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八十五回:劉先主遺詔託孤兒,諸葛亮安居平五路
제85회 유선주(유현덕)는 유언으로 고아(아버지 상을 당한 이:후주 유선)를 부탁하고, 제갈량(제갈공명)은 편안히 있으면서 오로를 평정하다.
卻說章武二年夏六月,東吳陸遜,大破蜀兵於猇亭彝陵之地;先主奔回白帝城,趙雲引兵據守。忽馬良至,見大軍已敗,懊悔不及,將孔明之言,奏知先主。先主歎曰:「朕早聽丞相之言,不致今日之敗!今有何面目復回成都見群臣乎!」遂傳旨就白帝城駐紮,將館驛改為永安宮。人報馮習、張南、傅彤、程畿、沙摩柯等皆歿於王事,先主傷感不已。又近臣奏稱:「黃權引江北之兵,降魏去了。陛下可將彼家屬送有司問罪。」先主曰:「黃權被吳兵隔斷在江北岸,欲歸無路,不得已降魏:是朕負權,非權負朕也。何必罪其家屬?」仍給祿米以養之。
각설하고 장무 이년 여름 유월에 동오 육손은 촉의 군대를 효정과 이릉 땅에서 크게 깨트리니 선주(유현덕)는 백제성으로 돌아가고 조운(조자룡)이 군대를 이끌고 점거하여 지켰다. 홀연히 마량이 이르러 대군이 이미 패한 것을 보고 뉘우치고 한탄해 마지않으면서 제갈공명의 말을 선주(유현덕)에게 아뢰었다. 선주(유현덕)가 탄식하며 말하기를 “짐이 일찍이 승상(제갈공명)의 마를 들었다면 오늘의 패함에는 이르지 않았을 것이다. 지금 무슨 면목으로 다시 성도에 돌아 가 여러 신하를 부겠는가!”하고는 마침내 명령을 내려 백제성에 나아가 주둔하고 관역을 고쳐 영안궁이라 하였다. 사람이 풍습, 장남, 부동, 정기, 사마가 등이 모두 왕사(왕의 일)에 죽었다고 보고하자 선주(유현덕)는 서글퍼하기를 그치지 못하였다. 또 근신이 아뢰어 말하기를 “황권이 강북의 군대를 이끌고 위나라에 항복하러 갔습니다. 폐하께서는 그들의 가족을 데려다 유사(담당관청)에 보내 죄를 물어야 합니다.”했다. 선주(유현덕)가 말하기를 “황권은 오나라 군대가 강북쪽 언덕을 막고 있어 돌아오고자 하나 길이 없어 부득이 위나라에 항복하였을 것이다. 이는 짐이 황권을 저버린 것이지 황권이 짐을 저버린 것이 아니다. 어찌 그 가족에게 죄를 물을 필요가 있겠는가?”하고는 녹미를 주어 부양했다.
卻說黃權降魏,諸將引見曹丕。丕曰:「卿今降朕,欲追慕於陳、韓耶?」權泣而奏曰:「臣受蜀帝之恩殊遇甚厚,令臣督諸軍於江北,被陸遜絕斷。臣歸蜀無路,降吳不可,故來投陛下。敗軍之將,免死為幸,安敢追慕於古人耶?」丕大喜,遂拜黃權為鎮南將軍。權堅辭不受。忽近臣奏曰:「有細作人自蜀中來,說蜀主將黃權家屬盡皆誅戮。」權曰:「臣與蜀主,推誠相信,知臣本心,必不肯殺臣之家小也。」丕然之。後人有詩責黃權曰:降吳不可卻降曹,忠義安能事兩朝?堪歎黃權惜一死,紫陽書法不輕饒。
각설하고 황권이 위나라에 항복하자 여러 장수들이 인도하여 조비를 뵙게 하였다. 조비가 말하기를 “경이 지금 짐에게 항복한 것은 진평과 한신을 추모하여 따르려는 것인가?”하니 황권이 눈물을 흘리며 아뢰어 말하기를 “신은 촉 황제의 특별한 은혜를 받음이 매우 두터워 신으로 하여금 여러 군사를 강북에서 감독하게 하였는데 육손에게 길이 끊어짐을 당하였습니다. 신이 촉으로 돌아가려하나 길이 없고, 오나라에 항복할 수도 없어 폐하게 들어 온 것입니다. 패한 군대의 장수로 죽음을 면하는 것만도 다행인데 어찌 감히 옛 사람을 추모하여 따르겠습니까?”했다. 조비가 크게 기뻐하며 마침내 황권에게 벼슬을 주어 진남장군으로 삼았다. 황권은 굳게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홀연히 근신이 아뢰어 말하기를 “첩자가 촉에서 왔는데 촉주(유현덕)가 황권의 가족을 데려다 모두 죽였다고 말하였습니다.”했다. 황권이 말하기를 “신과 촉주(유현덕)는 정성으로 대하고 서로 믿어, 신의 본심을 알기 때문에 신의 가족을 죽이지 않을 것이 틀림없습니다.”했다. 조비가 그렇게 여겼다. 후세 사람이 시를 지어 황권을 꾸짖어 말하기를 “오나라에 항복할 수 없다며 도리어 조씨(조비)에게 항복하니 충성과 의리상 어찌 두 조정을 섬길 수 있는가? 황권이 한 번 죽음을 아끼니 자양서법에는 간단히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했다.
曹丕問賈詡曰:「朕欲一統天下:先取蜀乎?先取吳乎?」詡曰:「劉備雄才,更兼諸葛亮善能治國;東吳孫權,能識虛實,陸遜見屯兵於險要隔江泛湖,皆難卒謀。以臣觀之,諸將之中,皆無孫權、劉備敵手。雖以陛下天威臨之,亦未見萬全之勢也。只可持守,以待二國之變。」
조비가 가후에게 물어 말하기를 “짐은 천하를 통일하려하는데 촉을 먼저 취하여야 하는가? 오를 먼저 취하여야 하는가?”하니 가후가 말하기를 “유비(유현덕)는 영웅의 재능을 지녔고, 다시 겸하여 제갈량(제갈공명)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있습니다. 동오의 손권은 허실을 알고 있고, 육손이 험한 요해처에 주둔하여 강을 사이하고 호수가 넓으니 모두 갑자기 도모하기 어렵습니다. 신이 관찰하건데 여러 장수들 중에는 모두 손권과 유비(유현덕)의 적수가 없습니다. 비록 폐하께서 하늘의 위엄으로 임할지라도 또한 만전(온전한 형세)의 형세를 나타내지 못할 것입니다. 다만 지키는 것으로서 두 나라에 변이 있기를 기다려야 합니다.”했다.
丕曰:「朕已遣三路大兵伐吳,安有不勝之理?」尚書劉曄曰:「近東吳陸遜,新破蜀兵七十萬,上下齊心,更有江湖之阻,不可卒制。」陸遜多謀,必有準備。」丕曰:「卿前勸朕伐吳,今又諫阻,何也?」曄曰:「時有不同也:昔東吳累敗於蜀,其勢頓挫,故可擊耳;今既獲全勝,銳氣百倍,未可攻也。」
조비가 말하기를 “짐이 이미 세 길로 대군을 보내 오나라를 치게 하였는데 어찌 이기지 못 할리가 있겠는가?”했다. 상서 유엽이 말하기를 “최근 동오의 육손이 새롭게 촉의 군대 칠십만을 깨트려 상하가 마음을 같이하고 있고, 다시 강과 호수의 막힘이 있어 갑자기 제어할 수 없고, 육손은 꾀가 많으니 준비가 있을 것입니다.”했다. 조비가 말하기를 “경은 앞서 짐에게 오를 치라고 권하더니 지금은 또한 간하여 막으니 왜인가?”하니 유엽이 말하기를 “때가 같지 않음이 있습니다. 옛날 동오는 촉에게 여러 번 패하여 그 형세가 갑자기 꺽였기 때문에 칠 수 있었을 뿐입니다. 지금은 이미 완전한 승리를 하여 날카로운 기운이 백배이니 공격할 수 없습니다.”했다.
丕曰:「朕意已決,卿勿復言。」遂引御林軍親往接應三路兵馬。早有哨馬報說東吳已有準備:令呂範引兵拒住曹休,諸葛瑾引兵在南郡拒住曹真,朱桓引兵當住濡須以拒曹仁。劉曄曰:「既有準備,去恐無益。」丕不從,引兵而去。
조비가 말하기를 “짐의 뜻이 이미 결정되었으니 경은 다시 말하지 말라.”했다. 마침내 어림군을 이끌고 친히 세 길의 병마를 접응하러 갔다. 바로 정찰병이 동오가 이미 준비가 있어 여범으로 하여금 군대를 이끌고 조휴를 막게 하고, 제갈근으로 하여금 군대를 이끌고 남군에 있으면서 조진을 막게 하고, 주환은 군대를 이끌고 유수에 주둔하는 것으로서 조인을 막게 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유엽이 말하기를 “이미 준비가 있으니 가도 이익이 없을까 두렵습니다.”했으나 조비는 따르지 않은 채 군대를 이끌고 갔다.
卻說吳將朱桓,年方二十七歲,極有膽略,孫權甚愛之;時督軍於濡須,聞曹仁引大軍去取羨溪,桓遂盡撥軍守把羨溪去了,止留五千騎守城。忽報曹仁令大將常雕同諸葛虔、王雙,引五萬精兵飛奔濡須城來。眾軍皆有懼色。
각설하고 오나라 장수 주환은 나이가 이십칠 세로 지극히 담력과 계략이 있어 손권이 매우 그를 사랑하였다. 이 때 (주환은) 유수에서 군대를 감독하고 있었는데 조인이 대군을 이끌고 가서 선계를 취하려 한다는 것을 듣자 주환은 마침내 군대를 모두 동원하여 선계를 지키러 가면서 다만 오천의 기병을 남겨 성을 지키게 하였다. 홀연히 조인이 대장 상조로 하여금 제갈건, 왕쌍과 함께 오만의 정예군대를 이끌고 유수성으로 달려온다고 보고하였다. (주환의 )여러 군사들이 모두 두려워하는 기색이 있었다.
桓按劍而言曰:「勝負在將,不在兵之多寡。兵法云;『客兵倍而主兵半者,主兵尚能勝於客兵。』今曹仁千里跋涉,人馬疲困。吾與汝等,共據高城,南臨大江,北背山險,以逸待勞,以主制客:以主制客;此乃百戰百勝之勢。雖曹丕自來,尚不足憂,況仁等耶?」於是傳令,教眾軍偃旗息鼓,只作無人守把之狀。
주환이 검을 만지며 말하기를 “이기고 지는 것은 장수에게 달려있고, 군대의 많고 적음에 있지 않다. 병법에 ‘객병(공격하는 군대)이 배이고, 주병(수비하는 군대)이 반이라면 오히려 객병을 이길 수 있다.’했다. 지금 조인은 천리를 산을 넘고 물을 건너 왔으니 인마가 피곤하다. 나와 너희들이 함께 높은 성에 기대었고, 남쪽으로 큰 강을 임하였고, 북쪽으로는 산의 험함을 등지고 있다. (우리는)편안함으로서 피로함을 기다리니 주병(수비군)으로서 객병(공격군)을 제어하는 것이니 이는 곧 백번 싸우면 백번을 이기는 형세이다. 비록 조비가 직접 오더라도 오히려 근심할 것이 없는데 하물며 조인 따위이겠는가?”하고는 이에 명령을 내려 많은 군사로 하여금 깃발을 넘어뜨리고 북을 치지 말아 지키는 사람이 없는 모습을 만들게 했다.
且說魏將先鋒常雕,領精兵來取濡須城,遙望城上並無軍馬。雕催軍急進,離城不遠,一聲砲響,旌旗齊豎。朱桓橫刀飛馬而出,直取常雕。戰不三合,被桓一刀斬常雕於馬下。吳兵乘勢衝殺一陣,魏兵大敗,死者無數。朱桓大勝,得了無數旌旗軍器戰馬。曹仁領兵隨後到來,卻被吳兵從羨溪殺出。曹仁大敗而退,回見魏主,細奏大敗之事。丕大驚。
각설하고 위나라 장수 선봉 상조가 정예군대를 거느리고 유수성을 취하러 와 멀리 성 위에 군마가 없는 것을 바라보았다. 상조는 군대를 재촉하여 급히 진군하는데 성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았을 때 한 소리 포가 울리고 깃발이 일제히 세워졌다. 주환이 칼을 빗겨들고 빠르게 말을 몰아 나와 곧바로 상조를 취하려 하였다. 싸운 지 삼합이 되지 않아 주환이 한 칼에 상조를 베어 말에서 떨어뜨렸다. 오나라 군사들이 형세를 타고 한바탕 치고 죽이니 위나라 군대가 크게 패하여 죽은 자가 헤아릴 수 없었다. 주환이 크게 이기고 헤아릴 수 ᅟᅥᆹ는 깃발과 무기, 전마를 얻었다. 조인이 군대를 거느리고 뒤를 따라 왔으나 도리어 오나라 군대가 선계로부터 쏟아져 나왔다. 조인이 크게 패하고 물러났다. 돌아와 위나라 임금을 뵙고 크게 패한 일을 자세히 아뢰니 조비가 크게 놀랐다.
正議之間,忽探馬報:「曹真、夏侯尚圍了南郡,被陸遜伏兵於內,諸葛瑾伏兵於外,內外夾攻,因此大敗。」言未畢,忽探馬又報:「曹休亦被呂範殺敗。」丕聽知三路兵敗,乃喟然歎曰:「朕不聽賈詡、劉曄之言,果有此敗!」時值夏天,大疫流行,馬步軍十死六七,遂引軍回洛陽。吳、魏自此不和。
논의 하는 사이에 홀연히 정찰병이 보고하기를 “조진, 하후상이 남군을 포위하였으나 육손의 복병은 안에서, 제갈근의 복병은 밖에서 협공하니 이 때문에 크게 패하였습니다.”했다. 말을 마치지도 않았는데 홀연히 정찰병이 또 보고하기를 “조후가 또한 여범에게 죽고 패하였습니다.”했다. 조비가 세 길의 군대가 패한 것을 들어 알고는 이에 위연히 탄식하여 말하기를 “짐이 가후와 유엽을 따르지 않아 과연 이 패함이 있구나!”했다. 때는 한 여름으로 역병이 크게 유행하여 기병과 보병 열명 중에 육, 칠 명이 죽으니 마침내 군대를 이끌고 낙양에 돌아갔다. 오나라와 위나라가 이로부터 和하지 않았다.
卻說先主在永安宮染病不起,漸漸沈重。至章武三年夏四月,先主知病入四肢;又哭關、張二弟,其病愈深,兩目昏花,厭見侍從之人;乃叱退左右,獨臥於龍榻之上。忽然陰風驟起,將燈吹搖,滅而復明。只見橙影之下,二人侍立。先主怒曰;「朕心緒不寧,教汝等且退,何故又來!」叱之不退。先主起而視之:上首乃雲長,下首乃翼德也。先主大驚曰:「二弟原來尚在!」雲長曰:「臣等非人,乃是鬼也。上帝以臣二人平生不失信義,皆敕命為神。哥哥與兄弟聚會不遠矣。」
각설하고 선주(유현덕)는 영안궁에 있었는데 병이 들어 일어나지 못하고 점점 심해졌다. 장무 삼년 여름 사월에 이르러 선주(유현덕)는 병이 사지(팔과 다리)에 들어갔음을 알았고, 또 관운장, 장비 두 아우를 울며 부르니 그 병이 더욱 깊어지면서 두 눈이 어두워지고, 시종하는 사람 보기를 싫어하였다. 이에 좌우를 질책하여 물리치고 홀로 용탁 위에 누웠다. 홀연히 서늘한 바람이 불면서 등불이 흔들리며 꺼질듯하다가 다시 밝아졌다. 평상 아래를 보니 두 사람이 시립하고 있었다. 선주(유현덕)가 노하여 말하기를 “짐의 마음이 편안하지 않아 너희들로 하여금 물러나게 하였는데 무슨 이유로 또 왔는가?”하고 그들을 질책하였으나 물러나지 않았다. 선주(유현덕)가 일어나 그들을 보니 윗자리는 곧 운장(관운장)이고, 아래 자리는 곧 익덕(장비)이었다. 선주(유현덕)가 크게 놀라 말하기를 “두 동생은 알고 보니 아직도 살아 있구나!”하니 운장(관운장)이 말하기를 “신들은 사람이 아니라 곧 귀신입니다. 상제께서 신들 두 사람이 평생동안 신의를 잃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칙명으로 신이 되었습니다. 형님은 형제들과 모여 만날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했다.
先主扯定大哭。忽然驚覺:二弟不見。即喚從人問之,時正三更。先主歎曰:「朕不久於人世矣!」遂遣使往成都,請丞相諸葛亮、尚書令李嚴等,星夜來永安宮,聽受遺命。孔明等與先主次子魯王劉永、梁王劉理,來永安宮見帝,留太子劉禪守成都。且說孔明到永安宮,見先主病危,慌忙拜伏於龍榻之下。先主傳旨,請孔明坐於龍榻之側,撫其背曰:「朕自得丞相,幸成帝業;何期智識淺陋,不納丞相之言,自取其敗。悔恨成疾,死在旦夕。嗣子孱弱,不得不以大事相託。」言訖,淚流滿面。孔明亦涕泣曰:「願陛下善保龍體,以副天下之望!」
선주(유현덕)가 끌어당기며 크게 곡하다(크게 울다) 홀연히 놀라 깨니 두 동생이 보이지 않았다. 곧 종인(시종)을 불러 물었는데 때는 전 삼경이었다. 선주(유현덕)가 탄식하여 말하기를 “짐이 인간 세상에 있는 때가 멀지 않았구나!”하고는 마침내 사람을 보내 성도에 가 승상 제갈량(제갈공명), 상서령 이엄 등을 청해 밤을 새워 영안궁에 와 유명(유언)을 듣게 하였다. 제갈공명 등은 선주(유현덕)의 둘째 아들 노왕 유영, 양왕 유리와 함께 영안궁에 와 황제(유현덕)을 뵙고, 태자 유선은 머물러 성도를 지켰다. 각설하고 제갈공명이 영안궁에 이르러 선주(유현덕)의 병이 위태로움을 보고 황망히 용탑 아래에 엎드렸다. 선주(유현덕)가 명을 내려 제갈공명을 청해 용탑의 옆에 앉게 하고는 그 등을 쓰다듬으며 말하기를 “짐이 승상을 얻어 다행히 제업을 이루었으나 지식이 얕고 비루함을 생각하지 않고, 승상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아 스스로 그 무너짐을 취하였습니다. 뉘우침이 병이 되어 죽음이 아침저녁에 달렸습니다. 사자(후계자)가 연약하고 무능하니 대사를 부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하는 말을 마치고 눈물을 흘려 얼굴에 가득하였다. 제갈공명이 또한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폐하께서는 용체(임금의 신체)를 잘 보존하시어 천하의 바람에 부응하기를 원합니다.”했다.
先主以目遍視,只見馬良之弟馬謖在傍,先主令且退。謖退出,先主謂孔明曰:「丞相觀馬謖之才何如?」孔明曰:「此人亦當世之英才也。」先主曰:「不然。朕觀此人,言過其實,不可大用。丞相宜深察之。」
선주(유현덕)가 눈으로 둘러보다 마량의 동생 마속이 곁에 있는 것을 보고 선주(유현덕)가 물러가게 하였다. 마속이 물러나가자 선주(유현덕)가 제갈공명에게 일러 말하기를 “승상께서는 마속의 재능을 관찰해 보니 어떠합니까?”하니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이 사람은 또한 당대의 영재입니다.”했다. 선주(유현덕)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습니다. 짐이 이 사람을 관찰해보니 말이 그 실제보다 지나치니 크게 쓸 수 없습니다. 승상께서는 마땅히 깊이 살펴야 합니다.”했다.
分付畢,傳旨召諸臣入殿,取紙筆寫了遺詔,遞與孔明而歎曰:「朕不讀書,粗知大略。聖人云:『鳥之將死,其鳴也哀;人之將死,其言也善。』朕本待與卿等同滅曹賊,共扶漢室;不幸中道而別。煩丞相將詔付與太子禪,令勿以為常言。凡事更望丞相之!」
부탁을 마치고 명령을 내려 여러 신하를 불러 전각에 들게 하고 종이와 붓을 가져다 유조(유언)를 써서 전하여 제갈공명에게 주고 탄식하여 말하기를 “짐이 글을 읽지 않아 큰 책략을 대략적으로 알 뿐입니다. 성인이 말하기를 ‘새가 장차 죽을 때는 그 울음이 슬프고, 사람이 장차 죽으려할 때는 그 말이 선하다.’했습니다. 짐은 본래 경들과 함께 조적(조조)을 없애고 함께 한나라 황실을 부축하려 하였는데 불행히도 중도에 이별하게 되었다. 번거롭지만 승상은 유조를 태자 선(유선, 후주)에게 주고, 평범한 말로 여기지 말아주십시오. 모든 일은 승상이 하기를 바랍니다.”했다.
孔明等泣拜於地曰:「願陛下將息龍體!臣等盡施犬馬之勞,以報陛下知遇之恩也。」先主命內侍扶起孔明,一手掩淚,一手執其手,曰:「朕今死矣!有心腹之言相告!」孔明曰:「有何聖諭?」先主泣曰:「君才十倍曹丕,必能安邦定國,終定大事。若嗣子可輔,則輔之;如其不才,君可自為成都之主。」
제갈공명 등이 눈물을 흘리며 땅에서 절하며 말하기를 “페하께서는 용체(임금의 몸)를 쉬십시오! 신들은 견마지로를 다하는 것으로서 폐하께서 알아주시고 대우해 주신 은혜를 갚겠습니다.”했다. 선주(유현덕)가 내시로 하여금 제갈공명을 부축해 일으키게 하고 한 손으로는 눈물을 닦고, 한 손으로는 그 손을 잡고 말하기를 “짐은 지금 죽을 것이다! 마음속에 있는 말을 알릴 것이다.!”하니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무슨 성스러운 깨우침이 있습니까?”했다. 선주(유현덕)가 울면서 말하기를 “그대의 재능은 조비보다 열 배 뛰어나니 반드시 나라를 안정시키고 마침내 대사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사자(후계자)가 보필할 만하면 그를 보필하고, 만약 그 재능이 아니면 그대가 스스로 성도의 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했다.
孔明聽畢,汗流遍體,手足失措,泣拜於地曰:「臣安敢不竭股肱之力,效忠貞之節,繼之以死乎!」言訖,叩頭流血。先主又請孔明坐於榻上,喚魯王劉永、梁王劉理近前,分付曰:「爾等皆記朕言,朕亡之後,爾兄弟三人,皆以父事丞相,不可怠慢。」言罷,遂命二王同拜孔明。二王拜畢,孔明曰:「臣雖肝腦塗地,安能報知遇之恩也!」
제갈공명이 듣기를 마치자 땀이 온 몸에 흐르고 손과 발을 둘 곳이 찾지 못하고(어쩔 줄 몰라 하며) 울며 땅에서 절하며 말하기를 “신이 어찌 감히 고굉의 힘을 다하고, 충정의 절개를 본 받아 죽음으로서 (유현덕의 뜻)잇지 않겠습니까?”했다. 말을 마치고 머리를 찧으니 피가 흘렀다. 선주(유현덕)가 또 제갈공명을 청해 탑 위에 앉게 하고 노왕 유영, 양왕 유리를 앞에 가까이 불러 분부해 말하기를 “너희들은 모두 짐의 말을 기억하였다가 짐이 죽은 후 너희 형제 세 사람은 모두 아버지로 승상 섬기기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하는 말을 마치고 마침내 두 왕으로 하여금 제갈공명에게 절하게 하였다. 두 왕이 절하기를 마치자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신이 비록 간뇌가 땅에 뿌려질지라도 어찌 알아주시고 잘 대우해 주신 은혜를 갚지 않겠습니까?”했다.
先主謂眾官曰:「朕已託孤於丞相,令嗣子以父事之。卿等俱不可怠慢,以負朕望。」又囑趙雲曰:「朕與卿於患難之中,相從到今,不想於此地分別。卿可想朕故交,早晚看覷吾子,勿負朕言。」雲泣拜曰:「臣敢不效犬馬之勞!」先主又謂眾官曰:「卿等眾官,朕不能一一分囑,願皆自愛。」言畢,駕崩,壽六十三歲:時章武三年四月二十四日也。後杜工部有詩歎曰:蜀主窺吳向三峽,崩年亦在永安宮。翠華想在空山外,玉殿虛無野室中。古廟杉松巢水鶴,歲時伏臘走村翁。武侯祠屋長鄰近,一體君臣祭祀同。
선주(유현덕)가 여러 관리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짐이 이미 승상에게 아버지를 잃은 이를 부탁하고, 자식들로 하여금 아버지로 섬기게 하였다. 경들은 모두 태만히 하여 짐의 바람을 저버리지 말아야 할 것이다.”하고, 또 조운(조자룡)에게 부탁하여 말하기를 “짐과 경은 환난 중에서도 서로 따르며 지금에 이르렀는데 생각지 않게 이 땅에서 헤어지게 되었다. 경은 짐과 오래 사귄 것을 생각하여 아침저녁으로 내 자식을 지켜보며, 짐의 말을 저버리지 말라.”했다. 조운이 눈물을 흘리며 절하고 말하기를 “신이 감히 견마의 수고로움을 드러내지 않겠습니까?”했다. 선주(유현덕) 또 여러 관리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경들 여러 관리에게 짐이 일일이 나누어 부탁할 수 없으니 모두 스스로를 아끼기를 원한다.”하는 말을 마치고 (붕어하니)숨을 거두니 나이는 육십삼세이고, 때는 장무 삼년 사월 이십사일이었다. 후에 두공부(두보)가 시를 지어 탄식하기를 “촉주(유현덕)가 오를 엿보아 삼협을 향하다, 붕어할 때 또한 영안궁에 있었다. 천자의 출정 깃발은 빈 산 밖에 있고, 옥전(궁전)은 들판 가운데 비어있다. 옛 사당의 전나무에는 학이 깃들고, 절기에 따라 촌 늙은이 달려온다. 무후사(제갈공명의 사당)가 오래 가까이 있으니 임금과 신하는 한 몸이라 제사를 함께한다.”했다.
先主駕崩,文武官僚,無不哀傷,孔明率眾官奉梓宮還成都。太子劉禪出城迎接靈柩,安於正殿之內。舉哀行禮畢,開讀遺詔。詔曰:朕初得疾,但下痢耳;後轉生雜病,殆不自濟。朕聞「人年五十,不稱夭壽」。今朕六十有餘,死復何恨。但以汝兄弟為念耳。勉之!勉之!勿以惡小而為之,勿以善小而不為。惟賢惟德可以服人;汝父德薄,不足效也吾亡之後,汝與丞相從事,事之如父,勿怠!勿忘!汝兄弟更求聞達,至囑!至囑!
선주(유현덕)가 붕어하자 문무관료들은 슬퍼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제갈공명은 여러 관리들을 통솔하여 유현덕의 관을 받들고 성도로 돌아갔다. 태자 유선이 성을 나와 영구를 맞이하여 정전 안에 안치하고 곡하는 예를 마치고 유조(유언)를 열어 읽었다. 유조에 말하기를“짐이 처음에 병을 얻었을 때는 다만 이질이었을 뿐인데 후에 여러 가지 병이 생겨나 위태로워져 스스로 구제하지 못하였다. 짐이 들으니 ‘사람의 나이 오십이면 절음 나이에 죽는다고 말하지 않는다.’했다. 지금 짐의 나이 육십이 넘었으니 죽어도 다시 무엇을 한탄하겠는가? 다만 너희 형제를 생각할 뿐이다. 힘쓰라! 힘쓰라! 악은 적다하여 하지 말고, 선은 적다하여 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오직 허진 더덕만이 다른 사람을 복종시킬 수 있다. 너희들 아비는 덕이 적어 내가 죽은 후 본받기에 부족하니 너희들은 승상과 서로 일에 종사하여 그를 섬기기를 아버지와 같이 하여 태만히 하지 말고 잊지 말라! 너희 형제들은 다시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기를 구하기를 지극히 부탁한다. 지극히 부탁한다.”했다.
群臣讀詔已畢。孔明曰:「『國不可一日無君』請立嗣君,以承漢統。」乃立太子禪即皇帝諡位,改元建興。加諸葛亮為武鄉侯,領益州牧。葬先主於惠陵,諡曰昭烈皇帝。尊皇后吳氏為皇太后。甘夫人為昭烈皇后。糜夫人亦追諡為皇后。陞賞群臣,大郝天下。
여러 신하들이 유조 읽기를 마쳤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나라에는 하루라도 임금이 없어서는 안 됩니다.’하고 사군(후계자, 태자)을 세우는 것으로서 한나라 전통을 계승할 것을 청합니다.”했다. 이에 태자 유선을 세워 황제의 지위에 오르게 하고 연호를 고처 건흥이라 하였다. 제갈량(제갈량)의 (작을)더하여 무향후로 삼아 익주목을 관할하게 하였다. 선주(유현덕)를 혜릉에 장례하고 시호를 소열황제라 하고, 황후 오씨를 높여 황태후라 하고, 감부인은 소열황후라 하고, 미부인 또한 시호를 추증하여 황후로 삼았다. 여러 신하를 승진시키고 상을 주고 천하에 크게 사면하였다.
早有魏軍探知此事,報入中原。近臣奏知魏主。曹丕大喜曰:「劉備已亡,朕無憂矣。何不乘其國中無主,起兵伐之?」賈詡諫曰:「劉備亡,必託孤於諸葛亮。亮感備知遇之恩,必傾心竭力,扶持嗣主。陛下不可倉卒伐之。」
일찍이 위나라 군대가 이 일을 알아내어 중원에 보고하였다. 가까이 모시는 신하가 위나라 임금에게 아뢰어 알렸다. 조비가 크게 기뻐하며 말하기를 “유비(유현덕)가 이미 죽었으니 짐은 근심할 것이 없어졌다. 어찌 그 나라에 임금이 없는 틈을 타서 군대를 일으켜 정벌하지 않겠는가?”하니 가후가 간하여 말하기를 “유비(유현덕)가 죽었으니 반드시 아버지를 잃은 이(후주 유선)를 제갈량(제갈공명)에게 부탁하였을 것입니다. 제갈량(제갈공명)은 유비(유현덕)의 은혜에 감동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마음을 기우리고 힘을 다하여 이은 임금을 보필할 것입니다. 폐하께서는 갑자기 그를 쳐서는 안 됩니다.”했다.
正言間,忽一人從班部中奮然而出曰:「不乘此時進兵,更待何時?」眾視之,乃司馬懿也。丕大喜,遂問計於懿。懿曰:「若只起中國之兵,急難取勝。須用五路大兵,四面夾攻,令諸葛亮首尾不能救應,然後可圖。」
말을 하고 있는 사이에 홀연히 한 사람이 줄 안에서 분연히 나와 말하기를 “이런 때를 타서 진군하지 않는다면 다시 어느 때를 기다리겠습니까?”했다. 무리들이 그를 보니 곧 사마의였다. 조비가 크게 기뻐하며 마침내 사마의에게 계책을 물었다. 사마의가 말하기를 “만약 중국의 군대만을 일으켜 급히 승리하기는 어렵습니다. 반드시 오로의 대병을 써서 사방에서 협공하여 제갈량(제갈공명)으로 하여금 앞뒤로 대응하지 못하게 한 후에 도모할 수 있습니다.” 했다.
丕問何五路?懿曰:「可修書一封,差使往遼東鮮卑國,王軻比能,賂以金帛,令起遼西羌兵十萬,先從旱路取西平關:此一路也。再修書遣使齎官誥賞賜,直入南蠻見蠻王孟獲,令起兵十萬,攻打益州、永昌、牂牁、越雋四郡,以擊西川之南:此二路也。再遣使入吳修好,許以割地,令孫權起兵十萬,攻兩川夾口,徑取涪城:此三路也。又可遣使至降將孟達處,起上庸兵十萬,西攻漢中:此四路也。然後命大將軍曹真為大都督,提兵十萬,由京兆徑出陽平關取西川:此五路也。共大兵五十萬,五路並進。諸葛亮便有呂望之才,安能當此乎?」
조비가 오로가 무엇인지를 물었다. 사마의가 말하기를 “글 한 통을 써서 사자를 보내 요동의 선비국 왕 가비능에게 가서 비단을 뇌물로 주고 요서의 강족 군대 십만을 일으키게 하여 먼저 마른길(육로)를 따라 서평관을 취하게 하는 것이 일로입니다. 다시 글을 써서 사자를 보내 상을 내리는 관고(임금의 명을 적은 공문서)를 가지고 바로 남만에 들어 가 만왕 맹획을 만나 군대 십만을 일으켜 익주, 영창, 장가, 월준 네 군을 치는 것으로서 서천의 남쪽을 치게 하는 것이 이로입니다. 다시 사자를 보내 오나라에 들어 가 우호를 닦고 땅을 떼어주는 것을 허락하는 것으로서 손권으로 하여금 십만의 군대를 일으켜 양천(동천과 서천)의 협구(삼협 입구?)를 공격하고 지름길로 부성을 추하게 하는 것이 삼로입니다. 또 사자를 항복한 장수 맹달이 있는 곳에 보내 상용의 군대 십만을 일으켜 서쪽으로 한중을 공격하게 하는 것이 사로입니다. 그렇게 한 후 대장군 조진을 대도독으로 삼아 군대 십만을 데리고 경조로부터 지름길로 양평관을 나가 서천을 취하게 하는 것이 제 오로입니다. 큰 군대 오십만이 함께 오로를 나란히 진군합니다. 제갈량(제갈공명)이 곧 여망(주공)의 재능이 있다한들 어찌 이를 당해 내겠습니까?”했다.
丕大喜,隨即密遣能言官四員為使前去;又命曹真為大都督,領兵十萬,逕取陽平關。此時張遼等一班舊將,皆封列侯,俱在冀、徐、青及合淝等處,據守關津隘口,故不復調用。卻說蜀漢後主劉禪,自即位以來,舊臣多有病亡者,不能細說。凡一應朝廷、選法、錢糧、詞訟等事,皆聽諸葛丞相裁處。時後主未立皇后。孔明與群臣上言曰:「故車騎將軍張飛之女甚賢,年十七歲,可納為正宮皇后。」後主即納之。
조비는 크게 기뻐하며 즉시 비밀리에 말 잘하는 관리 네 명을 사자로 삼아 앞에 가게하고, 또 조진을 대도독으로 삼아 십만의 군대를 거느리게 하여 빠른 길로 양평관을 취하게 하였다. 이 때 장요 등 한 무리의 장수들은 모두 열후에 봉해져 모두 기주, 서주, 청주와 합비 등에 있으면서 관과 진의 애구(요충지)를 차치하여 지키고 있었기 때문에 다시 등용되지 못하였다. 각설하고 촉한은 후주 유선이 즉위한 이래 옛 신하들이 병들고 죽은 자가 많아 자세히 말할 수 없다. 무릇 조정, 선법(관리를 선발하는 법), 전량(재정), 사송(소송) 등의 일은모두 제갈(제갈공명) 승상이 처리하는 것을 따랐다. 이 때 후주는 아직 황후를 세우지 못하고 있었다. 공명(제갈공명)과 여러 신하들이 아뢰기를 “옛 거기장군 장비의 딸이 매우 어질고, 나이가 십칠세로 들여 정궁의 황후로 삼을만합니다.”하니 후주가 곧 받아들였다.
建興元年秋八月,忽有邊報說:「魏調五路大兵,來取西川:第一路,曹真為大都督,起兵十萬,取陽平關;第二路,乃反將孟達,起上庸兵十萬,犯漢中;第三路,乃東吳孫權,起精兵十萬,取峽口入川;第四路,乃蠻王孟獲,起蠻兵十萬,犯益州四郡;第五路,乃番王軻比能,起羌兵十萬,犯西平關 此五路軍馬,甚是利害。已先報知丞相,丞相不知為何,數日不出視事。」
건흥 원년 가을 팔월 갑자기 변경에서 보고하기를 “위나라가 오로의 큰 군대를 동원해 와서 서천을 취하려 하는데 제 일로는 조진이 대도독이 되어 군대 십만을 일으켜 양평관을 취하려하고, 제 이로는 곧 배반한 장수 맹달이 상용의 군대 십만을 일으켜 한중을 범하려하고, 제 삼로는 곧 동오 손권이 정예군대 십만을 일으켜 삼협의 입구를 취하여 천(동천, 서천)에 들어오려 하고, 제 사로는 곧 만왕 맹달이 만병 십만을 일으켜 익주 사군을 범하려 하고, 제 오로는 곧 번왕 가비능이 강족 군대 십만을 일으켜 서평관을 범하려 하는데 이 오로의 군마(의 기세)가 매우 맹렬합니다. 이미 먼저 승상께 보고하였으나 승상께서도 어떻게 할지 알지 못하는지 몇일 동안이나 일을 보러 나오지 않습니다.”했다.
後主聽罷大驚,即差近侍齎旨,宣召孔明入朝。使命去了半日,「回報丞相府下人言,丞相染病不出。」後主轉慌;次日,又命黃門侍郎董允、諫議大夫杜瓊,去丞相臥榻前,告此大事。董、杜二人,到丞相府前,皆不得入。杜瓊曰:「先帝託孤於丞相,今主上初豋寶位,被曹丕五路兵犯境,軍情至急,丞相何故推病不出?」良久,門吏傳丞相令,言:「病體稍可,明早出都堂議事。」董、杜二人歎息而回。
후주(유선)이 듣기를 마치고 크게 놀라 즉시 근시를 보내 명령을 가지고 제갈공명을 불러 조정에 들어오도록 했다. 임금의 명을 받은 사람이 간지 한 나절만에 돌아와 보고하기를 “승상부 소속 사람이 승상이 병이 들어 나오지 못한다고 말하였습니다.”했다. 후주가 더욱 당황하여 다음 날 또 황문시랑 동윤, 간의대부 두찬으로 하여금 승상이 누워있는 침상 앞으로 사 이 큰일을 알리게 하였다. 동윤과 두찬 두 사람이 승상부 앞에 이르렀으나 모두 들어갈 수 없었다. 두찬이 말하기를 “선제(유현덕)께서 고(아버지를 잃은 이: 후주 유선)를 승상께 부탁하셨습니다. 지금 주상(후주 유선)께서 처음 보위(황제 자리)에 올랐는데 조비의 오로의 군대가 국경을 침범함을 당하여 군대의 정세가 지극히 급합니다. 승상께서는 무슨 이유로 병을 핑계로 나오지 않는 것입니까?”했다. 오래 지난 후에 문리(문지기)가 승상의 명령을 전하여 말하기를 “병든 몸이 조금 나아졌으니 내일 일찍 도당에 나가 일을 의논할 것입니다.”했다. 동윤과 두찬 두 사람이 탄식하며 돌아갔다.
次日,多官又來丞相府前伺侯。從早至晚,又不見出。眾官惶惶,只得散去。杜瓊入奏後主曰:「請陛下聖駕,親往丞相府問計。」後主即引多官入宮,啟皇太后。太后大驚,曰:「丞相何故如此?有負先帝委託之情也!我當自往。」董允奏曰:「娘娘未可輕往。臣料丞相必有有高明之見。且待主上先往。如困怠慢,請娘娘於太廟中,召丞相問之未遲。」太后依奏。
다음 날 많은 관리들이 또한 승상부 앞에 와서 동정을 보며 기다렸다. 아침부터 저녁에 이르러도 또한 나오지 않았다. 여러 관리들이 불안해 떨며 흩어져 갔다. 두찬이 후주에게 들어 가 아뢰어 말하기를 “폐하께서 가마를 타고 직접 승상부에 가서 계책을 물을 것을 청합니다.”했다. 후주(유선)가 곧 많은 관리를 이끌고 궁에 들어 가 황태후에게 알렸다, 태후가 크게 놀라 말하기를 “승상이 무슨 이유로 이 같이 하는가? 선제께서 맡기고 부탁한 것을 저버리는 사정이 있는가! 내가 마땅히 스스로 갈 것이다.”했다. 동윤이 아뢰어 말하기를 “낭낭(임금의 어머니)께서는 가벼이 가서는 안 됩니다. 신은 승상이 반드시 고명한 견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우선 주상(후주 유선)께서 먼저 가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만약 태만함이 있다면 낭낭께서 태묘 안으로 청하여 승상을 불러 물어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했다. 태후가 (동윤이 아뢰는 것에) 의거하였다.
次日,後主車駕親至相府。門吏見駕到,慌忙拜伏於地而迎。後主問曰;「丞相在何處?」門吏曰:「不知在何處。只有丞相鈞旨,教擋住百官,勿得輒入。」後主乃下車步行,獨進第三重門,見孔明獨倚竹杖,在小池邊觀魚。後主在後立久,乃徐徐而言曰:「丞相安樂否?」孔明回顧,見是後主,慌忙棄杖,拜伏於地曰:「臣該萬死!」後主扶起,問曰;「今曹丕分兵五路,犯境甚急,相父緣何不肯出府視事?」 孔明大笑,扶後主入內室坐定,奏曰:「五路兵至,臣安得不知?臣非觀魚,有所思也。」後主曰:「如之奈何?」孔明曰:「羌王軻比能,蠻王孟獲,反將孟達,魏將曹真:此四路兵,臣已皆退去了也。止有孫權這一路兵,臣已有退兵之計,但須一能言之人為使。因未得其人,故熟思之。陛下憂乎?」
다음 날 후주(유선)가 직접 수레를 타고 승상부에 이르렀다. 문리(문지기)가 임금의 수레가 이르는 것을 보고 황급히 땅에 졸라며 엎드려 맞이하였다. 후주(유선)가 물어 말하기를 “승상은 어디에 있는가?”하니 문리(문지기)가 말하기를 “어느 곳에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다만 승상의 뜻이 있으니 백관을 막아 들이지 말라고 하였습니다.”했다. 후주(유선)가 이에 수레에서 내려 걸어서 홀로 삼중의 문으로 나아가니 제갈공명이 홀로 지팡이를 짚고 작은 연못가에서 물고기를 보고 있는 것을 보았다. 후주(유선)가 뒤에 오래 서 있다가 이에 천천히 말하기를 “승상은 편안하셨습니까?”했다. 제갈공명이 돌아보다 후주(유선)를 보고는 황급히 지팡이를 버리고 땅에 절하며 엎드려 말하기를 “신이 만 번 죽음에 해당합니다.”했다. 후주(유선)이 부축하여 일으키며 물어 말하기를 “지금 조비가 군대를 다섯 길로 나누어 국경을 침범하여 매우 급한데 상부께서는 어찌하여 기꺼이 일을 보러 부를 나오지 않습니까?” 했다. 제갈공명이 크게 웃고는 후주(유선)를 부축하여 내실에 들어 가 않아 아뢰어 말하기를 “오로의 군대가 이르는 것을 신이 어찌 알지 못하였겠습니까? 신은 물고기를 본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바가 있었습니다.”했다. 후주(유선)이 말하기를 “어떻게 해야 합니까?”하니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강왕 가비능, 만완 맹획, 배반한 장수 맹달, 위나라 장수 조진 이 네 길의 군대는 신이 이미 모두 물러가게 하였습니다. 다만 손권 일로의 군대는 신이 이미 군대를 물리칠 계책이 있으나 다만 반드시 한 말을 잘하는 사람을 사신으로 삼아야 합니다. 아직 그 사람을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깊이 생각하고 있었을 뿐입니다. 폐하께서는 근심할 필요가 없습니다.”했다.
後主聽罷,又驚又喜,曰:「相父果有鬼神不測之機也!願聞退兵之策。」孔明曰:「先帝以陛下付託與臣,臣安敢旦夕怠慢?成都眾官,皆不曉兵法之妙,貴在使人不測,豈可洩漏於人?老臣先知西番國王軻比能,引兵犯西平關;臣料馬超積祖西川人氏,素得羌人之心,羌人以超為神威大將軍;臣已先遣一人,星夜馳檄,令馬超緊守西平關,伏四路奇兵,每日交換,以兵拒之:此一路不必憂矣。又南蠻孟獲,兵犯四邵,臣亦飛檄遣魏延領一軍左出右入,右出左入,為疑兵之計;蠻兵惟勇力,其心多疑,若見疑兵,必不敢進:此一路又不足憂矣。又知孟達引兵出漢中;孟達與李嚴曾結生死之交;臣回成都時,留李嚴守永安宮;臣已作一書,只做李嚴親筆,令人送與孟達;達必然推病不出,以慢軍心:此一路又不足憂矣。又知曹真引兵犯陽平關;此地險峻,可以保守,臣已調趙雲引一軍守把關隘,並不出戰;曹真若見我軍不出,不久自退矣。」
후주(유선)가 듣기를 마치고 또한 놀라고 또한 기뻐하여 말하기를 “상부는 과연 귀신이 헤아리지 못하는 틀이 있군요! 군대를 물리칠 계책을 듣고 싶습니다.”했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선제(유현덕)께서 폐하를 부탁하여 신과 함께하게 하셨는데 신이 어찌 감히 아침저녁으로 태만히 하겠습니까? 성도의 여러 관리들이 모두 병법의 묘함을 깨닫지 못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헤아리지 못하게 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니 어찌 다른 사람에게 누설할 수 있겠습니까? 노신이 먼저 서쪽 번국 왕 가비능이 군대를 이끌고 서평관을 침범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신이 헤아려보니 마초는 조상이 서천의 씨족으로 평소 강족 사람의 마음을 얻어 강족이 마초를 신위대장군이라 합니다. 신이 이미 먼저 한 사람을 보내 밤을 새워 격문을 가지고 치달리게 하여 마초로 하여금 서평관을 굳게 지키고 사방으로 군대를 매복시키고 매일 군대를 교대하는 것으로서 막게하였습니다. 이것이 일로를 근심할 필요가 없는 이유입니다. 또 남만 맹획의 군대가 네 고을을 침범하므로 신이 또한 격문으로 위연을 보내 일군을 거느리고 왼쪽으로 나오면 오른 쪽으로 들어가고, 오른 쪽으로 나오면 왼쪽으로 들어가 군대의 계책일까 의심하게 하였습니다. 만의 군대는 용력이 있으나 그 마음에 의심이 많으니 만약 군대가 의심스럽게 보이면 반드시 감히 진군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것이 일로이니 근심할 필요 없습니다. 또 맹달이 군대를 이끌고 한중을 나온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맹달과 이엄은 일찍이 살고 죽는 것을 같이하는 벗을 맺었습니다. 신이 성도에 돌아올 때 이엄을 남겨 영안궁을 지키게 하였습니다. 신이 이엄의 친필을 모방하여 이미 글 한 통을 써서 사람을 보내 맹달에게 주었습니다. 맹달은 반드시 병을 핑계로 나오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군대의 마음이 게을러질 것입니다. 이 일로를 또한 근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 조진이 군대를 이끌고 양평관을 침범할 것을 알았습니다. 이 땅은 험준하여 지킬만하고, 신이 이미 조운(조자룡)을 뽑아 일군을 이끌고 관의 좁은 것을 지키게 하면서 아울러 나가 싸우지 말라 하였습니다. 조진은 우리 군대가 나오지 않는 것을 본다면 오래지 않아 스스로 물러날 것입니다.”했다.
「此四路兵俱不足憂。臣尚恐不能全保,又密調關興、張苞二將,各引兵三萬,屯於緊要之處,為各路救應。此數處調遣之事,皆不曾經由成都,故無人知覺。只有東吳這一路兵,未必便動:如見四路兵勝,川中危急,必來相攻;若四路不濟,安肯動乎?臣料孫權想曹丕三路侵吳之怨,必不肯從其言。雖然如此,須用一舌辯之士,逕往東吳,以利害說之,則先退東吳;其四路之兵,何足憂乎?但未得說吳之人,臣故躊躇。何勞陛下聖駕來臨?」後主曰:「太后亦欲來見相父。今朕聞相父之言,如夢初覺,復何憂哉!」
(제갈공명이 말하기를)“이 네 길의 군대는 모두 근심할 필용 없습니다. 신이 그래도 보전하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여 또 비밀리에 관흥과 장포 두 장수를 뽑아 각각 이만의 군대를 이끌고 긴요한 곳에 주둔하여 각 길을 구원하고 대응하게 하였습니다. 이 몇 곳에 뽑아 보낸 일은 모두 일찍이 성도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다만 동오의 이 일로의 군대가 아직 곧 움직이지 않고 있으나 만약 사로의 군대가 이겨 천중이 위태롭고 급한 것을 보면 반드시 와서 서로 공격할 것입니다. 만약 사로가 이루지 못한다면(이기지 못한다면) 어찌 기꺼이 움직이겠습니까? 신이 생각하건데 손권이 조비가 세 길로 오나라를 침범한 원한을 생각한다면 반드시 기꺼이 그 말을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비록 이 같으나 반드시 말 잘하는 선비를 써서 지름길로 동오에 가 이해를 가지고 그들을 설득하여 먼저 동오를 물러나게 한다면 그 (나머지)네 길의 군대를 근심할 것이 있겠습니까? 다만 아직 오나라 사람을 설득할 수 있는 사람을 얻지 못한 것이 신이 머뭇거리는 이유이지 어찌 수고롭게 폐하의 수레가 직접 오시게 하는 것이겠습니까?”했다. 후주(유선)가 말하기를 “태후가 또한 와서 상부(제갈공명)를 뵙고자 합니다. 지금 짐이 상부(제갈공명)의 말을 들으니 마치 꿈에서 깬 것과 같으니 다시 무엇을 근심하리오!”했다.
孔明與後主共飲數杯,送後主出府。眾官皆環立於門外,見後主面有喜色。後主別了孔明,上御車回朝。眾皆疑惑不定。孔明見眾官中,一人仰天而笑,面亦有喜色。孔明視之,乃義陽新野人:姓鄧,名芝,字伯苗;現為戶部尚書;漢司馬鄧禹之後。孔明暗令人留住鄧芝。多官皆散。
제갈공명과 후주(유선)이 같이 몇 잔의 술을 마시고 후주(유선)가 부를 나가는 것을 환송하였다. 여러 관리들이 모두 문 밖에 둥글게 둘러 서 있다가 후주(유선)의 얼굴에 기뻐하는 기색을 보았다. 후주(유선)는 제갈공명과 헤어져 수레에 올라 궁으로 돌아갔다. 무리들이 모두 의혹하고 안정하지 못하였다.(어리둥절하였다.) 제갈공명이 여러 관리들 중에 한 사람을 보고는 하늘을 우러러 보며 웃었는데 얼굴에 또한 기쁜 기색이 있었다. 제갈공명이 그를 보니 곧 의양 신야 사람으로 성은 등이고, 이름은 지로 자는 백묘였다. 현재 호부상서로 현재 한나라 사마 등우의 후손이었다. 제갈공명이 몰래 사람을 시켜 등지를 머물게 하였다. 많은 관리들이 모두 흩어졌다.
孔明請芝到書院中,問芝曰:「今蜀、魏、吳鼎分三國,欲討二國,一統中興,當先伐何國?」芝曰:「以愚意論之,魏雖漢賊,其勢甚大,急難搖動,當徐徐緩圖。今主上初登寶位,民心未安,當與東吳連合結為脣齒,一洗先帝舊怨,此乃長久之計也。未審丞相鈞意若何。」孔明大笑曰:「吾思之久矣,奈未得其人,今日方得也!」芝曰:「丞相欲其人何為?」 孔明曰:「吾欲使人往結東吳。公既能明此意,必能不辱君命。使吳之任,非公不可。」芝曰:「愚才智淺,恐不堪當此重任。」孔明曰:「吾來日奏知天子,便請伯苗一行,切勿推辭。」芝應允而退。至次日,孔明奏准後主,差鄧芝往說東吳。芝拜辭,望東吳而來。正是:吳人方見干戈息,蜀使還將玉帛通。未知鄧芝此去若何,且看下文分解。
제갈공명이 등지를 청해 서원 안에 이르자 등지에게 물어 말하기를 “지금 촉, 위, 오가 솥발처럼 세 나라로 나뉘어 있는데 두 나라를 토벌하여 통일로 중흥을 이루고자 한다면 먼저 어느 나라를 쳐야 합니까?”하니 등지가 말하기를 “저의 뜻으로 논한다면 위나라가 비록 한나라의 도적이나 그 형세가 매우 크기 때문에 급히 흔들어 움직이게 하기 어렵습니다. 마땅히 천천히 느슨하게 도모해야 합니다. 지금 주상(후주 유선)께서 초음 황제 위에 올라 민심이 아직 안정되지 못하니 마땅히 동오와 연합하여 순치의 관계를 맺어(밀접한 관계)를 맺어 한 번 선제(유현덕)의 옛 원한을 씻는 이것이 오래할 계책입니다. 아직 승상(제갈공명)의 뜻이 어떠한지 살피지 못하였습니다.”했다. 제갈공명이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내가 그것을 생각한지 오래되었으나 그 사람을 얻지 못하였는데 오늘에야 비로소 얻었구나!”했다. 등지가 말하기를 “승상께서는 그 사람이 어떻게 하기를 원하십니까?”하니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나는 사람을 시켜 동오에 가 (동맹을)맺게 하고자 합니다. 공이 이미 이 뜻을 잘 알고 있으니 반드시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을 것입니다. 오나라에 사신가는 임무는 공이 아니면 할 수 없습니다.”했다. 등지가 말하기를 “저의 재능과 지혜가 얕아 이 중요한 임무를 감당하지 못할까 두렵습니다.”했다. 제갈공명이 말하기를 “내가 내일 천자께 아뢰어 백묘(등지)가 한 번 갈 것을 청할 것이니 절대로 사양하지 마십시오.”했다. 등지가 허락하고 물러났다. 다음 날에 이르러 제갈공명은 후주(유선)에게 등지를 보내 동오를 설득할 것을 아뢰었다. 등지가 절하여 하직하고 동오를 향해 갔다. 바로 이러하다. “오나라 사람들이 바야흐로 전쟁이 그치는 것을 보았는데, 촉의 사신이 다시 옥과 비단을 가지고 통하려하는구나.” 등지가 이렇게 가서 어떻게 될지 알지 못하겠구나. 또 아래 글에서 나누어 풀어보자.
'삼국연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8회 노수(금사강)을 건너 두 번째로 번왕을 결박하고(사로잡고), 거짓 항복을 알아 세 번째로 맹획을 사로잡다. (0) | 2021.06.11 |
---|---|
제87회 승상(제갈공명)이 크게 군대를 일으켜 남쪽 도적을 정벌하고, 천병(천자의 군대)에 대항하는 남쪽 오랑캐 왕(맹획)을 처음 잡다. (0) | 2021.06.03 |
제84회 육손은 칠백리 진영을 불태우고, 제갈공명은 팔진도를 교묘히 펴놓다. (0) | 2021.05.13 |
제83회 효정에서 싸워 선주는 원수를 잡고, 강어귀를 지키던 서생은 대장에 임명되다. (0) | 2021.04.28 |
제82회 손권은 위나라에 항복하고 구석(아홉가지 물건)을 받고, 선주(유현덕)는 오나라를 정벌하고 육군에게 상을 주다. (0) | 2021.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