陜川 海印寺 吉祥塔誌
(앞면)
海印寺妙吉祥塔記
해인사 묘길상탑 기
崔致遠撰.
최치원지음
唐十九帝, 中興之際, 兵凶二災, 西歇東來, 惡中惡者, 無處無也. 餓殍戰骸, 原野星排, 粤有海印寺別大德僧訓, 䀌傷痛于是, 乃用施導師之力, 誘豕衆之心, 各捨芧實一科, 共成珉甃三級. 其願輪之戒道也, 大較以護國爲先, 就是中, 特用拯拔, 寃橫沉淪之魂識, 禴祭受福, 不朽在玆. 時乾寧二年申月 旣望記.
大匠 僧蘭交.
당나라 19대 황제가 중흥을 펼칠 즈음 전쟁과 흉년 두 재앙이 서쪽(당나라)는 쉬고, 동쪽으로 와 악 중의 악이 없는 곳이 없었다. 굶어죽거나 전쟁으로 죽은 해골이 등에 별처럼 늘어 있었다. 해인사의 별대덕인 승훈이 이를 슬퍼하고 애통해하더니 곧 導師의 힘을 베풀어 돼지 같은(미혹한) 무리들의 마음을 이끌어 각기 벼 한 줌씩을 내게 하여 함께 옥돌로 삼층의 탑을 이루었다. 원하는 볍륜의 계도는 대개 호국으로서 우선을 삼는데, 이 가운데에 나아가 특히 원통하게 횡사하여 苦海에 빠진 영혼을 구제하고, 간략한 제사로 복을 받아 썩지 않고, 여기에 있는 것이다. 때는 건녕 2년(895, 진성여왕 9) 7월 16일에 기록한다. 대장은 스님인 난교이다.
(뒷면)
寧二卯年相月, 雲陽臺吉祥塔記.
石塔三層, 都高一丈三尺. 都費, 黃金三分, 水銀十一分, 銅五鋌, 鐵二百六十𥘴, 炭八十石. 作造料幷, 租百廿石.
匠士僧蘭交, 僧淸裕. 副 居弗, 堅相, 具租.
句當維那 僧性幽, 僧忍淨, 乞士釋宜.
건녕 2년(895, 진성여왕 9) 7월 윤양대 길상탑 기
석탑은 3층인데 전체 높이는 1장 3척이다. 전체 비용은 황금 3푼, 수은 11푼, 구리 5정, 철 260 칭, 숯 80석이다. 만드는 비용은 모두 조 120석이다.
장인(匠士)는 스님인 난교, 스님인 청유, 부 장인(匠士)은 거불, 구조이다.
구당유나는 스님인 성유, 스님인 인정이고, 걸사는 석의이다.
〈2〉 海印寺 護國三寶 戰亡緇素玉字
해인사 호국삼보 전망치소옥자
乾寧濁世, 於海印寺, 護國三寶, 戰亡緇素玉字, 列之如左.
判萱 芮嚴 憶惠 僧必 圭吉 鳳鶴 芮弘 東英 心用 回久 名宗 忍券 永偘 安柔 平宗 言會 正永 忩達 平達 堅必 開角 俊乂 帝光 通正 到堅 今善 珍居 希幸 安相 宗乂 旬宗 忩休 券湛 平吉 才賢 緊丁 昕海 弋如 今吉 開云 心海 利垢 安心 布弥達 其名 忩善 忩永 式然 弘吉 文永 小哀 阿祖 能信 萱吉 允言 其悅
건녕 연간 탁세에 해인사에서 나라의 삼보를 지키려 싸우다 죽은 스님과 속인의 아름다운 이름을 나열하면 왼쪽과 같다.
판훤, 예엄, 억혜, 승필, 규길, 봉학, 예홍, 동영, 심용, 회구, 명종, 인권, 영 암, 안유, 평종, 언회, 정영, 총달, 평달, 견필, 개각, 준예, 제광, 통정, 도견, 금선, 진거, 희행, 안상, 종예, 순종, 총휴, 권담, 평길, 재현, 긴정, 흔해, 익여, 금길, 개운, 심해, 이구, 안심, 포미달, 기명, 총선, 총영, 식연, 홍길, 문영, 소애, 아조, 능신, 훤길, 윤언, 기열.
〈3〉 五臺山寺 吉祥塔詞
오대산사 길상탑사
(앞면)
五臺山寺 吉祥塔詞 除序. 沙門僧訓撰.
自酉及卯, 一七年中, 方圓濁亂, 原野兵蓬.
人忘向背, 行似狼猣. 邦垂傾破, 災接蓮宮,
오대산사 길상 탑사와 서. 사문 승훈 지음
기유년에서 을묘년까지(진성왕 3년(889)부터 9년(895)) 7년 중에 모난 것과 둥근 것(땅과 하늘)이 흐리고 혼란하여 들판이 군대로 가득하구나.(전쟁이 치열하구나) 사람들이 일의 추세를 잊었고, 행하는 것은 이리떼와 같아 나라가 기울고 깨짐을 드리워 재앙이 연궁(절)에까지 이르렀다.
護圀三寶, 法衆願同, 交刃祿林, 亡身嵒叢.
滿王重化, 猒髑再終, 道存僧侶, 利在皇公.
見之懷痛, 念斯不夢. 仍出悲語, 偏召緇工,
樹子塔根, 朽骨龕雄, 多線拘薦, 級基導衆.
魂名刻壁, 沙魄翔空. 羽層岳久, 永鎭仙豅.
親觀此事, 欲光後童, 肯申鄙作, 頌玆甃功.
乾寧二年, 夷則建.
나라와 삼보를 지키려는 스님과 중생들이 바람을 같이하여 칼날이 수풀에 교차하고, 몸은 바위너설(산 속)에서 잃었다. 만왕(부처님)의 교화가 거듭하였으나 염촉(이차돈)이 다시 마쳐야(죽어야) 할 듯하다. 도는 스님들에게 있고, 이익은 황공(왕공)에게 있다. 그것을 보면 아픔을 품고, 이를 생각하면 꿈이 아니다. 이에 자비의 말을 내어 일부러 스님 장인을 불러 탑의 뿌리를 세우고, 썩은 뼈를 감실에 모시니 여러 가닥으로 (혼령을)이끌고, 층과 기단이 중생을 인도한다. 혼의 이름을 벽에 새기니 모래 같은 많은 넋이 공중을 날고, 깃 같은 층이 산 같이 오래도록 신선의 골짜기를 지킨다. 직접 이 일을 보고 후동(후학)들을 빛내려(밝히려) 하여 기꺼이 이 글을 써 이 탑을 세운 공을 기린다.
건녕 2년(895, 진성왕 9) 이칙이 세운다.
(뒷면)
哭緇軍. 僧訓.
濁數西來及薩羅, 十年狼豹困僧伽. 吾師向覺天耶出, 第子脩仙, 豈免魔. 昨喜斑螢昭道好, 今悲乾陣散骸蹉. 欲逢東庿吉祥處, 爲汝徹霄窣堵波.
僧釋喜書.
僧軍을 곡하다. 승훈
흐린 운수가 서쪽에서 와 살라(신라)에 이른 10년에 이리와 표범이 僧伽를 어렵게 하였다. 우리의 스승은 깨들음을 향하여 하늘에서 나왔으나 제자들은 선만을 닦으니 어찌 마구니를 면하겠는가? 어제는 아롱진 빈뒷불이 길을 비추는 것이 좋아 기뻐하였다. 오늘은 메마른 軍陣에 해골만 발길에 채이는 것이 슬프구나. 동쪽의 문수보살이 머무는 곳에서 만나고자 하여, 너를 위해 설도파를 세운다.
승 석희가 쓴다.
〈4〉 百城山寺 前臺 吉祥塔中 納法賝記
백성산사 전대 길상탑중 납법침기
寧二旃蒙年, 百城山寺前臺, 吉祥塔中, 納法賝記.
無垢淨大陁羅尼經一卷, 法花經一部, 淨名經一部, 隨求即得大自在陁羅尼, 金剛般若經一卷, 花嚴二佛名號, 卌類神衆列名, 威光所遇佛友名, 善財所携五十五善友列名, 五十三佛号, 十大第子德號, 七處九會卅九品列名, 兼卌心十地名, 十卷金光明經卅一品列名, 大般若經十六會二百七十八品列名, 佛經雜語, 花嚴性起卅篇, 眞言集錄二卷, 佛舍利一軀又二枚, 釋伽如來涅般銅畫像一, 瑠璃泥小塔九十九, 又七十七每塔納眞言, 大般涅般經十七品列名, ▨心般若經.
건녕 2년 전몽년(을묘년) 백성산사 전대 길상탐 안에 법보를 넣은 기록
《무구정광대다라니경》1권, 《법화경》1권, 《정명경》1부, 《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 《금강반야경》1권, 화엄 2불의 명호와 40신중의 이름들, 위광이 만난 佛友의 이름, 선재가 만난 55 선지식의 이름, 53불의 이름, 10대제자의 칭호, 7처9회 39품의 이름과 40심 십지의 이름, 10권, 《금강명경》31품 이름, 《대반야경》16회 278품 이름, 불경잡어, 화엄성기 30편, 《진언집록》2권, 불사리 1구, 또는 2매, 석가여래열반동화상 1, 유리니소탑 99, 또는 77, 매 탑마다 진언을 넣음 《대반열반경》 17품 이름, 《☐심반야경》
'최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태사시중장 (0) | 2024.05.04 |
---|---|
견 숙위학생 수령 입조장 (0) | 2024.05.04 |
신라 가야산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 (1) | 2024.04.28 |
신라 가야산 해인사 결계장 기 (1) | 2024.04.25 |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 기 (1) | 2024.04.25 |
댓글