亡人得過一日不得問行者不到

명에 말하기를 조짐을 보이는 점괘 병든 자가 죽지 않는다. 죄에 매인 자는 나온다. 가는 자는 가고 오는 자는 온다. 시장에서 사들이지 못한다. 도망한 사람을 쫓아가 잡는 것은 하루가 지나면 잡지 못한다. 간자를 물어도 이르지 못한다.” 했다.

 

命曰柱徹卜病不死繫者出行者行來者來。(市買不得憂者毋憂追亡人不得

명에 말하기를 주철점괘는 병든 자를 점치면 죽지 않는다. 죄에 매인자는 나온다. 가는 자는 가고 오는 자는 온다. 시장에서 사들이지 못한다. 근심하는 자는 근심이 없다. 도망하는 사람을 좇아도 잡지 못한다.” 했다.

 

命曰首仰足肣有內無外占病病甚不死繫者解求財物買臣妾馬牛不得行者聞言不行來者不來聞盜不來聞言不至徒官聞言不徙居官有憂居家多災歲稼中孰民疾疫多病歲中有兵聞言不開見貴人吉請謁不行行不得善言追亡人不得漁獵不得行不遇盜雨不雨甚霽不霽故其莫字皆為首備問之曰備者仰也故定以為仰此私記也

에 말하기를 머리를 쳐들고 발을 오므리며 안은 있고, 밖은 없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이 심하여도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풀려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를 구하여도 얻지 못한다. 가는 자는 말을 들으면 가지 못한다. 오는 자는 오지 않는다. 도적의 소문을 들어도 오지 않는다. 말을 들어도 이르지 않는다. 관을 옮기는 자는 말을 들어도 옮기지 않는다. 관에 머물면 근심이 있다. 집에 머물면 재앙이 많다. 그해 농사는 중간 정도 익는다. 백성이 역병이 있고, 병이 많다. 그해 안에 전쟁이 있고, 말을 들어도 열리지 않는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다. 뵙기를 청하여도 가지 못하고 가도 좋은 말을 듣지 못한다. 도방한 사람을 쫓아도 잡지 못한다. 물고기를 잡아도 잡지 못한다. 가도 도적을 만나지는 않는다. 비가내리는 것은 심하게 내리지 않는다. 날이 개는 것은 개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자는 모두 수비가 된다. 그것을 물으니 말하기를 이다. 그러므로 정하기를 이라 한 것이다. 이는 사사로운 기록이다.


命曰首仰足肣有內無外占病病甚不死繫者不出求財買臣妾不得行者不行來者不來擊盜不見聞盜來內自驚不來徙官不徙居官家室吉歲稼不孰民疾疫有病甚歲中無兵見貴人吉請謁追亡人不得亡財物財物不出得漁獵不得行不遇盜雨不雨霽不霽

에 말하기를 머리를 쳐들고 발을 오므리며 안은 있고, 밖이 없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이 심하여도 죽지 않는다. 죄에 매인 자는 나가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을 사는 것은 얻지 못한다. 가는 자는 가지 못한다. 오는 자는 오지 않는다. 도적을 치려해도 만나지 못한다. 도적이 오는 것을 듣고 안으로 스스로 놀라나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도 옮기지 못한다. 관직과 집에 머물면 길하다. 그해 농사는 잘 익지 않는다. 백성의 역병은 병이 있고 심하다. 그해 안에 전쟁은 없다. 귀인을 뵈면 길하다. 알현하고 도망한 사람을 쫓기를 구하여도 얻지 못한다. 재물을 잃고 재물을 내어 얻지 못한다. 물고를 잡아도 얻지 못한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기 내리지 않는다. 날이 개지 않는다. 흉하다.” 했다.

 

命曰呈兆首仰足肣以占病不死繫者未出求財物買臣妾馬牛不得行不行來不來擊盜不相見聞盜來不來徙官不徙居官久多憂居家室不吉歲稼不孰民病疫歲中毋兵見貴人不吉請謁不得漁獵得少行不遇盜雨不雨霽不霽不吉

명에 말하기를 조짐을 나타냄이 머리를 쳐들고 발을 오므리는 것은 병을 점치면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나가지 않는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를 사려해도 얻지 못한다. 가려해도 가지 못한다. 오려 해도 오지 못한다. 도적을 치려해도 서로 만나지 않는다. 도적이 온다고 들었으나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 해도 옮기지 못한다. 관직에 머무는 것이 오래면 근심이 많다. 집에 머무는 것은 길하지 않다. 그해 농사는 잘 익지 않는다. 백성들이 병과 역병에 걸린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지 않다. 알현을 청하여도 할 수 없다. 물고기를 잡으면 얻음이 적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지 않는다. 날씨가 개이지 않는다. 길하지 않다.” 했다.


命曰呈兆首仰足開以占病病篤死繫囚出求財物買臣妾馬牛不得行者行來者來擊盜不見盜聞盜來不來徙官徙居官不久居家室不吉歲稼不孰民疾疫有而少歲中毋兵見貴人不見吉請謁追亡人漁獵不得行遇盜雨不雨霽小吉

명에 말하기를 조짐을 나타냄이 머리를 쳐들고 발을 벌리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이 심해 죽는다. 감옥에 갇힌 자는 나온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를 사려해도 얻지 못한다. 가는 자는 가고, 오는 자는 온다. 도적을 치려해도 도적을 만나지 못한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어도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면 옮긴다. 관직에 머물려도 오래지 못한다. 집에 머물면 길하지 않다. 그해의 농사는 잘 익지 않는다. 백성의 병과 역병이 있지만 적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귀인을 만나려다 만나지 못하면 길하다. 알현을 청하고 도망한 사람을 쫓고 물고기를 잡아도 얻지 못한다. 가다가 도적을 만난다. 비가 내리지 않는다. 날이 개면 조금 길하다.” 했다.


命曰首仰足肣以占病不死繫者久毋傷也求財物買臣妾馬牛不得行者不行擊盜不行來者來聞盜來徙官聞言不徙居家室不吉歲稼不孰民疾疫少歲中毋兵見貴人得見請謁追亡人漁獵不得行遇盜雨不雨霽不霽

명에 말하기를 머리를 쳐들고 발을 오므리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오래하여도 상하지 않는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를 사려해도 얻지 못한다. 가려는 자는 가지 못한다. 도적을 치려해도 가지 못한다. 오는 자는 온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듣는다. 관직을 옮긴다는 말을 들어도 옮기지 않는다. 집에 머물면 길하지 않다. 그해 농사는 잘 익지 않는다. 백성은 병이 적다. 그해 중에 전쟁은 없다. 귀인을 뵈려하면 볼 수 있다. 알현과 도망하는 사람을 쫓고 물고기 잡기를 청하여도 얻지 못한다. 가면 도적을 만난다. 비가 내리지 않는다. 날이 개지 않는다. 길하다.

 

命曰首仰足開有內以占病者繫者出求財物買臣妾馬牛不得行者行來者來擊盜行不見盜聞盜來不來徙官徙居官不久居家室不吉歲孰民疾疫有而少歲中毋兵見貴人不吉請謁追亡人漁獵不得行不遇盜雨霽霽小吉不霽吉

명에 말하기를 머리는 쳐들고 발은 벌리고 안에 있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죽는다. 죄에 매인 자는 나온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를 사려는 자는 얻지 못한다. 가려는 자는 가고 오려는 자는 온다. 도적을 치러 가는 자는 도적을 보지 못한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었으나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는 자는 옮긴다. 관직에 머물기를 오래하지 않는다. 집에 머물면 길하지 않다. 그 해는 곡식이 잘 익는다. 백성은 역병이 있으나 적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지 않다. 알현하고 도망하는 사람을 쫓고, 물고기를 잡기를 청하나 얻지 못한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다 갠다. 날씨가 개면 조금 길하고 개지 않으면 길하다.

 

命曰橫吉內外自橋以占病卜日毋瘳死繫者毋罪出求財物買臣妾馬牛得行者行來者來擊盜合交等聞盜來來徙官徙居家室吉歲孰民疫無疾歲中無兵見貴人請謁追亡人漁獵得行遇盜雨霽雨霽大吉

명에 말하기를 횡길은 내외가 저절로 높다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점치는 날 낫지 않고 죽는다. 죄에 메인 자는 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첨과 말과 소를 사려는 자는 얻는다. 가려는 자는 간다. 오려는 자는 온다. 도적을 치려 만나 섞인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으면 온다. 관직을 옮기려는 자는 옮긴다. 집에 머물면 길하다. 그해는 곡식이 잘 익는다. 백성의 역병은 병들지 않는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귀인을 만나 알현하고 도망하는 사람을 쫓고, 고기를 잡을 것을 청하면 얻는다. 길을 가다 도적을 만난다. 비가 갠다. 비가내리다 개면 크게 길하다.” 했다.

 

命曰橫吉內外自吉以占病病者死繫不出求財物買臣妾馬牛追亡人漁獵不得行者不來擊盜不相見聞盜不來徙官徙居官有憂居家室見貴人請謁不吉歲稼不孰民疾疫歲中無兵行不遇盜雨不雨霽不霽不吉

명에 말하기를 횡길하고 내외가 저절로 길하다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든 자는 죽는다. 죄에 매여 벗어나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 , 소를 사며 도망하는 사람을 쫓고 물고기를 잡으려 해도 얻지 못한다. 가는 자는 오지 않는다. 도적을 치려해도 서로 만나지 못한다. 도적의 소문을 들어도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면 옮긴다. 관직에 머물면 금심이 있다. 집에 머물다 귀인을 만나 알현을 청하면 길하지 않다. 그해 농사는 곡식이 잘 익지 않는다. 백성이 병이 있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기도하고, 내리지 않기도 한다. 날이 개기도 하고, 개지 않기도 한다. 길하지 않다.

 

命曰漁人以占病者病者甚不死繫者出求財物買臣妾馬牛擊盜請謁追亡人漁獵得行者行來聞盜來不來徙官不徒居家室吉歲稼不孰民疾疫歲中毋兵見貴人吉行不遇盜雨不雨霽不霽

명에 말하기를 어인의 점괘는 병을 점치는 자는 병이 심하고 죽지 않는다. 죄에 매인 자는 벗어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를 사고 도적을 치며 일현과 도망한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 잡기를 청하면 얻는다. 가는 자는 갔다가 온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었으나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는 자는 옮기지 못한다. 집에 머물면 길하다. 그해 농사는 곡식이 잘 익지 않는다. 백성을 역병에 걸린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기도 하고 그치기도 한다. 날이 개기도하고 개지 않기도 한다. 길하다.


命曰首仰足肣內高外下以占病病者甚不死繫者不出求財物買臣妾馬牛追亡人漁獵得行不行來者來擊盜勝徙官不徙居官有憂無傷也居家室多憂病歲大孰民疾疫歲中有兵不至見貴人請謁不吉行遇盜雨不雨霽不霽

명에 말하기를 머리를 쳐들고 발을 오므리며 안은 높고 밖은 낮은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든 자는 심해지나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오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를 사고, 도망하는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를 잡으려는 자는 얻는다. 가려해도 가지 못한다. 오려해도 오지 못한다. 도적을 치면 이긴다. 관직을 옮기려는 자는 옮기지 못한다. 관직에 머무는 자는 근심이 있지만 해침은 없다. 집에 머물면 근심과 병이 많다. 그해는 곡식이 크게 잘 익는다. 백성은 역병이 있다. 근해 안에는 전쟁이 있어도 이르지 않는다. 귀인을 만나 알현을 청하면 길하지 않다. 길을 가다 도적을 만난다. 비가 내리기도하고 내리지 않기도 한다. 날이 개기도 하고, 개지 않기도 한다. 길하다.

 

命曰橫吉上有仰下有柱病久不死繫者不出求財物買臣妾馬牛追亡人漁獵不得行不行來不來擊盜不行行不見聞盜來不來徙官不徙居家室見貴人吉歲大孰民疾疫歲中毋兵行不遇盜雨不雨霽不霽大吉

명에 말하기를 횡길하고 위는 쳐듦이 있고, 아래는 기둥이 있다는 점괘는 병이 오래되어도 죽지 않는다. 죄에 매인 자는 나오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과 소, 도망하는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를 잡으려는 자는 얻지 못한다. 가려해도 가지 못한다. 오려해도 오지 못한다. 도적을 치려해도 가지 못하고 가도 보지 못한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어도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 해도 옮기지 못한다. 집에 머물고 귀인을 만나면 길하다. 그해는 곡식이 크게 잘 익는다. 백성은 역병이 있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다 내리지 않는다. 날이 개었다가 흐려진다. 크게 길하다.


命曰橫吉榆仰以占病不死繫者不出求財物買臣妾馬牛至不得行不行來不來擊盜不行行不見聞盜來不來徙官不徙居官家室見貴人吉歲孰歲中有疾疫毋兵請謁追亡人不得漁獵至不得行不得行不遇盜雨霽不霽小吉

명에 말하기를 횡길유앙 점괘는 병을 점치면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오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 말과 소를 사서 이르게 하려해도 얻지 못한다. 가려해도 가지 못한다. 오려해도 오지 못한다. 도적을 치려해도 가지 못하고 가도 만나지 못한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어도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려해도 옮기지 못한다. 관직과 집에 머물러도 귀인을 만나면 길하다. 그해 곡식은 익는다. 그해 중에 역병이 있고, 전쟁은 없다. 알현과 도망한 사람을 쫓을 것을 청하여도 얻지 못한다. 물고기를 잡으려 이르러도 얻지 못한다. 길을 가도 얻지 못한다. 비가 내리고 개었다가 흐린다. 조금 길하다.” 했다.


命曰橫吉下有柱以占病病甚不環有瘳無死繫者出求財物買臣妾馬牛請謁追亡人漁獵不得行來不來擊盜不合聞盜來來徙官居官吉不久居家室不吉歲不孰民毋疾疫歲中毋兵見貴人吉行不遇盜雨不雨小吉

명에 말하기를 횡길 아래 기둥이 있다는 점괘는 점을 치면 병이 있고, 병이 심하여 돌아오지 못하나 나음이 있어 죽음은 없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온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 , 소를 사고 알현하고 도망한 사람을 쫓고, 물고기를 잡을 것을 청하여도 얻지 못한다. 길을 가고 오려해도 오지 않는다. 도적을 치려하나 합하지 않는다. 도적이 오는 것을 들으면 온다. 관직을 옮기고 관직에 머무는 것이 길하고 오래하지 않는다. 집에 머무는 것은 길하지 않다. 그해 곡식은 익지 않는다. 백성은 역병이 없다, 그해 중에 전쟁은 없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다 비가 내리지 않는다. 날씨가 갠다. 조금 길하다.


命曰載所以占病環有瘳無死繫者出求財物買臣妾馬牛請謁追亡人漁獵得行者行來者來擊盜相見不相合聞盜來來徙官徙居家室憂見貴人吉歲孰民毋疾疫歲中毋兵行不遇盜雨不雨霽霽

명에 말하기를 재소 점괘는 병을 점치면 돌아 나음이 있어 죽음은 없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온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 소를 사고, 알현과 도망한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를 잡을 것을 청하면 얻는다. 길을 가려는 자는 갈 수 있고, 오려는 자는 올 수 있다. 도적을 치려 서로 만나나 서로 합치하지 않는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으면 온다. 관직을 옮기려면 옮길 수 있다. 집에 머물면 근심이 있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다. 그해는 곡식이 익는다. 백성은 역병이 없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다 비가 내리지 않고, 갠다. 길하다.” 했다.


命曰根格以占病者不死繫久毋傷求財物買臣妾馬牛請謁追亡人漁獵不得行不行來不來擊盜盜行不合聞盜不來徙官不徙居家室吉歲稼中民疾疫無死見貴人不得見行不遇盜雨不雨不吉

명에 말하기를 근격 점괘는 병을 점치면 죽지 않는다. 죄에 메여 오래되어도 상하지 않는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 소를 사고, 알현하고 도망한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를 잡을 것을 청하여도 얻지 못한다. 가려해도 가지 못한다. 오려해도 오지 못한다. 도적을 쳐도 도적이 떠나가서 만나지 못한다. 도적이 오지 않는다고 듣는다. 관직을 옮기려해도 옮기지 못한다. 집에 머물면 길하다. 그해 농사는 중간이다. 백성은 역병이 있으나 죽음은 없다. 귀인을 만나려해도 만날 수 없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못한다. 비가 내리다 비가 내리지 않는다. 길하지 않다.” 했다.

 

命曰首仰足肣外高內下卜有憂無傷也行者不來病久死求財物不得見貴人者吉

명에 말하기를 머리를 쳐들고 나라를 오므리며 밖은 높고 아래는 낮은 점괘는 점을 치면 근심이 있고, 상함은 없다. 간 자는 오지 않는다. 병이 오래되어 죽는다. 재물을 구하여도 얻지 못한다. 귀인을 만난 자는 길하다.” 했다.


命曰外高內下卜病不死有祟。(市買不得居官家室不吉行者不行來者不來繫者久毋傷

명에 말하기를 밖은 높고 안은 낮은 점괘는 병을 점치면 죽지 않고 앙화가 있다. 시장에서 사려해도 얻지 못한다. 관직과 집에 머물면 길하지 않다. 가려는 자는 가지 못한다. 오려는 자는 오지 못한다. 죄에 메인 자는 오래되어도 상함은 없다. 길하다.

 

命曰頭見足發有內外相應以占病者繫者出行者行來者來求財物得

명에 말하기를 머리를 나타내고 발은 펴며 내외가 상응함이 있는 점괘는 병을 점치는 자는 일어난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온다. 가는 자는 가고 오는 자는 온다. 재물을 구하는 자는 얻는다. 길하다.” 했다.

 

命曰呈兆首仰足開以占病病甚死繫者出有憂求財物買臣妾馬牛請謁追亡人漁獵不得不行來不來擊盜不合聞盜來來徙官居官家室不吉歲惡民疾疫無死歲中毋兵見貴人不吉行不遇盜雨不雨不吉

명에 말하기를 조짐을 나타내 머리를 쳐들며 발을 벌리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이 심하여 죽는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오는데 근심이 있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 말과 소를 사고 알현하며 도망한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를 잡기를 청하여도 얻지 못한다. 가려해도 가지 못한다. 오려 해도 오지 못한다. 도적을 치려해도 만나지 못한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으면 온다. 관직을 옮기고 집에 머물면 길하지 않다. 그해는 (농사가)나쁘다. 백성은 역병에 걸려도 죽음은 없다. 그해 안에는 전쟁이 없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지 않다. 길을 가도 도적을 만나지 않는다. 비가 내리다 내리지 않고 갠다. 길하지 않다.

 

命曰呈兆首仰足開外高內下以占病不死有外祟繫者出有憂求財物買臣妾馬牛相見不會行行來聞言不來擊盜勝聞盜來不來徙官居官家室見貴人不吉歲中民疾疫有兵請謁追亡人漁獵不得聞盜遇盜雨不雨

명에 말하기를 조짐을 나타내 머리를 쳐들고 발을 벌리며 밖은 높고 안은 낮은 점괘는 병을 점치면 죽지 않고 밖에 앙화가 있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오나 근심이 있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 소를 사며 서로 만나려하나 만나지 못한다. 점차 나아간다. 온다는 말을 들었으나 오지 않는다. 도적을 치면 이긴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었으나 오지 않는다. 관직을 옮기고 집에 머물며 귀인을 만나는 것은 길하지 않다. 그 해 농사는 중간이다. 백성은 역병이 있고, 전쟁이 있다. 알현하고 도망한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를 잡을 것을 청하나 얻지 못한다. 비가 내리다 내리지 않고 갠다. 흉하다.


命曰首仰足肣身折內外相應以占病病甚不死繫者久不出求財物買臣妾馬牛漁獵不得行不行來不來擊盜有用勝聞盜來來徙官不徙居官家室不吉歲不孰民疾疫歲中有兵不至見貴人喜請謁追亡人不得遇盜凶

명에 말하기를 머리를 쳐들고 발을 오므리고 몸은 꺽으며 내외가 상응하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이 심하여도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오래되어도 나오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고 신첩과 말, 소를 사고 물고기를 구하려 해도 얻지 못한다. 가려해도 가지 못하고 오려 해도 오지 못한다. 도적을 칠 때 이김을 씀이 있다. 도적이 온다는 것을 들었는데 온다. 관직을 옮기려 해도 옮기지 못한다. 관직과 집에 머물면 길하지 않다. 그해는 곡식이 익지 않는다. 백성은 역병에 걸린다. 그 해는 중간이다. 전쟁이 있으나 이르지 못한다. 귀인을 만나 기뻐한다. 알현하고 도망한 사람을 쫓기를 청하나 얻지 못한다. 도적을 만나 흉하다.” 했다.

命曰內格外垂行者不行來者不來病者死繫者不出求財物不得見人不見大吉

명에 말하기를 안을 바로잡고 밖은 드리워진 점괘는 가려는 자는 가지 못한다. 오려는 자는 오지 못한다. 병든 자는 죽는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오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여도 얻지 못한다. 사람을 만나려하나 만나지 못한다. 크게 길하다.

 

命曰橫吉內外相應自橋榆仰上柱上柱足足肣以占病病甚不死繫久不抵罪求財物買臣妾馬牛請謁追亡人漁獵不得行不行來不來居官家室見貴人吉徙官不徙歲不大孰民疾疫有兵有兵不會行遇盜聞言不見雨不雨霽霽大吉

명에 말하기를 횡길하고 내외가 서로 응하여 저절로 높아지며 느릅나무를 쳐들어 기둥에 올리며 발을 오므리는 점괘는 병을 점치면 병이 심하여도 죽지 않는다. 메임이 오래되어도 죄에 저촉되지 않는다. 재물을 구하고 신천과 말, 소를 사며 알현하고 도망한 사람을 쫓으며 물고기를 잡을 것을 청하여도 얻지 못한다. 가려해도 가지 못하고 오려 해도 오지 못한다. 관직과 집에 머물다 귀인을 만나면 길하다. 관직을 옮기려 해도 옮기지 못한다. 그해는 곡식이 크게 익지 않는다. 백성들은 역병에 걸리고 전쟁이 있다. 길을 가면 도적을 만난다. 말을 들어도 만나지 못한다. 비가 내리다 내리지 않고 갠다. 크게 길하다.” 했다.


命曰頭仰足肣內外自垂卜憂病者甚不死居官不得居行者行來者不來求財物不得求人不得

명에 말하기를 머리를 쳐들고 발은 오므리며 내외가 저절로 느려뜨려지는 점괘는 병을 근심하는 자가 점을 치면 심하여도 죽지 않는다. 관직에 머물려해도 머물지 못한다. 가려는 자는 가고 오려는 자는 오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여도 얻지 못한다. 사람을 찾아도 얻지 못한다. 길하다.

 

命曰橫吉下有柱卜來者來卜日即不至未來卜病者過一日毋瘳死行者不行求財物不得繫者出

명에 말하기를 횡길하고 아래에 기둥이 잇는 점괘는 오는 자를 점치면 온다. 점치는 날에는 곧 이르지 않아 오지 않는다. 병을 점친 자는 하루가 지나면 나아 죽지 않는다. 가려는 자는 가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는 자는 얻지 못한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온다.” 했다.

 

命曰橫吉內外自舉以占病者久不死繫者久不出求財物得而少行者不行來者不來見貴人見

명에 말하기를 횡길하고 내외가 저절로 들려지는 점괘는 병을 점친 자는 오래되어도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오래되어도 나오지 못한다. 재물을 구하여 얻을 수 있을지라도 적다. 가려는 자는 가지 못한다. 오려는 자는 오지 못한다. 귀인을 만나려 하면 만난다. 길하다.” 했다.

 

命曰內高外下疾輕足發求財物不得行者行病者有瘳繫者不出來者來見貴人不見

명에 말하기를 안은 높고 밖은 낮고 빠르고 가볍게 발을 펴는 점괘는 재물을 구하는 자는 얻지 못한다. 가려는 자는 가고, 병든 자는 나음이 있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오지 못한다. 오려는 자는 오고 귀인을 만나려하나 만나지 못한다. 길하다.” 했다.

 

命曰外格求財物不得行者不行來者不來繫者不出不吉病者死求財物不得見貴人見

명에 말하기를 밖을 바로잡는 점괘는 재물을 구하여도 얻지 못한다. 가려는 자는 가지 못한다. 오려는 자는 오지 못한다. 죄에 메인 자는 나오지 못한다. 길하지 않다. 병든 자는 죽는다. 재물을 구하나 얻지 못한다. 귀인을 만나려하면 만난다. 길하다.” 했다.

 

命曰內自舉外來正足發[]者行來者來求財物得病者久不死繫者不出見貴人見

명에 말하기를 안이 저절로 들려 밖에서 오고 발을 바로하여 펴는 점괘는 가려는 자는 가고, 오려는 자는 온다. 재물을 구하면 얻는다. 병든 자는 오래되어도 죽지 않는다. 메인 자는 나오지 못한다. 귀인을 만나려하면 만난다. 길하다.” 했다.


此橫吉上柱外內自舉足肣以卜有求得病不死繫者毋傷未出行不行來不來見人不見百事盡吉

이는 횡길이고 기둥을 올린 밖과 안이 저절로 들려지고 발을 오므리는 점괘는 점을 치면 구함이 있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병이 들어도 죽지 않는다. 죄에 메인 자는 상하지 않으나 나오지 못한다. 가려해도 갈 수 없다. 오려 해도 올 수 없다.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백가지 일이 모두 길하다.


此橫吉上柱外內自舉柱足以作以卜有求得病死環起繫留毋傷環出行不行來不來見人不見百事吉可以舉兵

이는 횡길하고 기둥을 올리며 밖과 안이 저절로 들리고 발로 일어나는 점괘는 점을 치면 구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병들어 죽거나 돌아 일어난다. 죄에 메여 머물러도 상함은 없고 돌아 나온다. 가려는 자는 가지 못하고 오려는 자는 오지 못한다.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백가지 일이 길하다. 군대를 일으킬만 하다.

 

此挺詐有外以卜有求不得病不死數起繫禍罪聞言毋傷行不行來不來

이는 정사가 밖에 있는 점괘는 점을 쳐 구함이 있어도 얻지 못한다. 병이 들어도 죽지 않고, 자주 일어난다. 재앙과 죄에 메인다. 말을 들어도 상함은 없다. 가도 가지 못하고 와도 오지 못한다.


此挺詐有內以卜有求不得病不死數起繫留禍罪無傷出行不行來者不來見人不見

이는 정사가 안에 있는 점괘는 점을 쳐 구함이 있어도 얻지 못한다. 병이 들어도 죽지 않고 여러 번 일어난다. 화와 죄에 메여 머물러도 상함이 없이 나온다. 가도 가지 못하고, 오는 자는 오지 못한다.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此挺詐內外自舉以卜有求得病不死繫毋罪行行來來田賈市漁獵盡喜

이 정사가 안과 밖이 저절로 들려지는 점괘는 점을 쳐 구함이 있으면 얻는다. 병이 들어도 죽지 않는다. 죄에 메었다가 죄 없음이 된다. 가야하면 가고 와야 하면 온다. 논사를 짓고 시장에서 사고팔며 물고기를 잡아 모두 기뻐한다.

 

此狐貉以卜有求不得病死難起繫留毋罪難出可居宅可娶婦嫁女行不行來不來見人不見有憂不憂

이 호락의 점괘는 점을 쳐 구함이 있어도 얻지 못한다. 병이 들면 죽고 일어나기 어렵다. 죄에 메여 죄가 없어도 나오기 어렵다. 집에 머물 수 있다. 부인에게 장가들 수 있고 달을 시집보낼 수 있다. 가려해도 가지 못하고 오려 해도 오지 못한다.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근심이 있어도 근심하지 않는다.

 

此狐徹以卜有求不得病者死繫留有抵罪行不行來不來見人不見言語定百事盡不吉

이 호철의 점괘는 점을 쳐 구함이 있어도 얻지 못한다. 병든 자는 죽는다. 죄에 메이면 죄에 저촉됨이 있다. 가려해도 가지 못하고, 오려 해도 오지 못한다.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언어는 정해져 있다. 백가지 일이 모두 길하지 않다.

 

此首俯足肣身節折以卜有求不得病者死繫留有罪望行者不來行行來不來見人不見

이는 머리를 숙이고 발은 오므리며 몸의 마디는 꺽인 점괘는 점을 쳐 구하여도 얻지 못한다. 병든 자는 죽는다. 죄에 메인 자는 죄가 있다. 가는 자를 멀리 바라보아도 오지 않는다. 가면 가고 오려 해도 오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此挺內外自垂以卜有求不晦病不死難起繫留毋罪難出行不行來不來見人不見不吉

이 정은 안과 밖이 저절로 드리워지는 점괘는 점을 쳐 구함이 있으면 어둡지 않다. 병이 들어도 죽지 않으나 일어나기는 어렵다. 죄에 메여도 죄는 없지만 나오기는 어렵다. 가려해도 가지 못하고, 오려 해도 오지 못한다.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길하지 않다.

 

此橫吉榆仰首俯以卜有求難得病難起不死繫難出毋傷也可居家室以娶婦嫁女

이는 횡길하고 느릅나무를 쳐들고 머리는 수그리는 점괘로 점을 쳐서 구함이 있으나 얻기는 어렵다. 병이 들면 일어나기 려우나 죽지는 않는다. 죄에 연루되어 나오기 어렵지만 상함은 없다. 집에 머물 수 있다. 부인에게 장가들고 딸을 시집보낸다.

 

此橫吉上柱載正身節折內外自舉以卜病者卜日不死其一日乃死

이는 횡길로 기둥을 올리고 바른 몸을 실어 마디를 꺽으며 안과 밖이 저절로 들려지는 점괘는 병든 자를 점치면 점치는 날은 죽지 않고 그 어느 날 곧 죽는다.


此橫吉上柱足肣內自舉外自垂以卜病者卜日不死其一日乃死

이는 황길로 기둥을 올리고 발은 오므리며 안은 저절로 들려지고 밖은 저절로 드리워지는 점괘는 병든 자를 점치면 점치는 날은 죽지 않고 그 어느 날 곧 죽는다.

 

為人病首俯足詐有外無內病者占龜未已急死卜輕失大一日不死

머리를 숙이고 발을은 감추며 밖은 있고 안은 없는 점괘는 병든 자가 점을 치는데 거북점이 끝나기 전에 급하게 죽는다. 가벼운 것을 점치다 큰 것을 잃고 하루가 지나도 죽지 않는다.

首仰足肣以卜有求不得以繫有罪人言語恐之毋傷行不行見人不見

머리를 쳐들고 발을 오므리는 점괘는 점을 쳐 구함이 있어도 얻지 못한다. 죄에 메이면 죄가 있다. 사람의 말이 두려워도 상함은 없다. 가려해도 가지 못하고, 사람을 만나려 해도 만나지 못한다.


大論曰[]外者人也內者自我也外者女也內者男也首俛者憂大者身也小者枝也大法病者足肣者生足開者死行者足開至足肣者不至行者足肣不行足開行有求足開得足肣者不得繫者足肣不出開出其卜病也足開而死者內高而外下也

크게 논하여 말하면 외는 다른 사람이고, 내는 자아이다. 외는 여자이고, 내는 남자이다. 머리를 숙임은 근심이다. 대는 몸이고, 소는 가지이다. 큰 법칙으로 보면 병든 자는 발을 오므린 자는 살고, 발을 벌린 자는 죽는다. 가는 자는 발을 벌리면 이르고 발을 오므린 자는 이르지 못한다. 가는 자는 발을 오므리면 가지 못하고 발을 벌리면 간다. 구함이 있으면 발을 벌리면 얻고, 발을 오므린 자는 얻지 못한다. 죄에 메인 자는 발을 오므리면 나오지 못하고 벌리면 나온다. 그 병을 점치면 발을 벌리고 죽은 자는 안이 높고 밖은 낮다.” 했다.


[] 索隱按褚先生所取太卜雜占卦體及命兆之辭義蕪辭重沓殆無足採凡此六十七條別是

[] 索隱살펴보니 저선생이 취한 태복은 점괘의 체와 명조의 말을 섞었는데 뜻은 무성하고 말은 중복되고 번잡하며 자못 채록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니 모두 이 67개조가 이에 구별된다.


索隱述贊三王異龜五帝殊卜或長或短若瓦若玉其記已亡其繇後續江使觸網見留宋國神能託夢不衛其足

索隱述贊세 왕이 거북을 달리하였고 오제는 점을 다릴 하였다. 혹은 길고, 혹은 짧으며 기와 같고 옥과 같다. 그 기록은 이미 없어지고 그 점괘가 뒤를 이었다. 강신의 사신이 그물에 걸려 송나라에 억류당하였다. 신령스러움으로 원왕의 꿈에서 부탁할 수 있었으나 그 발을 지키지는 못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