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五十二回:諸葛亮智辭魯肅,趙子龍計取桂陽
제52회 제갈공명이 지혜로 노숙을 거절하고, 조자룡은 계책을 써서 계양을 취하다.
卻說周瑜見孔明襲了南郡,又聞他襲了荊襄,如何不氣?氣傷箭瘡,半晌方甦。眾將再三勸解。瑜曰:「若不殺諸葛村夫,怎息我心中怨氣?程德謀可助我攻打南郡,定要奪還東吳。」
각설하고 주유는 제갈공명이 남군을 습격했다는 것을 보고 또 그가 형주와 양양을 습격하였다는 것을 들었으니 어찌 노하지 않겠는가? 노한 기운이 화살에 맞은 상처가 터져 한나절이 지나 비로소 소생하였다. 여러 장수들이 두 번 세 번 노기를 풀 것을 권하였다. 주유가 말하기를 “만약 제갈 촌놈을 죽이지 못한다면 어찌 내 마음속의 원한과 노한 기운을 그칠 수 있겠는가? 정덕모(정보)가 나를 도와 남군을 공격하여 반드시 동오가 빼앗아 돌아오시오.”했다.
正議問,魯肅至。瑜謂之曰:「吾欲起兵與劉備,諸葛亮共決雌雄,復奪城池。子敨(敬)幸助我。」魯肅曰:「不可。方今與曹操相持,尚未分成敗;主公現攻合淝不下;如若自家互相吞併,倘曹兵乘虛而來,其勢危矣。況劉玄德舊曾曹操相厚,若逼得緊急,獻了城池,一同攻打東吳,如之奈何?」瑜曰:「吾等用計策,損兵馬,費錢糧,他去圖現成,豈不可恨!」肅曰:「公瑾且耐。容某親見玄德,將理來說他。若說不通,那時動兵未遲。」諸將曰:「子敬之言甚善。」
의논하는 사이에 노숙이 이르렀다. 주유가 일러 말하기를 “나는 군대를 일으켜 유현덕, 제갈공명과 자웅을 결단하여 성과 해자를 다시 빼앗을 것이오. 노숙이 나를 도우면 다행이겠습니다.”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불가합니다. 지금 조조아 대치하고 있는데 아직 승패를 나누지 못하고 있고, 주공께서는 지금 합비를 공격하였으나 함락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만약 우리끼리 서로 삼키려하다 혹 조조의 군대가 빈 것을 타고 온다면 그 형세는 위태로울 것입니다. 하물며 유현덕은 일찍이 조조와 서로 두텁게 지냈는데 만약 절박함에 몰려 성지를 바치고 함께 동오를 공격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우리들이 계책을 쓰고, 병마를 손상하고, 돈과 식량을 허비하였는데 그들은 힘들이지 않고 꽈하여 거두어들였으니 어찌 한스럽지 않겠는가!”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주유는 참으십시오. 내가 직접 유현덕을 만나 이치로 그를 설득해 보겠습니다. 만약 설득이 통하지 않으면 그때 군대를 동원하여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하니 여러 장수들이 “노숙의 말이 매우 좋습니다.”했다.
於是魯肅引從者徑投南郡來,到城下叫門。趙雲出問。肅曰:「我要見劉玄德有話說。」雲答曰:「吾主與軍師在荊州城中。」肅遂不入南郡,徑奔荊州。見旌旗整列,軍容甚盛,肅暗羨曰:「孔明真非常人也!」軍士報入城中,說魯子敬要見。孔明令大開城門,接肅入衙。講禮畢,分賓主而坐。茶罷,肅曰:「吾主吳侯,與都督公瑾,教某再三申意皇叔。前者,操引百萬之眾,名下江南,實欲來圖皇叔;幸得東吳殺退曹兵,救了皇叔,所有荊州九郡,合當歸於東吳。今皇叔用詭計,奪占荊襄,使江東空費錢糧軍馬,而皇叔安受其利,恐於理未順。」
이에 노숙이 종자를 이끌고 곧 남군에 가 성 아래 이르러 문에서 크게 외쳤다. 조자룡이 나와 물었다. 노숙이 말하기를 “나는 유현덕을 만나 얘기를 나눌 수 있기를 청합니다.”했다. 조자룡이 말하기를 “우리 주공과 군사는 영주성 안에 있습니다.”하니 노숙이 마침내 남군에 가지 못하고 곧장 형주로 달려갔다. (형주성) 깃발이 정돈되어 나열되어 있고, 군대의 모습이 매우 성대한 것을 보았다. 노숙은 속으로 부러워하며 말하기를 “제갈공명은 참으로 보통 사람이 아니구나!”했다. 군사들이 성 안에 들어가 노숙이 뵙기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제갈공명이 크게 성문을 열게 하고 노숙을 영접하여 관아에 들어갔다. 예를 마치고 손님과 주인의 자리를 나누어 앉았다. 차 마시기를 마치고 노숙이 말하기를 “우리 주공 오후께서는 도독 주유와 함께 나를 시켜 황숙(유현덕)에게 두 번 세 번 펴게 하였습니다. 지난번에 조조가 백만의 무리를 이끌고 명분상으로는 강남으로 내려간다 하였으나 실제로는 황숙(유현덕)도모하고자 온 것입니다. 다행히 동오가 조조의 군대와 싸워 물리치고 황숙(유현덕)을 구원하였으니 형주 구군에 대한 소유권은 동오에 돌아가는 것이 합당합니다. 지금 황숙(유현덕)께서 속이는 계책을 써서 형주와 양양을 빼앗아 점령하고 있습니다. 강동으로 하여금 헛되이 전량과 군마를 쓰게 하고 황숙(유현덕)께서는 편안히 그 이익을 받고 있으니 이치에 따르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했다.
孔明曰:「子敬乃高明之士,何故亦出此言?常言道:『物必歸主。』荊襄九郡,非東吳之地,乃劉景升之基業。吾主固景升之弟也。景升雖亡,其子尚在。以叔輔姪,而取荊州,有何不可?」肅曰:「若果係公子劉琦占據,尚有可解;今公子在江夏,須不在這裏。」孔明曰:「子敬欲見公子乎?」便命左右請公子出來。只見兩侍者從屏風後扶出劉琦。琦謂肅曰:「病軀不能施禮,子敬勿罪。」魯肅吃了一驚,默然無語,良久言曰:「公子若不在,便如何?」孔明曰:「公子在一日,守一日;若不在,別有商議。」肅曰:「若公子不在,須將城池還我東吳。」孔明曰:「子敬之言是也。」遂設宴相待。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노숙은 곧 고명한 선비인데 무슨 이유로 또 이런 말을 합니까? 속담에 ‘물건은 반드시 주인의 손에 들어간다.’합니다. 형주와 양양 아홉 개 군은 동오의 땅이 아니라 곧 유경승(유표)의 기업이었습니다. 우리 주공은 진실로 유표의 동생입니다. 유표는 비록 죽었으나 그 아들은 아직도 살아 있습니다. 숙부로서 조카를 도와 형주를 취하는 것이 무슨 잘못이 있습니까?”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만약 공자 유기가 점거함에 연계되어 있다면 아직 풀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공자는 강하에 있고, 여기에 있지 않은 것이 틀림없습니다.”했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노숙은 공자를 만나고자 합니까?”하고는 곧 좌우에게 명하여 공자가 나오시기를 청하게 했다. 두 명의 모시는 자가 병풍 뒤로부터 유기를 부축하고 나와 (노숙을)만났다. 유기가 노숙에게 말하기를 “몸이 병들어 예를 베풀 수 없으니 노숙께서는 허물하지 마십시오.”했다. 노숙이 머뭇거리며 놀라 묵묵히 말을 하지 못하고 있다가 잠시 후 말하기를 “공자께서 만약 돌아가신다면 곧 어떻게 하시겠습니까?”했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공자께서 하루를 살아 있으면 하루를 지키고, 만약 돌아가시게 되면 따로 상의함이 있을 것입니다.”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만약 공자께서 돌아가시게 되면 반드시 성지를 우리 동오에게 돌려주십시오.”하니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노숙의 말이 옳습니다.”하고는 마침내 연회를 베풀어 서로 대작하였다.
宴罷,肅辭出城,連夜歸寨,具言前事。瑜曰:「劉琦正青春年少,如何便得他死?這荊州何日得還?」肅曰:「都督放心。只在魯肅身上,務要討荊,襄還東吳。」瑜曰:「子敬有何高見?」肅曰:「吾觀劉琦過於酒色,病入膏肓,現今面色羸瘦,氣喘嘔血;不過半年,其人必死。那時往取荊州,劉備須無得推故。」
연회를 마치고 노숙이 하직하고 성을 나가 밤을 새워 영채로 돌아가 앞의 일을 모두 말하였다. 주유가 말하기를 “유기는 바로 청춘으로 나아가 어리니 언제 그가 죽을 수 있겠습니까? 이 형주를 언제 돌려받을 수 있겠습니까?”했다, 노숙이 말하기를 “도독께서는 마음을 놓으십시오. (이는)저에게 달려있는 것이니 형주와 양양을 토벌하여 동오가 돌려받는 것에 힘쓰겠습니다.”했다. 주유가 말하기를 “노숙은 어떨 훌륭한 견해가 있습니까?”하니 노숙이 말하기를 “내가 보니 유기는 주색이 지나쳐 병이 고황에 들어 지금 얼굴색이 파리하고 숨이 차고 피를 토하니 반년이 지나지 않아 그 사람은 반드시 죽을 것입니다. 그 때 가서 형주를 취하면 유현덕은 반드시 핑계대지 못할 것입니다.”했다.
周瑜猶自忿氣未消,忽孫權遣使至。瑜令請入。使曰:「主公圍合淝,累戰不捷。特令都督收回大軍,且撥兵赴合淝相助。」周瑜只得班師回柴桑養病,令程普部領戰船士卒,來合淝聽孫權調用。
주유는 아직 분노의 기운이 사라지지 않고 있을 때 홀연히 손권이 보애 사자가 이르렀다. 주유가 들어 올 것을 청하게 했다. 사자가 말하기를 “주공께서 합비를 포위하고 여러 번 싸웠으나 승리하지 못하였습니다. 특히 도독께서 대군을 거두어 돌아와 군대를 파견하여 합비에 달려와 돕도록 명령하셨습니다.”했다. 주유가 군대를 돌려 시상에 돌아와 병을 치료하면서 정보로 하여금 거느리고 있는 전선과 사졸들을 거느리고 가 손권이 군대를 운용하는 명령을 따르게 했다.
卻說劉玄德自得荊州,南郡,襄陽,心中大喜,商議久遠之計。忽見一人上廳獻策,視之,乃伊籍也。玄德感其舊日之恩,十分相敬,坐而問之。籍曰:「要知荊州久遠之計,何不求賢士以問之?」玄德曰:「賢士安在?」籍曰:「荊,襄馬氏兄弟五人,並有才名。幼者名謖,字幼常。其最賢者,眉間有白毛,名良,字季常。鄉里為之諺曰:『馬氏五常,白眉最良。』公何不求此人而與之謀?」
각설하고 유현덕은 형주, 남군, 양양을 얻고 나서 마음속으로 크게 기뻐하며 오래할 수 있는 계책을 상의하였다. 홀연히 한 사람이 대청에 올라 계책을 바쳤다. 그 사람을 보니 곧 이적이었다. 유현덕이 옛날의 은혜를 생각해 내고는 매우 공경하면서 자리에 앉아 그것을 물었다. 이적이 말하기를 “형주를 오래 소유할 수 있는 계책을 알고자 하면서 어찌하여 현명한 선비를 찾아 묻지 않습니까?”했다. 유현덕이 말하기를 “연명한 선비는 어디에 있습니까?”하니 이적이 말하기를 “형주와 양양의 마씨 형제 다섯 사람은 나란히 재능이 있다는 이름이 있습니다. 막내는 이름은 속이고, 자는 유상입니다. 그 중에 가장 현명한 자는 눈썹 사이에 흰 털이 있는데 이름은 량이고, 자는 계상입니다. 마을에서는 그들에 대하여 ‘마씨 오형제 중에 백미가 가장 훌륭하다.’합니다. 공(유현덕)은 어찌하여 이 사람을 청하여 그와 함께 도모하지 않으십니까?”했다.
玄德遂命請之。馬良至,玄德優禮相待,請問保守荊,襄之策。良曰:「荊襄四面受敵之地,恐不可久守。可令公子劉琦於此養病,招諭舊人以守之,就表奏公子為荊州刺史,以安民心;然後南征武陵,長沙,桂陽,零陵四郡,積收錢糧,以為根本。此久遠之計也。」
유현덕이 마침내 그를 청하게 했다. 마량이 이르자 특별한 예로 대접하고 형주와 양양을 보존하고 지킬 계책을 물었다. 마량이 말하기를 “형주와 양양은 사면으로 족을 받는 땅으로 오래 지킬 수 없을 것이 걱정됩니다. 공자 유기로 하여금 여기에서 병을 치료하면서 옛 사람들을 불러들여 지키게 하고, (황제에게)표를 올려 공자를 형주자사로 삼아 민심을 안정시킨 연후에 남쪽으로 무릉, 장사, 계양, 영릉 네가 군은 정벌하여 전량을 거두고 쌓는 것으로서 근본을 삼아야 합니다. 이것이 오래 할 수 있는 계책입니다.”했다.
玄德大喜,遂問:「四郡當先取何郡?」良曰:「湘江之西,零陵最近,可先取之。次取武陵。然後湘江之東取桂陽。長沙為後。」玄德遂用馬良為從事,伊籍副之;請孔明商議送劉琦回襄陽,替雲長回荊州;便調兵取零陵,差張飛為先鋒,趙雲合後,孔明,玄德為中軍,人馬一萬五千;留雲長守荊州;糜竺,劉封守江陵。
유현덕이 크게 기뻐하면서 묻기를 “네 개 군중에 어느 군을 먼저 취하는 것이 마땅합니까?”했다. 마량이 말하기를 “상강의 서쪽은 영릉과 가장 가까우니 먼저 그것을 취하여야 합니다. 다음으로 무릉을 취하여야 합니다. 그런 후에 상강의 동쪽의 계양을 취하고, 장사를 뒤로 해야 합니다.”했다. 유현덕이 마침내 마량을 등용하여 종사로 삼고, 이적을 다음으로 하였다. 제갈공명이 유기를 환송하여 양양으로 돌려보낼 것을 청하고 관운장을 바꾸어 형주에 돌려보냈다. 곧 군사를 뽑아 영릉을 취하려 하여 장비를 보내 선봉으로 삼고, 조자룡으로 합후를 삼고, 제갈공명, 유현덕은 중군이 되었는데 인마는 일만오천이었다. 관운장은 머물러 형주를 지키게 하고, 미축, 유봉은 강릉을 지키게 하였다.
卻說零陵太守劉度,聞玄德軍馬到來,乃與其子劉賢商議。賢曰:「父親放心。他雖有張飛,趙雲之勇,我本州上那邢道榮,力敵萬人,可以抵對。」劉度遂命劉賢與邢道榮引兵萬餘,離城三十里,依山靠水下寨。探馬報說:「孔明自引一軍到來。」道榮便引軍出戰。兩陣對圓,道榮出馬,手使開山大斧,厲聲高叫:「反賊安敢侵我境界!」只見對陣中,一簇黃旗。門旗開處,推出一輛四輪車。車中端坐一人,頭戴綸巾,身披鶴氅,手執羽扇,用扇招邢道榮曰:「吾乃南陽諸葛孔明也。曹操引百萬之眾,被吾略施小計,殺得片甲不回。汝等豈可與我對敵?我今來招安汝等,何不早降?」
각설하고 영릉태수 유도는 유현덕의 군마가 온다는 것을 듣고 곧 그 아들 유현과 상의하였다. 유현이 말하기를 “아버지는 마음을 놓으십시오. 그가 비록 장비와 조자룡의 용맹함이 있으나 우리 영릉의 상나(장) 형도형은 힘이 만 명의 사람을 대적할 수 있으니 대적할 수 있습니다.”했다. 유도가 유현과 형도영으로 하여금 군대 만여 명을 거느리고 성으로부터 삼십리 떨어진 곳에 가서 산아래 물을 끼고서 영채를 세우게 했다. 척후병이 보고하기를 “제갈공명이 스스로 한 부대를 이끌고 왔습니다.”했다. 형도영이 곧 군대를 이끌고 출전하였다. 양쪽이 대치하여 둥글게 진을 치니, 형도영이 말을 타고 나와 평소 쓰던 개산도끼를 들고 성난 목소리로 크게 소리치기를 “반적은 어찌하여 감히 나의 경계를 침범하는가!”했다. 맞은 편 진에서 한 무더기의 황색 깃발을 든 한 무리의 군사들이 진영 문 깃발이 열린 곳에 한 대의 사륜거를 밀고 나오는 것을 보았다. 수레 안에는 단정히 한 사람이 앉았는데 머리에는 윤건을 쓰고, 몸에는 학창의를 입었으며, 손에는 깃털 부채를 잡고 있었다. 부채를 써서 형도영을 부르며 말하기를 “나는 곧 남양의 제갈공명이다. 조조가 백만의 무리를 이끌고도 내가 대략 베푼 작은 계책에 빠져 죽음을 당하여 한조각 갑옷도 돌아가지 못하였다. 너희들이 어떻게 나와 대적할 수 있겠는가? 내가 지금 와서 너희들을 불러 편안히 하려하는데 어찌하여 빠르게 항복하지 않는가?”했다.
道榮大笑曰:「赤壁鏖兵,乃周郎之謀也,干汝何事,敢來誑語!」輪大斧竟奔孔明。孔明便回車,望陣中走,陣門復閉。道榮直衝殺過來,陣勢急分兩下而走。道榮遙望中央一簇黃旗,料是孔明,乃只望黃旗而趕。抹過山腳,黃旗劄住,忽地中央分開,不見四輪車,只見一將挺矛躍馬,大喝一聲,直取道榮,乃張翼德也。道榮輪大斧來迎,戰不數合,氣力不加,撥馬便走。翼德隨後趕來,喊聲大震,兩下伏兵齊出。道榮捨死衝過,前面一員大將,攔住去路,大叫:「認得常山趙子龍否?」
형도영이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적벽에서 군대를 무찌른 것은 곧 주유의 꾀로 네가 무슨 일에 관여하였다고 감히 와서 허풍을 떠는가!”하고는 큰 도끼를 돌리며 마침내 제갈공명에게 달려왔다. 제갈공명이 곧 수레를 돌려 진을 향하여 달려가니 진의 문이 다시 닫혔다. 형도영이 곧바로 치고 지나가니 진의 형세가 급히 둘로 나누어지면서 달아났다. 형도영은 멀리 중앙에 있는 한 무리의 황색 깃발을 바라보고는 이가 제갈공명일 것이라 생각하고는 곧 황색 깃발을 바라보며 쫓아갔다. 산기슭을 지나 모퉁이를 돌자 황색 깃발이 멈추면서 홀연히 땅 중앙이 나뉘어 갈라졌는데 사륜거는 보이지 않았다. 다만 한 장수가 창을 내밀고 말을 달려오면서 한 소리를 크게 외치면서 곧바로 형도영을 취하였으니 곧 장비였다. 형도영이 큰 도끼를 돌리면서 맞이하여 몇 합 싸우지 못하고 기력에 더함이 없어(기력이 다하여) 말을 돌려 달아났다. 장비가 뒤를 쫓아 가는데 함성이 크게 진동하면서 양쪽에서 복병들이 일제히 나왔다. 형도영이 목숨을 걸고 치고 지나가는데 앞 쪽에서 한 명의 장수가 가는 길을 막으며 크게 외치기를 “상산 조자룡을 아는가?”했다.
道榮料敵不過,又無處奔走,只得下馬請降。子龍縛來寨中見玄德,孔明。玄德喝教斬首。孔明急止之,問道榮曰:「汝若與我捉了劉賢,便准你投降。」道榮連聲願往。孔明曰:「你用何法捉他?」道榮曰:「軍師若肯放某回去,某自有巧說。今晚軍師引兵劫寨,某為內應,活捉劉賢,獻與軍師。劉賢既擒,劉度自降矣。」玄德不信其言。孔明曰:「邢將軍非謬言也。」遂放道榮歸。道榮得放回寨,將前事實訴劉賢。賢曰:「如之奈何?」道榮曰:「可將計就計。今夜將兵伏於寨外。寨中虛立旗旛,待孔明來劫寨,就而擒之。」
형도영이 적을 대적할 수 없고, 또한 달아날 곳도 없다는 것을 헤아리고는 말에서 내려 항복을 청하였다. 조자룡이 묶어 영채 안으로 와서 유현덕과 제갈공명을 뵈었다. 유현덕이 큰 소리로 머릴 베라고 명하였다. 제갈공명이 급히 저지하고, 형도영에게 물어 말하기를 “네가 만약 나에게 유현을 잡아 준다면 곧 항복하는 것을 허락하겠다.”했다. 형도영이 연이은 소리로 가기를 원하였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너는 어떤 방법을 써서 그를 잡으려 하는가?”하니 형도영이 말하기를 “군사께서 만약 즐겨 저를 놓아 돌아가게 하여주시면 저에게 교묘한 말이 있습니다. 오늘 저녁 군사께서 군대를 이끌고 영채를 빼앗으시면 제가 안에서 응하여 산채로 유현을 잡아 군사께 바치겠습니다. 유현을 사로잡은 후에는 유도가 스스로 항복할 것이다.”했다. 유현덕은 그 말을 믿지 않았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형장군이 헛된 말을 한 것은 아닙니다.”하고는 마침내형도영을 놓아 돌려보냈다. 형도영이 석방되어 영채로 돌아 앞의 일을 실재대로 유현에게 말하였다. 유현이 말하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하니 형도영이 말하기를 “그들의 계책을 역으로 이용해야 합니다. 오늘 밤 영채 밖에 군대를 숨겨두고, 영채 안에는 헛된 깃발을 세우고 제갈공명이 와 영채를 빼앗으려 하는 것을 기다렸다 나아가 그를 사로잡겠습니다.” 했다.
劉賢依計。當夜二更,果然有一彪軍到寨口,每人各帶草把,一齊放火。劉賢,道榮兩下殺來,放火軍便退,劉賢,道榮,兩軍乘勢追趕,趕了十幾里,軍皆不見。劉賢,道榮大驚,急回本寨,只見火光未滅,寨中突出一將,乃張翼德也。劉賢叫道榮:「不可入寨,卻去劫孔明寨便了。」於是復回軍。走不十里,趙雲引一軍刺斜裏殺出,一槍刺道榮於馬下。劉賢急撥馬奔走,背後張飛趕來,活捉過馬,綁縛見孔明。賢告曰:「邢道榮教某如此,實非本心也。」孔明令釋其縛,與衣穿了,賜酒壓驚,教人送入城說父投降;如其不降,打破城池,滿門盡誅。
유현이 계책을 따랐다. 그날 밤 이경에 과연 한 데의 군대가 영채 입구에 이르렀는데 각각의 사람들이 풀을 가지고 일제히 불을 질렀다. 유현과 형도영이 양쪽에서 달려 나오니 불을 지른 군대는 곧 물러나고 유현과 형도영의 두 군대는 형세를 타고 뒤쫓았다. 십 몇 리를 쫓았으나 군대가 모두 보이지 않았다. 유현이 형도영에게 부르짖기를 “영채에 들어갈 수 없으니 제갈공명의 영채로 가서 빼앗으면 된다.”했다. 이에 다시 군대를 돌렸다. 달려간 지 십리가 되지 않아 조자룡이 한 군대를 이끌고 비스듬히 달려들어 오면서 한 창으로 형도영을 찔러 말에서 떨어뜨렸다. 유현이 급히 말을 돌려 달아나는데 뒤에서 장비가 쫓아 와 산채로 지나가는 말을 잡아 묶어 제갈공명을 만났다. 유현이 고하여 말하기를 “형도영이 나로 하여금 이와 같이 하게하였고, 실로 본래 마음이 아니었습니다.” 제갈공명이 그 묶은 것을 풀어주게 하고, 옷을 주어 입게 하고, 술을 내려 마음을 진정시키게 한 다음 사람을 시켜 성에 들여보내 아버지가 항복해 들어오도록 설득하게 했다. 만약 그가 항복하지 않는다면 성지를 쳐서 깨트리고, 문에는 온 집안을 무도 죽이겠다고 했다.
劉賢回零陵見父劉度,備述孔明之德,勸父投降。度從之,遂於城上豎起降旗,大開城門,齎捧印綬出城,竟投玄德大寨納降。孔明教劉度仍為郡守,其子劉賢赴荊州隨軍辦事。零陵一郡居民,盡皆喜悅。
유현이 영릉에 돌아와 아버지 유도를 뵙고 제갈공명의 덕을 갖추어 말하고, 아버지에게 투항할 것을 권하였다. 유도가 그를 따라 마침내 성위에 항복하는 깃발을 세운 후 크게 성문을 열고 인수를 가지고 성을 나가 마침내 유현덕의 큰 영채에 들어 가 항복하였다. 제갈공명이 유도로 하여금 그대로 군수가 되게 하고, 그 아들 유현은 형주에 데려가 군대를 따라다니며 일을 보게 하였다. 영릉 한 군의 군민들이 모두 기뻐하였다.
玄德入城安撫己畢,賞勞三軍,乃問眾將曰:「零陵已取了,桂陽郡何了敢取?」趙雲應曰:「某願往。」張飛奮然出曰:「飛亦願往!」二人相爭。孔明曰:「終是子龍先應,只教子龍去。」張飛不服,定要去取。孔明教拈鬮,拈著的便去。又是子軍拈著。張飛怒曰:「我並不要人相幫,只獨領三千軍去,穩取城池。」趙雲曰:「某也只領三千軍去。如不得城,願受軍令。」
유현덕이 성에 들어가 (군민을)위로하기를 마친 후 삼군에게 상을 주고 위로하고 여러 장수들에게 물어 말하기를 “영릉을 이미 취하였는데 계양군은 감히 어떻게 취하겠는가?”하니 조자룡이 대답하기를 “제가 가기를 원합니다.”했다. 장비가 분연히 나와 말하기를 “제가 또한 가기를 원합니다.”하며 두 사람이 서로 다투었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아무래도 조자룡이 먼저 응하였으니 조자룡이 가게 할 것이다.”했다. 장비가 수긍하지 않고 반드시 가서 취할 것이라 했다. 제갈공명이 제비를 뽑게 하여 뽑힌 사람이 가게 하였다. 또 조자룡이 뽑혔다. 장비가 노하여 말하기를 “나는 아울러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다만 홀로 삼천의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확실히 성지를 취할 것입니다.”했다. 조자룡이 말하기를 “저는 삼천의 군대를 거느리고 가겠습니다. 만약 성을 얻지 못한다면 군령을 받기를 원합니다.”했다.
孔明大喜,責寫軍令狀,選三千精兵付趙雲去。張飛不服,玄德喝退。趙雲領了三千人馬,徑往桂陽進發。
제갈공명이 크게 기뻐하며 군령장을 받아내고는 삼천 명의 정예군대를 뽑아 조자룡에게 주어 가게 하였다. 장비가 불복하자 유현덕이 꾸짖어 물리쳤다. 조자룡이 삼천의 인마를 거느리고 빠르게 계양을 향해 출발하였다.
早有探馬報知桂陽太守趙範。範急聚眾商議。管軍校尉陳應、鮑隆願領兵出戰。原來二人都是桂陽嶺山鄉獵戶出身,陳應會使飛叉,鮑隆曾射殺雙虎。二人自恃勇力,乃對趙範曰:“劉備若來,某二人願爲前部。”趙範曰:“我聞劉玄德乃大漢皇叔;更兼孔明多謀,關、張極勇;今領兵來的趙子龍,在當陽長阪百萬軍中,如入無人之境。我桂陽能有多少人馬?不可迎敵,只可投降。”應曰:“某請出戰。若擒不得趙雲,那時任太守投降不遲”
곧 바로 척후가 계양태수 조범에게 보고하였다. 조범이 급히 무리를 모아 상의하였다. 관군교위 진응, 포륭이 군대를 거느리고 출전하기를 원하였다. 원래 두 사람은 모두 계양 연산향의 사냥꾼 출신인데 진응은 비차를 잘 쓰고, 포륭은 일찍이 호랑이 두 마리를 쏘아 죽인 적이 있었다. 두 사람은 스스로 용력을 믿고 조범을 마주하고 말하기를 “유현덕이 만약 온다면 우리 두 사람은 앞의 부대를 지휘할 것을 원합니다.”했다. 조범이 말하기를 “내가 들으니 유현덕은 곧 대 한나라의 황숙이고, 겸하여 제갈공명은 꾀가 많으며, 관운장, 장비는 지극히 용맹하며, 지금 군대를 거느리고 오는 조자룡은 당양 장판에서 백만 군대 속을 마치 사람이 없는 것처럼 들어갔다고 한다. 우리 계양에 다소의 인마가 있다고 하나 적을 맞아 싸울 수 없으니 항복하는 것이 낫다.”했다. 진응이 말하기를 “제가 출전하기를 청합니다. 만약 조자룡을 사로잡지 못한다면 그 때 태수께서는 항복하여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했다.
趙範拗不過,只得應允。陳應領三千人馬出城迎敵,早望見趙雲領軍來到。陳應列成陣勢,飛馬綽叉而出。趙雲挺槍出馬,責罵陳應曰:「吾主劉玄德,乃劉景升之弟。今輔公子劉琦同領荊州,特來撫民。汝何故迎敵?」陳應罵曰:「我等只服曹丞相,豈順劉備!」趙雲大怒,挺槍驟馬,直取陳應,應撚叉來迎。
조범이 (진응의 청을)꺽을 수 없어 허락하였다. 진응이 삼천 명의 인마를 거느리고 성을 나가 적을 맞이하려 하여 멀리서 곧 조자룡이 군대를 거느리고 오는 것을 보았다. 진응이 진을 친 후 비차를 들고 날 듯이 말을 달려 나갔다. 조자룡이 창을 들고 말을 몰아 나오면서 진응을 꾸짖어 말하기를 “우리 주공 유현덕은 유표의 동생이다. 지금 공자 유기를 도와 함께 형주를 함께 다스리며 특히 백성을 위로하러 왔다. 너는 무슨 이유로 맞아 대적하려 하는가?”했다. 진응이 욕하며 말하기를 “우리들은 단지 조승상에게 복종할 뿐이지 어찌 유현덕을 따르리오!”했다. 조자룡이 크게 노하여 창을 내밀고 말을 몰아 곧바로 진응을 취하니 진응이 비차를 비틀며 와서 맞이하였다.
兩馬相交,戰到四五合,陳應料敵不過,撥馬便走。趙雲追趕。陳應回顧趙雲馬來相近,用飛叉擲去,被趙雲接住,回擲陳應。應急躲過,雲馬早到,將陳應活捉過馬,擲於地下,喝軍士綁縛回寨。敗軍四散奔走。雲入寨叱陳應曰:「量汝安敢敵我!我今不殺汝,放汝回去;說與趙範,早來投降。」
두 말이 서로 엇갈리며 싸운 지 사, 오합에 진응이 대적할 수 없다는 것을 헤아리고는 말을 달려 달아났다. 조자룡이 뒤쫓았다. 진응이 돌아보니 조자룡의 말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어 비차를 던졌는데 조자룡이 받아서 되돌려 진응에게 던졌다. 진응이 급히 피했으나 조자룡의 말이 바로 이르러 진응을 사로잡고 말을 지나 땅에 던지니 군사들에게 소리쳐 묶어 영채로 돌아갔다. 패함 군대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달아났다. 조자룡이 영채에 들어가 진응을 꾸짖어 말하기를 “너는 어찌 감히 나를 대적하려 생각하였는가! 나는 지금 너를 죽이지 않고 너를 놓아 줄 것이니 돌아가 조범을 설득하여 빨리 와서 항복하게 하라.”했다.
陳應謝罪,抱頭鼠竄,回到城中,對趙範盡言其事。範曰:「我本欲降,汝強要戰,以致如此。」遂叱退陳應,齎捧印綬,引十數騎出城投大寨納降。雲出寨迎接,待以賓禮,置酒共飲,納了印綬。酒至數巡,範曰:「將軍姓趙,某亦姓趙。五百年前,合是一家。將軍乃真定人,某亦真定人,又是同鄉。倘得不棄,結為兄弟,實為萬幸。」雲大喜,各敘年庚。雲與範同年。雲長範四個月,範遂拜雲為兄。二人同鄉,同年,又同姓,十分相得。至晚席散,範辭回城。
진응이 사죄하고 쥐새끼처럼 머리를 싸고 도망하여 돌아가 성 안에 이르러 조범을 대하여 그 일들을 모두 말하였다. 조범이 말하기를 “나는 본래 항복하려 하였는데 네가 억지로 싸울 것을 청하였기 때문에 이 같음에 이르렀다.”했다. 마침내 진응을 질책하여 물리치고 인수를 가지고 수십 기를 이끌고 성을 나가 큰 영채에 들어가 항복을 받아 달라 하였다. 조자룡이 영채를 나가 영접하고 빈객의 예로 대우하고 술을 내어 함께 마시면서 인수를 받아들였다. 술잔을 몇 차례 돌린 후 조범이 말하기를 “장군의 성이 조씨이니 내가 또한 성이 조씨입니다. 오백년 전에는 합하여 한 가문이었을 것입니다. 장군은 곧 진정 사람이고, 내가 또한 진정 사람이니 또한 같은 지역 사람입니다. 만약 버리지 ㅇ낳으신다면 맺어 형제가 될 수 있으면 실로 다행이겠습니다.”했다. 조자룡이 크게 기뻐하며 각기 나이를 따져보았다. 조자룡과 조범은 나이가 같았으나 조자룡이 조범보다 사 개월이 많았기 때문에 조범이 마침내 조자룡에게 절하고 형을 삼았다. 두 사람은 같은 고을 사람으로 나이가 같고, 또 성이 같아 매우 서로 사이가 좋았다. 저녁이 되자 자리를 거두고 조범은 하직하고 성으로 돌아갔다.
次日,範請雲入城安民。雲教軍士休動,只帶五十騎隨入城中。居民執香伏道而接。雲安民畢,趙範邀請入衙飲宴。酒至半酣,範復邀雲入後堂深處,洗盞更酌。雲飲微醉,範忽請一婦人,與雲把酒。子龍見婦人身穿縞素,有傾國傾城之色,乃問範曰:「此何人也?」範曰:「家嫂樊氏也。」子龍改容敬之。樊氏把盞畢,範令就坐。雲辭謝。樊氏辭歸後堂。
다음 날 조범은 조운이 성에 들어와 백성을 위로할 것을 청하였다. 조운은 군사로 하여금 움직이지 말라 하고, 다만 오십 기만을 데리고 성안으로 들어갔다. 살고 있던 백성들이 향을 잡고 길에 엎드려 영접하였다. 조자룡이 백성들을 위로하기를 마치자 조범이 조자룡을 맞아 관아에 들어가 연회를 열어 술을 마셨다. 술이 얼큰해 졌을 때 조범이 다시 조자룡을 맞아 후당 깊은 곳에 들어 가 잔을 씻고 다시 대작하였다. 조자룡이 조금 취하자 조범이 홀연히 한 부인을 청하여 조운에게 술을 권하게 하였다. 조자룡이 부인을 보니 몸에는 흰 비단 옷을 입었는데 나라를 기우리고, 성을 기우릴만한 미색이었다. 이에 조범에게 물어 말하기를 “이는 어떤 사람입니까?”하니 조범이 말하기를 “집안 형수인 번씨입니다.”했다. 조자룡이 얼굴색을 고치고 그를 공경하였다. 전씨가 술잔을 잡기를 마치자 조범이 앞으로 나와 앉게 하였다. 조자룡이 거절하였다. 번씨가 헤어져 후당으로 돌아 갔다.
雲曰:「賢弟何必煩令嫂舉盃耶?」範笑曰:「中間有個緣故,乞兄勿阻。先兄棄世已三載,家嫂寡居,終非了局,弟常勸其改嫁。嫂曰:『若得三件事兼全之人,我方嫁之:第一要文武雙全,名聞天下;第二要相貌堂堂,威儀出眾;第三要與家兄同姓。』你道天下那得有這般湊巧的?今尊兄堂堂儀表,名震四海,又與家兄同姓,正兮家嫂所言。若不嫌家嫂貌陋,願備嫁資,與將軍為妻,結累世之親,何如?」
조자룡이 말하기를 “아우는 어찌하여 번거롭게 형수로 하여금 잔을 들게 할 필요가 있는가?”하니 조범이 웃으며 말하기를 “중간에 연고가 있으니 형님께서는 걱정하지 마십시오. 돌아가신 형님이 세상을 버린 지 이미 삼년이 지났고, 형수가 홀로 살며 끝내 생을 마칠 수 없기에 제가 평소에 그 개가를 권하여 왔습니다. 형수가 말하기를 ‘만약 세 가지 일을 겸하여 갖춘 사람이 있다면 내가 비로소 개가할 것입니다. 첫 번째 요건은 문무를 같이 갖추었다는 명성이 천하에 알려지는 것이고, 두 번째 요건은 모습이 당당하여 위의가 출중한 것이고, 세 번째 요건은 형님과 같은 성이어야 합니다.’했습니다. 아시겠지만 천하에 이런 공교로운 요건을 갖춘 사람이 있겠습니까? 지금 형님은 위의가 당당하고, 이름이 사해에 떨치며, 또한 형님과 성이 같으니 바로 형수가 말한 바입니다. 만약 형수 모습이 비루함을 싫어하지 않으신다면 혼수를 갖추어 장군에게 주어 처로 삼아 여러 세대의 친함을 맺고자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했다.
雲聞言大怒而起,厲聲曰:「吾既與汝結為兄弟,汝嫂即吾嫂也,豈可作此亂人倫之事乎!」趙範羞慚滿面,答曰:「我好意相待,如何這般無禮!」遂目視左右,有相害之意。雲已覺,一拳打倒趙範,逕出府門,上馬出城去了。
조자룡이 말을 듣고 크게 노하여 일어나면서 성난 목소리로 말하기를 “내가 이미 너와 형제가 되었으니 너의 형수는 곧 나의 형수이다. 어찌 인륜을 어지럽히는 일을 할 수 있겠는가!”했다. 조범이 얼굴 가득 부끄러운 기색을 나타내며 답하여 말하기를 “나는 좋은 뜻으로 대하였는데 어찌 이렇게 무례하시오!”하고는 마침내 눈으로 좌우를 보는데 해칠 뜻이 있었다. 조자룡이 이미 깨닫고, 한 주먹으로 조범을 때려 거꾸러뜨리고는 재빨리 부문을 나와 말에 올라 성을 나갔다.
範急喚陳應,鮑隆(龍)商議。應曰:「這人發怒去了,只索與他廝殺。」範曰:「但恐贏他不得。」鮑隆(龍)曰:「我兩個詐降到他軍中,太守卻引兵來搦戰,我二人就陣上擒之。」陳應曰:「必須帶些人馬。」龍曰:「五百騎足矣。」
조범이 급히 진응과 포융(룡)을 불러 상의하였다. 진응이 말하기를 “이 사람이 노하여 갔으니 부득이 그와 싸워야 한다.”했다. 조범이 말하기를 “글르 이기지 못할까 두렵다.”하니 포륭(룡)이 말하기를 “우리 둘이 거짓으로 항복하여 그의 군중에 갈 것이니 태수께서 군대를 이끌고 와 싸움을 걸면 우리 두 사람이 진에 나아가 그를 사로잡겠습니다.”했다. 진응이 말하기를 “반드시 약간의 인마를 데려가야 합니다.”했다. 포룡이 말하기를 “오백 기이면 충분합니다.”했다.
當夜二人引五百軍逕投趙雲寨來投降。雲已心知其詐,遂教喚入。二將到帳下說:「趙範欲用美人計賺將軍,只等將軍醉了,扶入後堂謀殺,將頭去曹丞相處獻功,如此不仁。某二人見將軍怒出,必連累於某,因此投降。」
그날 밤 두 사람이 오백의 군대를 이끌고 빠르게 조자룡의 영채로 들어와 항복하였다. 조운은 이미 마음속으로 그 거짓을 알고 마침내 불러 들어오게 하였다. 두 장수가 장막에 이르러 말하기를 “조범이 미인계를 써서 장군을 속이고, 장군이 취하면 부축하여 후당에 들어가 죽여서 머리를 가지고 조 승상에게 전리품으로 바치려 하였으니 이같이 인하지 못합니다. 우리 두 사람은 장군께서 노하여 나가시는 것을 보니 반드시 우리들에게 연루 될 것이기 때문에 항복하는 것입니다.”했다.
趙雲佯喜,置酒與二人痛飲。二人大醉,雲乃縛於帳中,擒其手下人問之,果是詐降。雲喚五百軍人,各賜酒食,傳令曰:「要害我者,陳應,鮑龍也;不干眾人之事。汝等聽吾行計,皆有重賞。」眾軍拜謝,將降將陳,鮑二人,當時斬了;卻教五百軍引路,雲引一千軍在後,連夜到桂陽城下叫門。
조자룡이 거짓으로 기뻐하며 술을 두고 두 사람과 술을 마음껏 마셨다. 두 사람이 크게 취하자 조자룡은 곧 장막 안에서 묶고 그 수하를 잡아 물으니 과연 위장 항복이었다. 조자룡이 오백 명의 군대를 불러 각각 술과 밥을 주고 명령하여 말하기를 “나를 해치려 한 자는 진응과 포룡으로 여러 사람들이 간여한 일 아니다. 너희들은 내가 계책을 행하는 것을 따르면 모두에게 많은 상이 있을 것이다.”했다. 여러 군사들이 절하고 감사했다. 항복한 장수 진응과 포룡 두 사람을 데려가 즉시 목을 베었다. 그리고 오백 명의 군사들로 하여금 길을 인도하게 하고, 조자룡은 이천 명의 군사들을 이끌고 뒤에 있으면서 밤을 새워 계양성 아래 이르러 문을 열라고 외쳤다.
城上聽時,說陳,鮑二將軍殺了趙雲回軍,請太守商議事務。城上將火照看,果是自家軍馬。趙範急忙出城,雲喝左右捉下遂入城安撫百姓。已定,飛報玄德。玄德與孔明親赴桂陽。雲迎接入城,推趙範於階下。孔明問之,範備言以嫂許嫁之事。孔明謂雲曰:「此亦美事,公何如此?」雲曰:「趙範既與某結為兄弟,今若娶其嫂,惹人唾罵,一也;其婦再嫁,使失大節,二也;趙範初降,其心難測,三也。主公新定江漢,枕席未安,雲安敢以一婦人而廢主公之大事?」
성 위에서 이를 들으니 진응과 포룡 두 장군이 조자룡을 죽이고 군대를 돌려왔으니 태수와 일을 상의할 것을 청한다고 말했다. 성 위에서 불을 들고 비추어보니 과연 이들은 자기들의 군마였다. 조범이 급히 성을 나가니 조자룡이 좌우에게 소리쳐 잡게 하고는 마침내 성에 들어가 백성을 위로하였다. (성 안을)안정시킨 후 유현덕에게 보고하였다. 유현덕과 제갈공명이 친히 계양에 나아갔다. 조자룡이 영접하여 성에 들어가 조범을 계단 아래에서 힐난하였다. 제갈공명이 물으니 조범이 형수를 개가시키려 한일을 갖추어 말하였다. 제갈공명이 조자룡에게 일러 말하기를 “이는 또한 좋은 일인데 공은 어떻게 생각합니까?”했다. 조자룡이 말하기를 “조범이 이미 저와 맺어 형제가 되었는데 지금 만약 그의 형수를 아내로 삼는다면 사람들이 침을 뱃으며 꾸짖는 것을 일으킬 것이 하나요, 그 부인이 두 번 시집가 큰 절개를 잃게 하는 것이 두 번 째입니다. 조범이 처음 항복하였을 때 그 마음을 헤아리기 어려운 것이 세 번째 이유입니다. 주공께서 새롭게 강한을 평정하여 잠자리가 편안하지 않으신데 제가 어찌 감히 한 부인 때문에 주공의 큰일을 폐할 수 있겠습니까?”했다.
玄德曰:「今日大事已定,與汝娶之,若何?」雲曰:「天下女子不少,但恐名譽不立,何患無妻子乎?」玄德曰:「子龍真丈夫也!」遂釋趙範,仍令為桂陽太守,重賞趙雲。
유현덕이 말하기를 “오늘 큰 일이 이미 정해졌으니 (그 여자를) 너에게 주어 장가들게 하는 것이 어떠한가?”하니 조자룡이 말하기를 “천하에 여자가 적지 않으나 다만 명예가 서지 않을 것을 두려워할 뿐 어찌 처자가 없는 것을 근심하겠습니까?”했다. 유현덕이 말하기를 “조자룡은 장부이다!”하고는 마침내 조범을 풀어주고 곧 명령하여 계양태수를 삼고 조운에게 많은 상을 주었다.
張飛大叫曰:「偏子龍幹得功,偏我是無用之人!只撥三千軍與我去取武陵郡,活捉太守金旋來獻!」孔明大喜曰:「翼德要去不妨,但要依一件事。」正是:軍師決勝多奇策,將士爭先立戰功。未知孔明說出那一件事來,且看下文分解。
장비가 크게 소리쳐 말하기를 “조자룡만 공을 세우게 하고, 나는 쓸모없는 사람이란 말인가! 다만 삼천의 군사를 뽑아 나에게 주시면 무릉군을 취하고, 산채로 태수 김선을 잡아 와 바치겠습니다.”했다. 제갈공명이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장비가 가려하니 해되지 않습니다. 다만 한 가지 일에 의할 것을 청합니다.”했으니 바로 이러하다. 군사가 많은 기이한 계책으로 승리를 결단하니 장사들이 먼저 할 것을 다투어 전공을 세웠다. 제갈공명이 어떤 한 가지 일을 낼 것인지는 알지 못하겠다. 또한 아래 글에서 나누어 풀어보자.
'삼국연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4회 오국태가 절에서 신랑을 보고, 유황숙이 신방에서 아름다운 짝을만나다. (0) | 2020.10.27 |
---|---|
제53회 관운장는 의리로 황한승(황충)을 놓아주고, 손중모는 크게 장문원과 싸우다. (0) | 2020.09.28 |
제51회 조인은 동오 군대와 크게 싸우고, 제갈공명은 주공근(주유)을 화나게 하다. (0) | 2020.09.07 |
제50회 제갈공명의 지혜는 화용도의 일을 헤아리고, 관운장의 의리는 조조를 풀어주다. (0) | 2020.09.02 |
제49회 제갈공명은 칠성단에서 바람을 제사하고, 주유는 삼강구에서 불을 놓다. (0) | 2020.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